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11)
  • 리포트(10)
  • 논문(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상형이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 검색결과 1-11 / 11건

  • 訓民正音의 ‘象形而字倣古篆’에 대하여 (On the ‘sangheongijabanggojeon’(象形而字倣古篆) of Hun-min-jeong-eum)
    국어학회 홍윤표
    논문 | 1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9 | 수정일 2025.06.16
  • 훈민정임 정인지 서문/후서
    까지도 그28자를 창제하시고, 간략하게 예의(例義)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七調. 三極之義 二氣之妙 莫不該括(상형자방고전 인성이음협칠조 ... )그러나, 세계는 기후와 토질이 서로 나누어져 있으며, 말소리의 기운도 또한 이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정인지 후서 내용정리盖外國之語 有其聲而無其字 (개외국지어 유기성이무기자)그런데 ... 대개 다른 나라(중국 이외)의 말은 그 말소리는 있으나, 그 글자는 없다.假中國之字以通其用 是猶汭鑿之捿?也 豈能達而無曖乎(가중국문자이통기용 시유예착지서어야 기능달이부애호)그래서 중국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6.26
  • 훈민정음 창제원리
    최만리 상소)‘字形雖倣古之篆文(자형수방고지전문)’(세종 28년 9월 조 정인지 서문)‘象形而字倣古篆(상형자방고전)’등의 기록을 통해 ‘고전’을 본 떠 한글을 만들었다고 하였는데, 이 ... 훈민정음 창제원리1. 훈민정음 기원설1.1 古篆 기원설(세종 25년 12월 조)‘是月上親製諺文二十八字其字倣古篆’ 이라는 기록에 기원을 둔다. 이 외에도(세종 26년 2월 조 ... )’이수광의 권 18에서 ‘我國諺書字? 全倣梵字(아국언서자양 전방범자)’황윤석의 에서 ‘我訓民正音淵源 … 而終不出於梵字範圍矣(아훈민정음연원 … 이종불출어범자범위의’라고 하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2.07
  • 훈민정음의 기원설
    었던 정인지 서문에 있다. ‘象形而字倣古篆’에서 상형(象形)과 자방고전(字倣古篆)을 분리하여 생각하여, 제자 방식으로써의 ‘상형’, 그리고 최만리의 지적에서처럼 자형을 뜻하는 것 ... 기원설에 대해서 논의하고 상형설 가운데에서는 발음기관 상형설을 논의하고자 한다.Ⅱ. 본 론1. 고전(古篆) 기원설고전 기원설은 훈민정음의 정인지 서문의 ‘象形而字倣古篆’라는 기록 ... 되었을 개연성 역시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적으로 이를 모방했다는 가설은 수긍하기 힘들다.)5. 발음기관 상형 기원설정인지가 쓴 『훈민정음 해례본』서문에서는 “象形而字倣古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6.30
  • 4. 훈민정음 해례본(정인지 서문)
    치 못하는 것이다.癸亥冬.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 略揭例義以示之 名曰訓民正音.계해동. 아전하창제정음이십팔자 약게예의이시지 명왈훈민정음.象形而字倣古篆 因聲而音犀七調. 三極之義 二氣之妙 ... 莫不該括상형자방고전 인성이음서칠조. 삼극지의 이기지묘 막불해괄以二十八字而轉換無窮 簡而要 精而通. 故智者不終朝而會 愚者可浹旬而學이이십팔자이전환무궁 간이요 정이통. 고지자불종조이회 ... 으로써) 온갖 사물의 사정에 통하게 하였고,以載三才之道 而後世不能易也. 然四方風土區別 聲氣亦隨而異焉.이재삼재지도 이후세불능역야. 연사방풍토구별 성기역수이리언.盖外國之語 有其聲而無其字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06.20
  • 한글의 기원과 한글의 창제 원리
    ’이라고 구절도 이 기원설의 근거로 내세워지고 있는데, 다만 ‘象形而字倣古篆’에서 ‘상형’과 ‘자방고전’을 분리시켜 ‘상형’은 제자 방식을 말한 것이고, ‘자방고전’은 최만리가 지적한 대로 ... 으나(字形雖倣古之篆文)”(세종 26년 2월)라고 되어 있어 이 설을 더욱 뒷받침하였다.또, 세종 28년 9월조에 실려 있는 정인지의 ≪훈민정음≫ 서문 가운데 ‘象形而字倣古篆 ... (古篆起源說) : ≪세종실록≫ 세종 25년 12월조(권 제102, 42장)에 “이 달에 임금께서 친히 언문 28자를 만드시니, 그 글자가 고전을 본떴다(是月上親製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4.30
  • [훈민정음]훈민정음의 기원과 제자 원리
    訓民正音의 기원과 제자원리-목차-1. 훈민정음의 기원1-1. 자방고전 (字倣古篆)1-1-1. 전서모방설1-1-2. 파스파문자 기원설1-2. 상형 (象形)1-2-1.발음기관의 상형 ... 상친제언문 이십팔자기자방고전 (是月上親制諺文 二十八字其字倣古篆)에서의 자방고전이라는 구절과 정인지가 쓴 훈민정음서문의 字倣古篆 , 최만리의 한글이 상고때 전서를 모방했다 는 내용 ... 했듯이 자방고전 이란 구절은 세종실록 권 102, 25년 12월 기사是月上親制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篆(이 달에 친히 임금께서 한글 28자를 만드셨다. 그 글자는 고전(古篆) 을 모방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08.16
  • [한글][한글맞춤법][한글의 우수성][한글기원][국어]한글의 우수성과 한글 기원 이론(한글 맞춤법, 한글 음성문자체계 원리,응용, 한글 기원에 관한 이론, 가림토 문자의 기원설, 몽고의 팔사파, 한자 기원설, 한글)
    . 한자 기원설(漢字起源說)정인지는 훈민정음해례(세종28년) 서문에서 훈민정음은 한자의 상형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즉 한글은 상형(象形)에서 비롯 ... 됐고, 전서(篆書)를 모방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훈민정음 설명에 상형자화성기물수체힐굴명시야(象形者畵成其物隨體詰明是也)라는 것은 구체적인 실물을 표시하고자 사실적으로 나타낸 것이 상형이 ... 라고 하여 그 예로 日, 月을 들었다. 이 설명에는 중국 동한(東漢)시대 당시 허신이 지은 설문해자서에서 한자의 구성형태가 육서(六書)라는 원칙에서 만들어졌고, 그 원칙 중에 상형(象形
    리포트 | 19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07.06.19
  • [어학 한국어사] 훈민정음 기원설
    而字倣古篆”을 ‘상형’과 ‘자방고전’으로 분리시켜 생각해 상형은 제자 방식을 말한 것이고, 자방고전은 최만리가 지적한 대로 자형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한다는 설)도 있다. 고전 ... 기원설에 따르면 字倣古篆이란 말의 뜻은 훈민정음의 글자체가 중국의 옛 글자인 ‘고전’의 글자체와 비슷하다는 뜻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설은 이덕무의 청장관전서 가운데의 ?葉記 ... 점은 그뿐이 아니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내용에 의하면 한글은 세종대왕이 발음기관을 상형해 만들었다는 것에 이견이 없지만 그 本이 되는 글자가 있을 수 있고 또 制字原理가 들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12.20
  • [국어국문학] 한글의 기원에 대한 여러 논의와 그에 대한 고찰
    된이후, 원본의 제자해에서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와 같이 象形 을 바탕으로 한 것임을 밝히고 있어, 발음기관의 상태나 작용을 본떠 만들어진 것 이라고 설명하는 발음기관 상형설 ... 한다宗實錄 25년 12월의 기사 是月上親制諺文 二十八字其字倣古篆 와, 정인지의 훈민정음序 의 字倣古篆 , 최만리의 상소문등에 한글의 글자모양이 상고시대 한자의 전서를 모방했다고 전하 ... 다는 뜻이아니라 ,고전의 꼴을 본떠서(象形) 글자를 만드어 놓았는데 그 상형한 것이 고전 글자모양과 비슷한 모양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았고, 박종국(한국어발달사,문지사,1966)은 전술
    리포트 | 10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2.11.24
  • [국어국문학] 훈민정음 기원설
    자 그대로 옛날 한자로 보는 이 나오게 되었다. 정인지의 훈민정음 서문 '상형자방고전(象形而字倣古篆)' 에서의'고전'과 최만리의 반대 상소문에서 언급되는 '자형수방고지전문(字形雖 ... 이 구구했던 것은 1940년 전까지 훈민정음의 기원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 세종 25년 '자방고전(字倣古篆);글자는 고전을 본떴다>라는 한 구절밖에 없었기 때문이다.여기서 '고전'을 글 ... 70년 앞섰다. 미국의 역사학자 레드야드는 「고전(古篆)」을 「蒙古篆字(몽고전자)」의 약자로 보아, 훈민정음이 파스파문자를 본뜬 것으로 간주했다.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파스파문자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4.03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