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추앙받았으며, 『선가귀감』 외에도 『청허당집』ㆍ『선교결』ㆍ『심법요초』 등의 저서가 전해지고 있다.2. 조선 후기 불교의 성격16세기 말에서 17세기 중엽은 조선으로서는 크나큰 ... 영관의 법을 이은 부휴 선수는 문하에 7대 문파를 두는 등 많은 제자를 두었으며 휴정은 유정, 언기, 태능, 일선의 4대 문파를 이루었다. 휴정은 조선 후기 불교의 가풍과 종풍 ... 』ㆍ 『삼가귀감』 등과 시문집인 『청허집』이 있다. 그의 사상적 입장은 선을 주로 하는 것이었다.대표적 저서인 『선가귀감』에서 그는 임제가풍에 의한 조사선문의 공부길을 요약하였고, 선
→구곡각운→정심등계→벽송지엄→부용운선영관→선화자 일선→청허휴정지엄 : 일찍이 북방의 야인을 토벌할 때 종군, 28세 때 출가. 衍熙로부터 ?능엄경? 수학, 正心으로부터 인가. 문하 ... 浩?戒訓?沖徽?性熙?沖忍 등의 제자부휴 및 벽암문파 : 휴정과 더불어 조선 중기 이후 불교계에 쌍벽을 이루었던 善修의 호가 부휴. 覺性?戒益?應??希玉?聖賢?希彦?印文?淡守⇒ 부휴문9개
서산의 생애와 사상1. 서산의 생애서산의 속성은 완산최씨로 이름은 여신, 아명은 운학이다. 나중에 출가해 얻은 법명은 휴정이요, 호는 청허이다. 그는 조광조 일파가 피비린내나 ... "라는 존호를 받았다.서산의 생애와 행적은 이정구가 쓴 "청허당휴정대사비명병서"와 장유가 쓴 "청허대사비명병서" 유정·명조·편양·쌍걸 등 네 제자가 쓴 "청허당대선사보장록" 편양이 쓴 ... "청허당행장" 등에 소상히 나온다. 또 자신이 쓴 자서전격인 "상완산노부군서"에는 60세 이전의 행적이 비교적 자세히 기술돼 있다.이들 자료에 따르면 서산의 유년시절은 그리 행복
"자와 "花"자의 韻을 불러 주었다. 이제 겨우 10살을 넘긴 어린 여신은 이 때향기어린 누각에 해가 처음 비끼니 香凝高閣日初斜천리강산에는 눈이 꽃과 같구나. 千里江山雪若花(『청허 ... 이러할 뿐이로다. 頭頭只此爾만 권의 장경이라는 것도 萬千金寶藏원래는 한 장의 빈 종이인 것을 元是一空紙(『청허당집』 권1, 過鳳城聞午鷄)그의 나이 27세 때의 일이었다. 자기 ... 다바 "서산문하의 4대문파"를 이루며 조선중기 이후의 불교를 주도해 나갔다.) 四溟·鞭羊·逍遙·一禪외에 中觀海眼을 들어 "西山五足"이라고도 한다. 李永子, 「朝鮮中·後期의 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