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속한다. 논산 육곡리고분군, 홍성 성호리 고분군 등도 남향사면의 대표적인 예들이다. 또한 경사방향이 동남향과 서남향으로 이루어진 지형에 축조된 고분군들은 공주 보통골 고분군 ... 은 산지 혹은 구릉과 일부 평지에 분포하는 두 가지 환경이 모두 확인 된다. 흥덕리 쌍실 고분, 남원 초촌리, 대안리 석실분의 입지는 전형적인 산지입지의 예이다. 그러나 평지로 구분 ... 의 경사면 혹은 산곡간에 고분이 조영된 환경을 지적할 수 가있다. 이는 금강의 고분군에서 보편적이다. 공부 웅진동 고분군, 송산리, 익산 웅포리 구분군은 후면에 산을 두고 있
다 가지 환경이 모두 확인된다. 흥덕리 쌍실 고분 이나 남원 초촌리, 대안리 석실분의 입지는 典型的 山地의 예이다. 그러나 평지로 구분할 수 있는 지형에 조영된 자료는 영천리 ... 까지 확인된 자료 중에서 극히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은 봉분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백제 왕릉지역인 송산리 고분군과 부여 능산리 고분군을 보면 송산리 고분군은 봉분 ... 이 거의 잔존되지 않은 것으로 전한다. 반면에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는 어느 정도 봉분 형상이 잔존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하고 있다. 다만 송산리 고분군과 능산리 고분군은 順次的으로 造營
리 고분군(기념물 제 58호), 정읍 지사리 고분군(기념물 제 59호), 남원 유곡리 및 두락리 고분군(기념물 제 10호), 남원 초촌리 고분군(기념물 제 47호) 등이 있다.특히 ... 보지(堤洑址) 등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고분으로는 익산 쌍릉(사적 제 87호)을 비롯하여 익산 입점리 고분(사적 347호), 정읍 은선리 고분군(기념물 제 57호), 정읍 운학 ... 리에서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발굴, 확인됨에 따라 금강, 만경강 또는 동진강 상류에서도 구석기시대의 유물, 유적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한반도에 있어서 신석기시대 유물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