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록 예배하고 기도하자” 라고 호소했다. 8월 13일에는 북한 전 지역에서 전승기도회가 열렸으며 북조선기독교도련맹 전쟁 지원은 정신적 지원뿐만 아니라 무기 대금 헌납운동 ... 10월 남한군과 유엔군이 38선을 넘어 북진하기 전 북한교회에서 일어난 전쟁 지원 활동이었다. 북조선기독교도련맹 중심으로한 북한교회의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전쟁 지원과 협력을 민주 ... 선물은 아니었으나 항상 권력의 핵심에 있었다.● 북조선기독교연맹북한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이 “그리스도교인들의 권리와 이익을 옹호하며 그들의 신앙생활을 지도하기 위해 설립된 초교파적인
면, 북한기독교의 존속이 인정된다.1981년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조국통일을 위한 북과 해외교포, 기독자간의 대화”모임에서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의 고기준 목사가 밝힌 바에 따르 ... 에는 김일성 정권을 지지해 온 조선그리스도교련맹조차도 북한사회의 반기독교 분위기에 눌려 활동이 자유롭지 못했다. 그리스도교련맹은 1954년까지는 해마다 총회로 모였으나 1958년 ... 는 사람들에 대해서도 동원된 사람들이라고 말함으로써 예배 참석자들이 기독교인들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조선로동당 국제담당비서였던 황장엽도 남한 망명후 “남한 사람들을 속이기 위해
는 NCCK 대표들과 조선기독교도련맹 대표들이 WCC의 주선으로 처음으로 만나게 된 사건이었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1981년 11월 북미와 유럽지역에 거주하는 교포 기독교인들로 구성 ... 된 조국통일해외기독자회와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및 조선기독교도련맹 대표들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통일대화를 가졌다. 그들의 통일대화는 남북한교회의 교류를 촉진시켜 주어 도잔소 협의라는 ... 이후이다. 이전까지만 해도 한국교회는 반공적 입장 이외에는 이렇다 할 의견이나 주장을 갖지 못했다. 그 후 1970년대 김재준을 비롯한 진보적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조국의 통일
다.조선그리스도련맹은 북한 기독교를 대표할 수 있는 종교단체로 1946년 강량욱 목사의 주도로 결성되어 전쟁후 잠적하였다가 1972년 ‘평양신학원’을 개설하며 교회 조직의 유지 ... 유일지도체제를 수립하고 개인숭배 기반까지 확보하게 된다.1950년대 후반부에는 북한은 종교자체를 부정적평가하여 북조선기독교도연맹의 활동도 사라지게 된다. 결국 북녘의 평신도들은 비밀 ... 이 조선기독교연맹 위원장 자격으로 동남아, 아프리카를 순방하고 1974년 조선기독교연맹이 세계기독교연맹에 회원가입을 신청함으로써 다른 종교에 비해 그 존재가 대외적으로 일찍 알려지
들과 교류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활동들은 북한에게 종교의 효용성에 대해 깨닫게 해주었다. 조선기독교도련맹 이 시기에 신학교를 재건하고 성경과 찬송가를 편찬하였다. 불교와 천도교 ... 를 이해하기에 앞서 종교와 사회주의의 관계를 알아본 후 북한 종교의 특징에 대해 이해해보고자 한다. 특별히 기독교가 해방 직후 종교적 활동이 왕성했던 것, 미국과 관계가 깊은 것, 이러 ... 한 사항들로 인해 철저히 억압당했던 것과 이에 대한 자료가 많은 것 등으로 인해 본의 아니게 기독교에 대한 언급이 많음을 밝혀둔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몇 권의 서적과 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