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김동수 가옥의 시각구조 분석에 따른 공간적 특성 연구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rough theVisual ... 으므로, 하나의 시지각적 인식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정읍김동수 가옥에서는 전통주거의 일반적 유형에서 벗어난 배치를 보여주고 있고, 이로 인해 보다 많은 시선축과 시각틀을 형성 ... 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면들 속에서 공간의 깊이감을 부여하고 시각틀을 형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적 특성을 연구해보고자 한다.1-2 연구대상 선정정읍김동수 가옥
의 면적이 커지면서 그 위상도가 증가한 것과 나아가 ‘안 사랑채’라고 하는 여성 사랑채의 등장이다. 대표적인 예가 전북 정읍의 김동수 가옥으로 추수곡이 1,200석에 이르는 부농 ... 가처럼 사랑채를 갖추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북 월성군의 주사댁, 경북 청도군의 운강 고택 등이다. 또한 이 시기에 가장 특징적인 것은 안방과 부엌으로 대표되는 여성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