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는 자전으로 매응조(梅膺祚)의 《자휘(字彙)》와 장자열(張自烈)의 《정자통(正字通)》등이 유명하였다.음운 방면에는 《절운(切韻)》계통의 운서들은 관운(官韻)이기 때문에 정통의 위치 ... 학의 연구 성과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다. 중국어학 분야는 주로 6분야로 나눌 수 있다. 글자의 형태를 연구하는 문자학(文字學), 소리를 연구하는 음운학(音韻學), 뜻을 연구 ... 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중국 상고시대에 여러 표음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서 음운학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바로 이합음(二合音)의 기초를 인해 형성된 반절주음법(反切注音法)이
들에 의하여 한국어 학습서가 간행되었는데 헐버트의 조선위국자휘(祖先危局字彙), 푸칠로의 노한사전 등이 당시의 국어를 알게 해주는 자료가 된다.이밖에도, 번역문이 아닌 한글로 창작된 문헌 ... 이다. 이와 함께, 음운사적 측면에서 음가는 이미 소실되었으나 문자적 측면에서는 혼용된 것으로 ‘ㅿ’이 있다. 15세기에 초성으로 사용되던 문자 ‘ㅇ’은 15세기말에 이미 그 사용
구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늦게 시작되었다.1443년 훈민정음이 창제될 무렵 국어의 음운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었고, 그 이후에도 문자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음운 ... )에서 문법적 용어를 발견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을 문법연구라고는 할 수 없다. 체계적인 형성의 단계에도 이르지 못했을 뿐 아니라 연면(連綿)한 계승의 자휘를 살펴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