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과제: 논문 요약 및 질문지(노형신, 2018, 「원삼국~통일신라시대 재갈의 변천」, 『한국고고학보』108, 한국고고학회.)1. 논문 요약‘재갈’은 말의 입에 장착되어 사람 ... 재갈에 일반화된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까지의 재갈을 대상으로 해서 재갈의변천과정과, 재갈 부품 각각의 기능을 재검토해 보고 기능성과 시간성을 반영하는 속성을 중심으로 재갈을 형식 ... 된다. 함유로 표나 환판을 사용하는 재갈은 전체 수량의 72%를 차지하며 원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오랜 기간 사용되었고, 판비는 25%로 삼국시대에 등장하며, 원환비는 6세기 이후
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인수의 용도에 대해서는 삼국시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삼국시대 이후에도 기병은 존재했기 때문에 재갈에 인수가 있어야 하지만 통일신라시대에는 인수가 다른 ... 것으로 대체된 양상이 보인다. 근현대 시기의 재갈을 살펴보면, 현대 몽골에서의 재갈은 함유와 인수가 없다. 통일신라시대의 재갈은 함유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 와 유환의 유무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된다.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는 인수와 유환이 모두 확인되는 것이 전체의 26%를 차지한다.(2)연속형 속성재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