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하나이다.취재의 자유와 관련하여 취재원을 밝히지 아니할 권리가 인정될 수 있는가가 문제될 수 있다. 취재원묵비권은 언론매체의 종사자로서 일정한 정보를 수집한 자가 자신이 수집 ... 할 수 있는 권리로 언론의 진실보도 ? 사실보도 및 공정보도를 위한 불가결의 전제조건이다. 그러므로 취재원의 묵비권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에 취재원의 봉쇄효과를 가져오게 되어 언론 ... 이 진실보도의 공적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취재원 묵비권이 허용되는지의 여부는 언론의 자유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우리나라에도 과거 언론기본법에 취재원의 보호
한다. 헌법상의 묵비권, 증인의 증언거부, 취재원비닉권은 알고 있는 객관적 사실 또는 기술적 지식에 대한 진술거부인 점에서 양심 ? 사상에 대한 표현거부인 침묵의 자유와 구별된다. 침묵 ... 되지 않는다.② 긍정설양심은 고립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련을 가지며, 단체에게 인정하는 경우 단체구성원의 기본권실현에 이바지한다는 점에서 양심의 자유가 단체에 대하여도 인정 ... 가 아니다. 침묵의 자유는 국가권력으로부터 신체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하여 허용된 묵비권과 구별되며,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침묵에 의하여 보호되는 것은 도덕적 판단인 양심, 정치적 신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