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 역시 언어를 통해 습득하며, 다른 사람과의 의사전달 교환을 통해서 조정되기도 한다. 작게는 자신의 욕구를 전달하기 위해 또래를 사귀고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정서적으로 풍부 ... 을 가지는 가장 작은 언어 단위 및 이를 바탕으로 하는 언어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우리가 학교 다니면서 배우는 낱말(단어), 형태소(어근, 접두사, 접미사, 어간, 어근), 각종 단어 ... 을 “교체”라고 하며, 교체에 의한 형태소의 교체형들은 각각 그 형태소의 이형태(Allomorph)라고 한다. 그러니까, [분-]은 '붓-'의 이형태, [붇-]은 '붓-'의 이형태
다. 영어를 비롯한 구미의 언어는 대부분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인구어가 우리 국어에 차용될 때에는 우리 국어의 음운체계에 맞도록 재조정되는데 이때 인구어의 어두 ... 가 나타난다. 하지만 어간의 말음이 유음 ㄹ인 경우 경음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비음인 경우에는 경음화가 이루어진다.다) ‘ㄷ’ 불규칙 활용 어간의 재구조화와 경음화‘묻다, 싣다’의 어간 ... 어미와 결합하지 않고 자음 어미와 결합할 때도 ‘ㄹ’로 어간 말음이 교체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이러한 ‘ㄷ어간의 재구조화’는 같은 조건에 있는 모든 단어들에서 나타나
것이다. 그렇게 모음조화가 모음체계 추이에 따른 재조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불합치가 일어나게 되었다.1)용언의 어간과 어미에서 나타난다.예)양성 어간+양성 ... 후설로 간주. (10) ? → u 모음 조화 규칙에 후행하는 (11)의 재조정 규칙이 있음. (11) u → ? u로부터 기원한 ?로 (11)의 적용을 제한하는 조건은 기저 ... 할 수 없음.?old VH system을 되찾기 위한 내적 재구를 생각할 수 있음...old 모음조화 규칙 뒤에 모든 역사적 변화는 재조정규칙의 형태로 이루어졌을 것. 그러나
지 못한 것이다. 그렇게 모음조화가 모음체계 추이에 따른 재조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불합치가 일어나게 되었다.2. 15세기 국어의 모음조화훈민정음 창제자 ... 된 '?>ㅡ' 변화의 결과로 점차 음성모음으로 시작하는 이형태('-을', '-은', '-에' 등)로 단일화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용언 어간에 결합되는 '-아/-어'계 어미만이 모음조화 ... 단위를 구성하는 일종의 발음의 편리를 위한 언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모음조화 현상은 한 어사)의 어간 내부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어미가 어간에 첨부될 때에도 나타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