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선, ‘멍텅구리배’Ⅲ. 임자도파시1. 파시의 형성2. 임자도 타리파시Ⅳ. 맺음말Ⅰ. 머리말섬은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생산과 생활의 공간이다. 섬사람들에게 바다는 여러 가지 ... 에 파시가 형성된 배경에는 자연환경이 주요했음을 알 수 있다.2. 임자도 타리파시임자도 전장포는 현재 100여 가구에 230명의 주민에 불과하지만 1980년대 전후에는 주민 수 ... 의 민어파시로 유명한 곳이었다. 이를 타리파시라고 부른다.임자도 인근에는 '타리'란 말이 붙은 명칭이 많다. 뭍타리, 섬타리,타리파시, 진다리, 달리도가 그렇다. 그러나 타리란 말
과 함께 사라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타리파시'는 임자도 서북부 하우리 서쪽의 모래사장과 건너편 섬(섬타리도, 물타리도) 사이에 섰다. 지금은 모래사장만이 남아 있을 뿐이지만 주민 ... 전장포 새우잡이1. 머리말2. 신안군 임자도 섬 이해와 개요1) 임자도 전장포3. 전장포 새우어장과 어선, 그리고 파시1) 새우잡이, ‘오젓과 육젓’2) 새우어장, ‘전장포 앞뿔 ... , 박광순, 김승 등이 임자도 젓새우에 관한 글을 발표하였다. 나승만은 임자도 새우잡이 젓중선에 관해 서술하였으며 이경엽은 임자도의 파시에 관해, 그리고 박광순 ? 김승 은 우리나라 젓
적으로 형성거문도, 청산도, 흑산도 - 고등어파시추자도 - 멸치파시비금도 - 강달어파시임자도 - 민어파시5)임자도의 타리파시.?당시 타리파시: 전국 제일의 민어파시로 일본인 ... 하고 있었기 때문.2.파시 사람들의 생활모습.1)타리파시의 유래: 임자도 서북부에 위치한 타리도의 명칭을 따서 타리파시라 함.2)타리파시의 규모:ⓐ상점의 수는 100호 이상.ⓑ일본 ... 의 수많은 배들이 몰림: 임자도 근처에 큰 어장이 형성되고 다양한 어 종이 임자해역으로 몰려 듬.? 물고기의 밥이 되는 새우의 산란장이 임자도 해역에 위치.4)타리파시의 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