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 「인자(仁者)의 사소(事小)」라는 개념을 버리고 대신 「교린」의 일반적인 의미를 축소시켜 일본 ? 여진 등에 적용시키고 있다.※명과의 대외관계대명정책⑴ 고려말의 대명관계조선 ... 의 왕래-물물교류-조선의 일본인식조선의 대외관흔히 조선의 대외정책을 사대교린이란 말로 압축하여 표현한다. 중국에 대해서는 성(誠)으로써 사대외교를, 일본과 여진 등에 대하여는 신(信 ... )으로써 교린외교를 펴나간다는 것이 조선의 사대교린정책이다. 조선의 사대교린은 곧 《맹자(孟子)》에 나오는 「지자(智者)의 事大(사대)」와 「교린(交隣)의 도(道)」를 결합시킨 용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