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럼 지반을 층단식으로 조성하고 지대석을 올려놓았다.성돌은 외면을 장방형으로 하고, 정다듬으로 매우 정교하게 마감하였다. 외면의 네 모서리는 각이 없이 둥글게 처리하고, 가운데 부분 ... 이 체성벽의 기저부 밖으로 떨어지도록 하였다.이처럼 바닥이 층단을 이르는 형태의 수구는 현문구조와 함께 신라성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수구 유형과 흡사하다. 특히 출수구는 충주 남산 ... 의 축성기법은 바른층쌓기를 하였으며, 아랫단의 성돌과 윗단의 성돌이 1/2~1/3정도 물리도록 하였다. 성돌이 수평을 이루지 않을 경우에는 쐐기돌을 사용하여 수평을 유지하고 있
계단이 등장하였기 때문에 - 무기단 · 기단식 적석묘의 피장자보다 높은 신분이 사용한 고분 . -2 층 ~5 층까지의 기단을 만들고 올라가면서 좁아지게 하여 계단을 만듬 . 보통 ... 3 층이 많음 . - 최상층의 계단에 곽실을 만듬 .계단식 석실 적석총 - 외부의 고분의 형식은 계단식 적석총과 기본적으로 같음 - 적성총중에 유일하게 내부구조로 석실 을 두 ... 구조 및 기법- 가장 완성된 형태의 적석총 - 화강암 -5m 가량의 돌 1100 여개 - 최소 6000 톤 이상 - 모서리가 정확히 동서남북 - 관 , 실의 2 중구조- 제 1 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