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김윤식, 김현(1973)은 영정조기와 갑오경장, 1920년, 1930년, 1945년으로 시대를 구분하였다. 이러한 구분 기준은 근대문학과 근대성 개념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장점 ... 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문학사의 시대구분에서 쟁점이 되는 것은 분기 기점이 되는 기준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 근대문학과 현대문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학사 ... 가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둘째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의한 기준이다. 조동일(!994)은 원시문학과 중세문학,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문학과 근대문학
기점론은 어느 시대를 기점으로 설정하든 그 동안 불연속적 타율적으로 한국근대문학사를 인식하던 타성에서 벗어나 자율적이고 연속적으로 인식하는 계기.한계-계층 개념의 동요는 일부 ... 음.-근대기점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1. 갑오경장설1894년 갑오경장 기점을 근대기점으로 설정한 예는 안확의 《조선문학사》(1922)에서 비롯. 그것은 임화가 조선일보에 연재 ... 과 내용에 전형적으로 표현” 갑오경장 이후 서양 근대문학을 수용한 것에 초점을 맞춤.한계 - 과거와의 단절적 인식으로 불연속성을 초래하였음은 물론 타율적으로 한국근대문학사를 인식
* 참고문헌2011 비교문학Ⅰ. 머리말한국의 근대화 시점은 갑오경장, 영정조기, 병인양요, 갑오경장 등 현재까지도 학자들 간의 견해 차이를 보인다. 이는 당시의 특수한 상황과도 관련 ... 들어오는 문물을 받아들였으며, 때로는 모순적이게도 일본에 의해 근대로 나가는 길을 저지당하기도 했다. 이러한 특수한 상황은 문학에도 영향을 끼쳤다. 우선 타국의 문학 작품들의 경우 ... 작품으로 탄생하며 장르를 구축해나갔다.그런데 오늘날 한국문학사에서 이광수, 김동인 등 대표적인 작가로 언급되는 이들과 작품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반해, 특정 장르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