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의 보존과 활용방안 연구, 『三國史記』에 보이는 三國時代의 天文觀 연구, 효숙종시대의 도자 연구, 百濟와 中國의 貿易陶磁 연구, 필사본 『花郞世紀』를 통해 본 新羅 花郞制의 成立 ... 에서 고고학사, 선사고고학1, 삼한유적각론, 고분론, 동북아시아고고학, 중국고고학, 고고학논문연구, 불교석조미술사, 탑파론특강, 서양고고학, 일본고고학, 한국공예사 등의 수업을 들
---------------------------------------------------------------東洋陶磁史중국의 靑花瓷器순도 높은 순백의 기면(器面) 위에 코발트 ... 되었고 그러므로 역사상 가장 중국적이며 지성적인 문화의 전성기가 시작되었음과 관계가 깊다. 그러므로 도자의 풍격도 조형적으로 절제적인 단순함이 시도되고 우아하며 단아한 청자, 백자 등 ... 의 광물이 혼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산지에 따라 규석·운모·장석, 기타 광물의 비례가 다르다. 중국에서 청료를 생산하는 지방은 많지만 운남, 절강, 강서의 청료가 우수하다고 전해진다.중국도자사상 고령토와 유사한 것이 상대(商代) 백도에서 출현하고 있으나 화도는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