邁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발해고(渤海考)》 《사군지(四郡志)》가 있다.그의 시에 있어서 표현양상의 특색은 첫째, 회화성(繪?性)이다. 이것은 바로 그의 시화상통론(詩 ... 되었다. 연행과 직접 관련된 것으로서 《열하기행시주(熱河紀行詩註)》 《연대재유록(燕臺再游錄)》이 있고, 연행할 때의 단상(斷想)들을 모아 놓은 《금대억어(金臺臆語)》가 《후운록(後雲 ... 와 문화의식이 바탕이 되어 역사와 고적에 대한 기행 견문 등이 취택되었고, 가장 자연스러운 자기 표출의 양태로서 술회의 시가 되었다.그는 박학의 동점에 따른 실학적 문학풍으로 기궤와 첨
을 주었다고 하니 문화생활사적 의의가 더 크다 하겠다.3) 열하기행시주(熱河紀行詩註)이 책은 1790년(정조14) 열하 지방을 여행하며 지은 기행시집이다. 그때 유득공은 청 고종 ... 은 당시에 일고 있었던 폐사군(廢四郡) 복구 논의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기도 하다.6. 마치며이상으로 실학자 유득공의 생애와 그의 수령으로서의 모습, 관심사 및 역사관 ... 에서 우리 역사의 무대였던 만주를 잃어버린 데에 대해 통탄하였고 , 『사군지』 서문에서는 조선의 숭문억무 정책을 비판하면서 북방영토를 강건하고 상무적인 기질의 고향으로 생각하였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