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도아래맥베스' 분석적도아래맥베스는 역사 속에서 지워진 조선인 전범들에 관한 연극이다. 조선인 전범들은 피해자인 동시에 의도치 않게 가해자가 된 존재이다. 작가는 연극 ... 는 인물이자 주제를 이행하는 인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작가는 세상이 오카다 처럼 행동하고 생각해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보인다.3. 갈등 구조 분석적도아래의 맥베스의 핵심 갈등 ... 는 것처럼 극단으로 치닫는다.(과거 1) 사형선고가 내려지고 사형 전날에 잔치가 벌어진다. 이때 남성은 쿠로다 나오지로와 함께 맥베스를 연기한다.(과거 2) 사형이 집행된다.결말
‘적도아래의 맥베스’ 분석-갈등 구조, 캐릭터, 시.공간, 오브제 분석-이번 희곡론 수업시간의 단체 관람작 이었던 ‘적도아래의 맥베스’는 태평양 전쟁이 끝나고 난 뒤 전쟁범죄 ... 인들이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잊혀진 과거로 지나 갈 수도 있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우리 모둠은 이번 연극 ‘적도아래의 맥베스’를 보 ... ‘적도아래의 맥베스’라는 작품을 이루는 커다란 중심 축 중의 하나 역시 바로 이 ‘죽느냐 사느냐’에 대한 문제이다. 수용소에 갇혀 있는 전범戰犯들은 내일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
'갈등'을 중심으로 분석한 극은 다큐멘터리를 촬영 중인 현재시점과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인 '춘길'의 과거회상 장면인 과거시점이 액자식 구조로 번갈아 진행된다. 이러한 극 중 현재의 흐름과 과거의 흐름은 갈등의 전개에 따라 진행된다.현재시점에서 갈등양상은 다큐멘터리 제작과..
들은 가해자이기도 하다. 주변의 유혹에 넘어가 비인간적인 행위를 선택하고 결국 파멸의 길을 걸어간 맥베스에 조선인 포로감시원들을 대입한다. 작품을 통해 가해자이면서 피해자인 자신 ... 감시원들의 서로 다른 감시원이 된 계기와, 그로 인해 사형수가 된 현실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으로 충돌하는 외적 갈등으로 표현한다.그런데 여기서 조선인 포로감시원들에 ‘맥베스 ... ’를 대입하고 작품의 제목에까지 맥베스를 사용한 것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맥베스와 작품의 연결고리가 약하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마녀와 부인의 유혹에 왕을 죽이는 것을 선택해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