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第五節)傷寒表證상한표증夫傷寒之候,頭項痛,腰脊彊,身體拘急,表熱惡寒,不煩燥,無自汗,或頭面目痛,肌熱鼻乾,或胸滿而喘,手足指末微厥,脈浮數而緊者,皆邪熱在表,皆麻黃湯發汗之證也.상한의 징후 ... ,憂愁思慮?怒驚恐,傳染?汗後遺熱勞復諸疾,兼解兩感傷寒,能遍身結滯,宣通和氣而愈.익원산을 오래 복용하면 뜻을 강하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하고 얼굴에 주입하여 더욱 오래살고 중서와 상한 역려 ... 를 해독하고, 굶주림과 배부르며 노손을 치료하고, 우울, 근심, 사려, 분노, 놀람, 공포와 전염의 발한 후에 남은 열과 노복의 여러 증상과 겸하여 양감 상한을 풀고 온몸의 결체
==3(第四節)主療4절 주된 치료.傷寒表證當汗而不可下。상한 표증은 응당 발한해야 하지 사하하면 안 된다.反下之則畜熱內餘,而成結胸,或爲虛?懊?,喘滿腹痛下利不止,發黃驚狂斑出諸熱變 ... ,或天水散之類亦佳。상한에 땀이 없으면 표병에 이가 조화되면 마황탕으로 발한하고 혹은 천수산의 종류 또한 좋다.身熱 惡寒 無汗 脈浮緊而數者。몸이 뜨겁고 오한하고 땀이 없고 부긴맥이 ... 하게 사하風不可服麻黃湯。땀이 없는 상한은 계지탕을 복용할 수 없으니 땀이 있는 상풍증에 마황탕을 복용할 수 없다.半在表半在裏,(脈在肌肉而半入於裏),白虎湯和解之,病在裏脈當?也,大承氣湯下之
), 《내경운기요지론》(內經運氣要旨論), 《상한직격》(傷寒直格), 《상한표본심법류췌》(傷寒標本心法類萃), 《삼소론》(三消論), 《소문약주》(素問藥注), 《의방정요》(醫方精要) 등이 있 ... 希雍頗能變化장개빈은 법도를 지키고 무희용은 변화에 능숙했다.介賓尙?補而希雍頗用寒凉 亦若易水 河間장개빈은 온보를 숭상하나 무희옹은 한량약을 잘사용하니 또 역수학파 유하간과 비슷 ... 젠시) 출신이다. 그의 출신지를 따서 유하간(劉河間)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금원사대가(金元四大家) 가운데 한 사람이기도 하다.유완소는 금나라 각지를 오가면서 민간에서 의사로 근무
의 특징論(삼소론)·傷寒直格(상한직격)·傷寒標本心法類萃(상한표본심법류췌)등이다. (문화콘텐츠닷컴 , 한국콘텐츠진흥원)*李?(밝을 고; ?-총8획; ga?o):金(금)대의 이름 난 의학자 ... 의 논의는 기백과 황제 이외에 진월인[편작]도 또 비방을 면치 못합니다.其論方則自張機《金?要略》、《傷寒論》之外, 孫思邈、劉守眞、李?、朱震亨皆遭駁詰。처방논의는 장기 금궤요략, 상한 ... (유하간)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오랫동안 민간에서 임상을 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의술을 펼쳤을 뿐만 아니라 의학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素門(소문)을 수십 년간 온 마음을 기울여 연구
3(第十三節)?3 제 13절 비傷寒表裏俱熱,下證未全,法當和解,誤下之早則成?,心下?滿而不痛,按之軟虛也。상한의 표리가 모두 열증이고 사하하는 증이 완전하지 않으면 법에 응당 화해 ... 게 된다.夫傷寒之燥熱者,因於大發吐下或嘔吐瀉痢,自汗過多.상한의 조열은 크게 구토 사하를 발생하고 구토하고 설사 이질하며 자한이 과다하게 된다.或陽熱太甚,損陰耗液亡液,則血衰而成燥熱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