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이 창건한 口자형 주거가 전남지역의 지배적 건축형식은 물론 자생적 건축형식이라고 하기에도 곤란하다.평면의 분화 발전의 경로는 겹집화에 그치지 않는다. 보성의 이금재가옥 ... 보다도 우리네 상류가옥 건물배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부부일지라도 남녀는 각기 다른 공간에서 생활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한 집은 사랑채를 중심으로한 남자의 공간과 안채를 중심으로 한 ... 정교하게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전남지방 전통가옥 특성 및 평면 유형 분류전남지역의 주거는 시기적으로는 조선후기, 계층적으로는 부농계층의 주거가 남아 있는 건축문화재의 중심을 이루
의 문화대부분의 가옥들 자체가 전통문화재로 선정되어있음현재 생활과 과거의 유산이 자연스럽게 어울러져 있음큰 가옥마다 앞뜰에 연못을 인공적으로 만듦대표적인 가옥_ 이금재가옥 ... ..PAGE:1전통건축에 대한 기초적 이해 _보성 이용욱 가옥5조이용욱 가옥을 택한 이유이용욱 가옥을 통한 전통건축에 대한 이해(안채중심으로)느낀점 & 현대건축과 전통건축의 같 ... 은 점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한국건축사1Index..PAGE:2선정이유강골마을은 다양한 전통가옥이 고루 보존_ 전형적인 사대부가옥, 부농 가옥, 중농 가옥강골마을에서도 가장 크
며 소수의 가옥들을 중심으로 배치계획이나 공간적 특성을 밝히는데 치중하고 있어 전통론을 포함한 이론문제와 양적인 문제를 극복하는데는 미흡하다 할 수 있다.따라서 주거사의 체계화는 주 ... 거사를 구성하는 개개의 가옥에 대한 사실의 정확한 조사에서 비롯되며 현존하는 전통주거에 대한 실증적이고 심층적인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지니며 체계화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전체적인 인식 ... 건립년도안채 좌향사랑채 좌향비 율담양 고재선 가옥1921년S170ES170E안채 총 37개중남?서향-17채(46%)남?동향-9채(24.3%)북?서향-5채(13.5%)북?동향-4채
은 뒷퇴에 구축되며 뒷벽을 터서 굴묵으로 쓴다.같은 오봉리에 위치한 이금재가옥을 보면 이용욱가옥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 바다에 면한 위치로 인해 (현재는 간척사업으로 인해 ... 선(慶全線)이 통과하고 있어서 교통이 편리하다.먼저 득량면에 위치한 마을들의 전통가옥의 특성을 살펴보면 남쪽의 해안을 향한 지역의 특성으로 인하여 남방적,해양적인 개방성이 고려 ... 된 가옥의 형태를 띠고 있다. 같은 지역에 위치하면서도 해안가에 위치한 마을들은 태풍이나 바람을 고려한 듯 정면의 바다쪽을 피해서 출입구가 향해 있었고, 득량면의 안쪽 내륙쪽에 가까운
은 이금재·이용우 가옥 안채)도 있어 주목이 간다. 또한 전남 영암 현종식가옥(1902년)은 앞뒤 모두에 돌출부를 둔 'H'자형으로도 건립됐다. 이러한 유형은 1919~1924년 사이 ... 가 되었다. 이는 고급주택인 양반집의 표준적 건축규범을 갖는 것과 크게 대조가 된다. 아쉽게도 민가는 현재 일부 문화재로 지정된 특정지역(낙안읍성 등)의 가옥만이 아니면 볼 수 없 ... 볏집을 이용하여 지붕을 이은 집. 일반 서민이 살던 집으로 1970~8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지붕을 개량하기 전 전국농어촌의 대부분 가옥이 초가집이었다.(2) 기와집 : 흙으로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