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규정에 따른 처벌을 받아야 하며, 양심상의 결정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양심의 자유에 속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한 바 있다.경향: ① 양심적 병역거부의 근거가 종교적인 이유 이외 ... 에로 확대되어 가고 있고, ②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과연 진실로 양심에 따라 병역이나 집총을 거부하는 것인가의 여부를 심사하는 심사기관을 설치하고 있으며, ③ 양심적 병역거부권을 인정 ... 없으며, 병역을 거부하는 개인의 주관적 양심만이 결정적이다. 객관적 척도에 입각하여 양심을 평준화하는 것은 양심의 본질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법원은 양심적 병역거부
적 병역거부의 의의와 국제기준1. 양심적 병역 거부의 의의양심적 병역거부는 협의의 의미로 군사활동에 이용되는 목적이나 수단과 관련하여군사활동에 참여를 거부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 유럽의 병역거부자들은 신체형은물론 사형에까지 이르는 혹독한 시련을 감내해야만 했다.양심에 따른 병역거부가 제도적으로 인정되기 시작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1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부터이 ... 라면 차별에 해당되지 않으나 단순히 양심적 신념의진정성을 가리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국내병역제도와 양심적 과세거부와 관련하여서는 유엔 인권이사회는 병역법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