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방법론은 일반적으로 전기의 構造主義와 機能主義를 계승하면서 系列主義에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아날학파의 史論아날학파의 철학은 여러 가지점에서 이 중도적 철학에 가깝 ... 으로부터 아날학자들이 공통적으로 나누어 가지고 있는 史論에 대해 보겠다.첫째, 傳遞史의 추구이다. 이 전체사의 개념은 아날학파의 중심사상이요 최고의 목표라 할 수 있다. 역사나 사회 ... 한 새로운 역사의 확립을 추구하는 프랑스의 학자들이 아날학파이다.대부분 세계의 각 국의 사학자 대부분이 수공업적 역사(craftsman-style history)에 머무르고 있
를 대표하는 사람은 트로이카, 페브르. 브로델등이 있고 특히 브로델은 아날학파의 명성을 국제적으로 떨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저서를 통하여 아날르 학파의 기본적인 사론(史論 ... § 목 차 §1. 머리말2. 아날르학파의 구조와 역사3. 아날르학파의 사론4.아날르학파의 연구방법론5.결론1. 머리말아날학파는 역사와 사회과학을 통합 보다 과학적인 학문으로 역사 ... 의 확립 등에 대한 시도가 다각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대부분의 세계각국의 사학계가 단계에 머무르고 있을 때 프랑스의 아날르 학파만은 이 단계를 탈피하여 대규모의 기업적 역사로 전환
, 기관지의 편집 일관성 및 그들 연구업적의 발간 등에 있어서 다른 나라의 어떤 학파나 연구기관의 추종도 불허하고 있다. 물론 이미 기성학파가 된 아날학파의 史論이나 방법론에 비판받 ... 목차Ⅰ. 서론Ⅱ. 본론1. 아날학파1-1. 아날학파의 설립배경1-2. 아날학파의 패러다임2. 아날 2세대 - 페르낭 브로델Ⅲ. 결론Ⅰ. 서론누구가 20세기는 러시아 혁명에서 시작 ... 하여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끝났으며 20세기의 가장 큰 역사적 사건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이라고 했다(John Lukacs, 1993). 아날학파는 20세기의 사상으로 두 차례
의 편집 일관성 및 그들 연구업적의 발간 등에 있어서 다른 나라의 어떤 학파나 연구기관의 추종도 불허하고 있다. 물론 이미 기성학파가 된 아날학파의 史論이나 방법론에 비판받을 문제점 ... 새로운 역사, 아 날 학 파- 목 차Ⅰ. 서 론Ⅱ. 본 론1. 아날학파의 성립과 그 역사적 배경2. 아날학파의 패러다임3. 아날의 1세대(블로크, 페브르)4. 아날의 2세대 ... (페르낭 블로델)5. 아날의 3세대6. 아날학파의 전체사론 정리7. 아날학파에 대한 비판들Ⅲ. 결 론Ⅰ. 서 론누군가 20세기는 러시아 혁명에서 시작하여 베를린 장벽의 붕괴로 끝났으며
그들 연구업적의 발간 등에 있어서 다른 나라의 어떤 학파나 연구기관의 추종도 불허하고 있다. 물론 이미 기성학파가 된 아날학파의 史論이나 방법론에 비판받을 문제점이 없는 바도 아니 ... '새로운 새로운 역사학) - 아날학파(Annales school)'Ⅰ. 서론“지난 1세대 동안 분립된 역사와 사회과학으로 통합, 그리고 보다 과학적인 학문으로서의 역사의 확립 등 ... 에 대한 시도가 다각적으로 수행되어왔다. 이른바 도 이 범주에 속한다. 아날학파(Annales school:한국에서의 명칭은 ’아날르학파‘라고도 하지만 여기서는 ’아날학파‘로 통일
이론을 떠올리게 됨. 예) 역사학 개론을 강의할 때에 보통 서양사학사의 동향과 관련된 주제들, 즉 랑케로부터 독일 관념사학 아날학파등의 사학이론 및 카아의 역사이론 등을 강의. 한국 ... 역사 서술의 전통과 근대 역사학 수립기에 확립되었던 민족주의 사가들의 史論에 대해서는 거의 강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이러한 기준에서 우리의 사학사를 파악하면, 당연히 전통시대 ... 대사에 대한 근대적이고 주체적인 인식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그것이 그 전시기의 한국사를 일관되게 정리할 수는 없었다.申采浩의 史論박은식의 역사학을 계승하여 그 한계를 극복
으로 읽혀진 우리의 치우친 시각때문이라 할 것이다. 여기에서 등장한 것이 '마르크스주의 역사학'과 '아날학파'를 위시로 한 사회사이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지배자들의 하향적인 시각 ... 의 역사가 이제 민중들의 상향적인 시각의 역사로 변모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아날학파가 중시되어야 할 점이라 한다면 이전의 영웅사관이 눈을 돌리지 않았던 민중들을 역사의 주체로 끌 ... 에는 역사인식론에 대한 정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하에서 배우게 되는 사학과의 전공수업 자체에도 문제가 없지는 않으나 史論 또는 史觀이 가지는 깊이성과 난해함으로 하여금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