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신 희곡집 특징 정의신의 이 일본 희곡집에 실리면서 재일교포 정의신의 극작술을 느낄 수 있었다. [정의신 희곡집]에서 그의 특징적인 면을 찾을 수 있 ... 을 읽으면서 ‘손톤 와일더’가 더 대단해보였다. ‘손톤 와일더’의 경우 일상의 아름다움, 일상이 얼마나 소중하며 순간의 삶에 대해 관통하는 면이 있었다. 하지만 정의신의 경우는 일상 ... ’ 이란 대사가 참 많다. 손톤 와일더 ‘우리읍내’의 가장 명대사이기 때문에 솔직히 조금 실망스럽다. ‘안녕’이란 의미도 비슷하게 쓰이기 때문이다. 정의신 희곡집에서는 음식이 참
었을까하는 점이다. 극을 보러가기 전 이 극을 각색하신 연출가 정의신님이 어떤 분일까 하는 궁금증에 검색을 해보았다. 왜 하필 샤일록일까. 알고 보니 재일교포이셨고, 교포라는 이유 ... 로 샤일록처럼 차별을 당해왔기 때문에 샤일록의 입장에서 베니스의 상인을 바라볼 수 있던 것이다. 샤일록이 고리대금업자가 된 것이 직업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그런 것이고, 재일교포 또한
들은 바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곰곰이 생각해 보면 또 웃을 일만은 아닌거 같다. 정의신 선생님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재일교포들은 일본에서의 현실이 너무도 어렵고 절박하여 꿈 ... 고 있을 수 있었다. 정의신 선생님은 제일교포로써 일본과 한국의 문화를 모두 간직하고 있으며 또한 아픔도 같이 간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작품에서만 봐도 알 수 있 ... 연극외에 다른 나라 연극에 대한 관심도를 높힐 수 있는 기회가 됬던거 같다. 연기에 관련된 얘기는 이 쯤 해두고 작가와 작품에 대한 내 견해와 얘기를 해볼까 한다. 정의신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