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대륙붕사건(North sea continental shelf case)The Court must now proceed to the last stage in the ... 다. 그리고 지금 연방공화국을 포함하여, 모든 국가들에게 구속력이 있는 국제관습법이 되고 있는 이 규정(등거리원칙)은 각각의 북해대륙붕지역의 당사국들 사이에서 경계를 획정하는 데 ... bisfy this requirement.법원은 제네바협약 이후에 대륙붕 경계획정에 관한 문제에서 국가들의 관행이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켜주는 방식으로 존재해왔는지를 지금 고려
규칙의 존재에 의해 의무적으로 만든다는 법적 확신이 있어야 한다. 국제사법재판소는 국제관습법이 짧은 시간 내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북해대륙붕사건’판결은 국가관행이 광 ... 개념은 원래 서양에서 비롯되었다. 영어로 ‘right', 독일어로‘recht', 프랑스어로 ’droit'라 한다. 이 개념이 19세기 일본에서 ‘권리(權利)'로 번역되어 동아시아 ... 법위하고 실질적으로 통일되어 있다면 짧은 시간 내에도 국제관습법이 형성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니카라과 사건’에서는 국가들의 행동이 그 규칙과 일반적으로 합치되는 것으로 충분
를 보이는 것이다(ICJ 북해대륙붕사건).(4) 법적 신념주관적 요건으로서의 법적 신념이란 당해 행위의 실행 또는 억제가 법적 권리·의무의 관념을 갖는다는 규범적 인식이다. 일반 ... 할 수도 있다('리비아-말타 대륙붕사건참조).2) 조약(1) 입법조약과 양자조약조약은 국제법 주체간에 맺어지는 문서에 의한 합의이다(비엔나 조약법조약 제2조 1a). 조약은 체약국간 ... 법재판소의 관할권은 국가가 이를 수락할 때만 발생한다. 어떤 사건에 대하여 국제사법재판소가 관할권을 갖게 되더라도, 그 사건이 법적 분쟁이 아니고, 정치적 분쟁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하였다.③ ICJ규정 제36조에 기초하여 국가가 재판소의 관할권에 동의하는 방법과 관련 사례관할권의근거관할권이 인정된 대표적인 사례제36조 1항분쟁발생후의 특별부탁합의북해대륙붕사건 ... 동티모르 사건에서 포르투갈은 오스트레일리아가 티모르·갭 구역의 대륙붕의 탐사, 개발권에 대해 인도네시아와 교섭하여 조약을 체결한 것은 동티모르 인민의 자결권이나 시정국 ... : 1967년 서독 대 네덜란드, 서독 대 덴마크 특별부탁합의튀니지·리비아 대륙붕사건: 1977년 튀니지 대 리비아 특별부탁합의분쟁발생 후, 일방당사자의 제소와 여기에 대한 동의(응소관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