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 것은 궁궐영건도감의궤이다. 영건도감의궤에는 공사가 진행되는 주요 전각을 그린 그림들이 담겨있다. 이 도형들에는 건물 정면을 기본형으로 하면서도 각기 다른 입체적 화법을 사용 ... 한다.둘째, 창경궁영건도감의궤에 의하면 통명전은 1790년에 소실되었다가 1833년 11월에 이르러서야 중건되기 시작하는데 동궐도에는 터만 그려져 있다.셋째, 궁궐지에 1830년 ... 로만 확인 가능하여 한계를 가진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가시적인 자료로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파악가능하다. 공간구조를 나타내는 고지도로는 동궐도, 동궐도형, 서궐도안, 북궐도형이 남아있
고 있다.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에는 정면 4칸에 팔작지붕의 건물로 묘사되어 있으며 기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 건물이 2층으로 되어 하층에 기둥이 열립(列立 ... 가 병환에 있다가 이 건물에서 회복되어 이 곳을 '집경지소(集慶之所)'라고 하여 개명하였다고 《궁궐지(宮闕志)》에 적혀 있다. 《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에 묘사된 건물은 정면 ... 왕조 인조이후에는 법정 동궐에 버금가는 이궁 서궐이었다. 그랬던 경희궁 터에 일제 시기로 들어갈 무렵 일본인 자제들을 위한 총독부중학교가 들어섰고, 해방이후에는 그 터에 서울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