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의 진가쟁주담(眞假爭主談)이 담아내고 있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이트의 이론을 원용하여 ‘아버지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해석하였다. ... >의 진가쟁주담은 결국 ‘아버지에 대한 징치’로 해석할 수 있고, 이때 가짜 옹고집은 아버지의 긍정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고, 진짜 옹고집은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 ... 다는 것이다.진가쟁주담에서 부인에 의해, 자식에 의해, 며느리에 의해, 한 집안의 가장이던 옹고집이 철저하게 외면당하고 쫓겨나게 되는 장면을 보면서, 독자들은 매우 흥미롭게 전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