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일본의 밀접한 왕래(일본과 당나라 사이의 중개자 역할)(3) 고려시대?일본과의 관계가 크게 침체?말기에 왜구(倭寇)의 침탈로 인해 대마도(對馬島) 정벌로 연결(조선 세종 때)(4 ... 연호를 사용- 정안국(定案國), 흥료국(興遼國), 대발해국(大渤海國)(4) 사료(史料)상의 기록?고구려의 전통을 계승하여 지배자가 천손(天孫)을 자처- 772년에 일본조정에서 마찰 ... )제도 시행-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등?북방민족을 번(藩)으로 설정 : 팔관회에서 조공을 받음.(3) 사료(史料)상의 기록?조선이 편찬한《고려사
하여 百濟· 新羅 등의 韓半島 남부를 經營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설에는 많은 矛盾이 있다. 임나일부설의 주근거 史料인 《日本書紀》는 8세기 초에 일본왕가 ... 를 美化하기 위하여 編纂한 책으로 원사료 편찬과정에 상당한 操作이 가해졌다고 보이며 특히 5세기 이전의 기록에 대해서는 대체로 그 신빙성을 인정하기 어려워, 역사적 자료로서의 자격 ... 이 부적합함을 일본사학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또한 廣開土王 碑文이나 《宋書》 倭國傳의 문헌기록은 과장되게 解釋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文獻사료상의 문제점을 접어 두고 그 주장의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