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렌트의 반정초주의일반적으로 철학에서 정초주의란 인식론에 관한 것으로써, 우리가 무엇을 인식할 때 받침이 되는 생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반정초주의란 정초주의에 반대 ... 되는 주장으로서 주관적인 철학으로서 이미 정해진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는 입장이다.아렌트는 인간에게는 자신만의 고유한 목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목소리란 바로 ‘견해 ... 한다. 그러므로 주제는 당연히 사회의 공적인 일들이 된다. 아렌트는 정치적인 장에 나와서 다른 사람들에게 사회의 공적인 일들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들려주는 것을 인간이 할 수 있는 최고
에 참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어는 투표하러 가지도 않는 중립적이고 정치적으로 무관심한 다수의 사람들을 의미한다.아렌트는 대중사회의 출현이 자본주의의 발전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 석사학위논문권력과 시민사회: 아렌트의 권력론을 중심으로목 차제1장 서 론11. 문제제기12. 연구범위 및 논문의 구성5제2장 아렌트의 정치권력론 비판71. 정치권력에 대한 일반 ... 적 고찰71) 기존 정치권력 정의82) 국가: 권력의 조직화103) 인간 본성: 이기심/지배 본능132. 아렌트의 비판141)개념적 오류: 권력과 폭력152) 국가: 권위의 상실
는 두 가지 논의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의 문제설정을 더욱 밀고 나간다. 첫 번째는 인권의 정치가 빠질 수 있는 위험과 대결하고자 ‘반폭력’의 문제설정을 미록 나가는데, 즉 자유주의/합리 ... 주의적 파괴를 막고자 했다.당통은 극단의 테러에 반대했다. 로베스피에르의 공포정치와 혁명정부의 모든 정책에 도전했고 체제에 반대하는 세력들의 희망이 되었다.“로베스피에르는 혁명 ... 의 이름으로 혁명을 파괴하고 있다.”당통에게 로베스피에르는 ‘위선자’였고 로베스피에르에게 당통은 ‘타락한 공화주의자’였다. 이즈음 1789년 시작된 혁명은 1793년 들어 한계를 드러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