칸트와형이상학의문제라는 책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칸트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기존 형이상학의문제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초월적 논리학 ... 과 초월적 감성론 그리고 종합과 상상력에 대한 이론을 현상학적 그리고 존재론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신의 이론을 펼치고 있다. 하이데거와 칸트가 전반적으로 그 이론을 달리 하는 것은 거칠 ... 게 보자면 ‘시간’때문이다. 우리가 현상학이라는 수업에서 하이데거를 다루는 이유와 같이 하이데거는 현상, 사태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형이상학에 대해 해체작업을 하고, 여기서 가장
학이 갖는 한계를 직시하며 새로운 지평선에서의 형이상학 수립을 꿈꾸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새로운 형이상학이란 `건전한 이성`의 시험대를 통과한 형이상학이던 바, 칸트는 이러한 바탕 ... ‘도덕법에 적합한 행복’을 이루기 위해 신의 현존을 요청할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칸트의 행복 개념을 보다 주의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도덕 형이상학의 기초 에서 칸트 ... ,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질문은 신앙의 문제를 다루는 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칸트 철학의 체제를 일별하는 가운데 그 체계 안에서 때로는 모호하게, 때로
베르그 대학에 논리학과 형이상학 교수 임용이 있었으나 칸트는 지원하지 않았고, 58년에 있었던 임용에서도 그는 자신이 자격 미달이라고 판단하여 지원하지 않았다. 그가 용기를 얻었던 것 ... 적으로 정리하여 발표한 것은 이십년이 지나서 였으며, 그보다 먼저 과학의 기초에 대한 탐구 및 경험 과학과 형이상학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선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756년 퀘니히스 ... 었으나 동 프러시아를 떠난다는게 내키지 않아 또다시 거부한다. 그러나 사실상 칸트가 염두에 두었던 것은 다음해에 있을 퀘니히스베르그 대학 논리학 교수직 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