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법제사 중간 과제물『봉건사회Ⅰ·Ⅱ』를 읽고1. 작가소개마르크 블로크(Marc Bloch, 1886∼1944)는 20세기 역사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아날학파의 제1세대 학자 ... 이자, 나치 독일의 점령 아래에 놓였던 프랑스의 해방을 위해 레지스탕스로 활동한 실천적인 지식인이었다.아날학파는 블로크가 뤼시앙 페브르와 함께 창간한 ‘사회경제사연보 ... 학에 지리학·사회학·경제학·인류학 등을 중첩시키는 새로운 인식 체계를 구축한다.이같은 아날학파의 일원으로 블로크의 업적은 ‘프랑스 농촌사의 기본성격’(1931), ‘봉건사회
한 새로운 역사의 확립을 추구하는 프랑스의 학자들이 아날학파이다.대부분 세계의 각 국의 사학자 대부분이 수공업적 역사(craftsman-style history)에 머무르고 있 ... 을 때, 프랑스의 아날학파만이 그것에서 벗어나 대규모의 기업적 역사로 발전하였다. 영국이 산업면에서 최초의 산업형멱을 성취하여 세계의 공장으로 번영했듯이 프랑스의 아날학파는 사학연구 ... 면에서 낡은 수공업적 역사에서 벗어나 역사기업체제(historical enterprise)를 확립함으로써 세계사학의 광장으로 번창했다.아날학파는 낡은 전통을 타파하한 개척자적 역사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들어가는 말‘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사실 이 책의 제목을 읽고서 크게 마음속으로 깊이 스며든다는 생각은 받지 못했다. 독후감이라니.. 사실 ... 을 깨닫게 되었다.책의 구성제 1장 신문화사가 걸어온 길1장에서는 ‘정치사에서 세계사로’,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아날학파’ ‘사회를 넘어서’ 이렇게 네 파트로 나뉘어져 있 ... 하고 있어서 비판받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아날학파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와 있는데 페르낭 브로델의 대작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와 지중해 세계’에서 기존의 역사학이 고수
역사를 위한 변명 독후감1. 저자 마르크 블로크마르크 블로크는 리옹에서 고대사학자 귀스타브 블로크의 아들로 태어났다. 파리고등사범학교를 거쳐 소르본 대학에서 왕과 농노 라는 논문 ... 하면서 아날(프랑스어로 연보 라는 뜻) 학파의 주춧돌을 놓았다. 아날학파는 정치보다는 사회, 개인보다는 집단, 연대보다는 구조를 역사 인식의 기본틀로 삼으며, 전통적 역사학에 지리학 ... ,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문화연구, 인류학 등을 중첩시키는 거대하고 섬세한 인식 체계를 구축했다. 아날학파는 프랑스 전통주의의 아성인 소르본으로부터는 다소 백안시되었으나, 블로크
학점을 그리기 위해 획을 그어 내려가도 할 수 없다. 독후감은 나의 주관적인 글이기에 글을 쓰는 이 관점도 이책의 독후감의 일부로 봐주시리라 믿는다. 이 책에 쓰여 있는 것 ... 처럼 나는 어쩌면 이 독후감을 통해 이 책을 산산히 다르게 읽고 내 작은 소견으로 읽고 깨뜨리기 위해 글을 지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책을 펼쳐들고 처음으로 읽은 것은 역시 작가 소개문 ... 무더기 욕을 퍼붓고 싶을 정도로 이해 않돼는 책이다. 내가 경영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서 그런지 역사에 관심이 없었고 그냥 역사의 야화에나 관심을 기울인 사람으로써 신문화사니 아날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이제,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의 독후감을 쓰겠습니다.이 책의 저자인 조한욱 선생님은 신문화사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거나 유보적인 ... 으로는 1930년대에 마르크 블로크와 뤼시엥 페브르가 출범시킨 아날학파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사회사의 두 학파 중 하나인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은 지금까지의 역사는 ‘있는 자 ... 하나인 아날학파는 역사에서 중요한 것은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지 않는 지리나 풍토와 같은 지속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즉, 변하는 소수의 지배자들보다는 변하지 않는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