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교차을 내리고, 아스트로파지를 연료로 하여 다우세티로 향하기로한다. 이를 위해 인류는 문자 그대로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한다. 아스트로파지 생산을 위해 사하라 사막의 1/4 ... 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을 늘 각인할 필요가 있다.작가의 특별한 상상력이 놀랍다. 정체를 알 수 없는 미생물 아스트로파지에 의해 감염되면서 서서히 에너지를 소실해가고, 그로 인해 ... 하는가 하면, 10조 달러를 훌쩍 넘는 우주선에 가능한 모든 정보를 담아 준비한다.문제는 아스트로파지의 생산량이 이 우주선을 다시 지구로 귀환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즉
나타나기만 하면 좋은데, 이 선에 사는 아스트로파지라는 우주 미생물이 태양빛을 빨아들인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아스트로파지를 어떻게든 해결하지 않는다면 멸망하고 말리라는 위기감이 전 ... 을 갖고 있는 것 같다.우주 미생물 아스트로파지가 갖는 설정도 흥미로웠다. 아스트로파지는 태양빛을 먹이로 살아가는 생물로, 막대한 에너지를 체내에 저장한다. 어떻게 그런 일이 ... 가능한가? 과학 좀 했다는 사람이라면 모두 아는 공식 E=mc²을 이용해서 그렇게 한다. 즉, 아스트로파지는 에너지를 질량으로, 질량을 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생물이다.이런 생물
되고 환상의 티티카카를 보여주며 우정을 쌓아 나간다. 이후 아스트로파지의 포식자인 타우메바를 발견하고 채집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목숨을 구해주며 종족을 벗어난 우정을 보여주는 그 ... 에 참가하게 된다.지구의 위기에 전 세계가 힘을 합쳐 헤일메리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아스트로파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다. 아스트로파지는 태양에서 태양열을 흡수하여 금성으로 이동 후 ...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분열하는 패턴을 가진 생명체로 엄청난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생명체였다. 복제된 아스트로파지는 또 태양으로 이동해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금성
우주 한복판이다.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절망스러운 상황임에는 분명하다. 태양 에너지를 먹고 금성의 이산화탄소로 증식하는 우주 미생물 아스트로파지로부터 지구를 지켜야하 ... 는 임무가 생각나고 아스트로파지로부터 멀쩡한 머나먼 별로 해결책을 찾으려고 여행을 왔다는 것도 기억해내는 주인공. 여기까지만 보면 너무 뻔한 설정이라고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
-> 식중독의 원인5단원 : 바이러스바이러스와 파지이바노프스키가 담배모자이크병에 걸린 담뱃잎의 추출액이 세균이 통과할 수 없는 필터로 여과 -> 여전히 감염력 유지바이러스동물의 세포 ... 이나 식품로타 바이러스5세 미만의 어린이들에서 중증 급성 위장관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분변 구강 경로를 통하여 감염소아나 노인병동과 같은 시설에 존재아스트로 바이러스오염
는 대장균 파지 T2를 사용하여 핵산과 단백질로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핵산만이 세균에 침입하고 단백질은 세포 표면에 남는다는 것을 밝혔다.또, 1956년 셔먼 등은 순수분리한 핵산 ... 에는 로타바이러스·카리시바이러스·아스트로바이러스 등이 있는 등 여러 개의 병원체가 하나의 병에 대응하는 것도 있다지속감염 (persistence infection) -> 만성, 잠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