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사상 기반으로 천과 인간의 본질이 같다고 상정했다. 이것을 동류상동同類相動, 동류상응同類相應이라고 한다. 동중서의 천인상응天人相應은 천과 인의 질적 동일성에 근거한 것이며, 동일한 종류는 상호 호응할 수 있는 관계라고 해석한 것이다. ... .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동중서를 대표로 한 한대漢代의 유생들은 천인삼책天人三策을 제시했고, 이 사상을 기초로 천인감응天人感應 이론을 체계화한다.Ⅱ. 천인합일론의 인식론적 고찰동양 ... 의 사고는 이론과 실천, 물질과 정신의 영역이 일원론적이고 지행합일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천인합일天人合一’이라고 부른다. 천인합일 사상은 한대 동중서의 사유
분담을 명확하게 정하고, 이와 같은 풍조에 대한 격렬한 비판을 전개한 것이다.순자의 ‘천인지분’ 사상에 대해서는 ‘천인분리(天人分離)’ 의 입장에 선 합리적인 사상이라고 하는 해석 ... 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순자의 본뜻은 천인관계(天人關係)를 정리하여 규범이 되는 하늘 밑에 인간을 바르게 정립시키는 데에 있으며, 그 점에서 본다면 ‘천인분리 ... 밖에 없다. 왜냐하면 ‘천인지분’이라는 사상을 떠받치고 있는 ‘이(理)’는 그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주술과 공통되는 동류상구(同類相求)의 원리이며, 그 동류상구의 원리를 기본
을 의동중서에게 있어 천인감응은 인간을 天과 同類로 보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에 의하면 同類者는 결국 相動하여 "類로서 합치면 인간과 천은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천인감응론은 人副 ... 할 수 있다고 함으로써 인간을 천하에서 가장 귀한 존재로 보고 있다. 그러면 동류의 존재는 어떻게 상동, 상응하는가? 그것은 氣가 같기 때문이다. 天人을 관통하여 작용하는 기는 元氣 ... 고, 펼쳐놓으면 오행이 된다." 원기가 근본이 되어 존재하는 모든 존재들은 서로 相感, 相動하며, 동류인 천과 사람도 당연히 상감상동한다. 동중서의 천인감응설에 의하면 인간은 지고 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