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signor) : 수출지에서 물품을 보내는 화물의 주인(화주) 수하인(consignee) : 수입지에서 물품을 수령하는 화물의 주인*선화증권 (船貨證券) 선하증권 (船荷證券 ... bank 개설은행의 백지배서 (화물의 소유권은) 개설은행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짐 지시식 선하증권(order B/L)TipTip*► 기명식 선하증권 : 수하인(consignee ... )와 착화통지처(Notify party)가 동일 무역거래에서 무신용장 방식(송금 및 추심방식)의 경우에 많이 사용됨 어느 특정인에게 수출물품을 인도하도록 이미 지정되어 있는 B/L(양
선화증권(船貨證券)의 종류와 기재사항1. 선화증권 (B/L) 의 개념 및 의의1) 선화증권의 개념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이란, 일반적으로 선하증권(船荷證券 ... ) 또는 선화증권(船貨證券)으로 표현되며,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법적으로는 선하증권으로 표현된다.선하증권은 쉽게 말해,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운송 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 ... 다. 이는 화주(貨主)의 청구에 따라 선장(실제로는 선박회사 또는 포워딩)이 발행한다.2) 선화증권의 의의선화증권은 B/L상에 기재된 화물의 권리를 구체화하는 것으로서 B/L의 양도
Lading)-目 次-▣ 선화증권(船貨證券, Bill of Lading)1. 선화증권의 정의2. 선화증권의 종류3. 선화증권의 기능4. 선화증권의 역활5. 선화증권의 발행방식6. 선화 ... -제3판, 김정수, 박영사10. 국제물류론, 진성구, (주)학문사▣ 선화증권)(船貨證券, Bill of Lading)의 정의1. 선화증권의 정의선하증권은 화물은 선적 또는 선적 ... 과 관련되어 심사대상이 되는 ‘선적일’로 인정됨.(3) 통용 선화증권(通用船荷證券 ; Through B/L)Through B/L은 운송화물이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서로 다른 둘 이상
)과 선화증권(船貨證券)의 차이? 선하증권(船貨證券)의 선하(船荷)는 뱃짐을 뜻하는 일본어의 표현으로 이것은 일본책들을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선화증권(船貨 ... 證券)의 선화(船貨)는 화주 "화(貨)"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실제는 선하증권 또는 선화증권으로 둘 다 병용해서 사용되고 있다.(2) 선하증권의 기원? 초기에는 물량 ... 되었다는 사실을 운송인, 선장 또는 그 대리인이 인정하여 서명한 서류?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운송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有價證券), 선박 회사가 화주로부터 위탁받
(船荷證券)과 선화증권(船貨證券)의 차이선하증권(船貨證券)의 선하(船荷)는 뱃짐을 뜻하는 일본어의 표현으로 이것은 일본책들을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선화 ... 증권(船貨證券)의 선화(船貨)는 화주 "화(貨)"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실제는 선하증권 또는 선화증권으로 둘 다 병용해서 사용되고 있다.2.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 ... Lading)이란 하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운송계약에 의해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有價證券)이다. 다시 말하면 선주가 자기 선박에 화주로부터 의뢰받은 운송화물을 적재 또는 적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