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 누각을 중심으로 4 개의 단층누각이 배열되었는데 , 그 사이 리본을 매단 악기 등이 날고 있다 .( 4) 제 4 관 – 나무에 관한 명상 ( 보수관 〔 寶樹觀 〕) 나무 ... 하였다 . (4) 제 4 관 - 수관 ( 樹觀 ) : 일렬로 늘어선 보수 ( 寶樹 ) 를 표현하였다 .(5) 제 5 관 - 지관 ( 池觀 ) : 학 ․ 공작 ․ 앵무새 ․ 가릉빈가 ... ( 華座 觀 ) : 보개 ( 寶蓋 ) 를 갖춘 대좌 ( 臺座 ) 와 외연대를 장식하는 보수와 당 ( 幢 ) 도 섬세하게 표현했다 . (8) 제 8 관 - 상관 ( 像觀 ) : 아미타삼존
무상 무아의 소리를 넓혀 이르니? 이水想이니일후미第二觀이라이想일쩌긔낫나치- 이 水想이니 일후미 第二觀이라 이 想 일쩌긔 낫나치=> 이것이 수상이니 이름이 제이관이다? 이상일쩌긔낫 ... 까지 이르지 못하니 이것이 지상이니 이름이 제3관이다? 부톄阿難이?려니?샤?네부텻마?디녀未來世옛一切大衆이受苦벗고져?리爲?야- 부톄 阿難이?려 니?샤? 네 부텻 마? 디녀 未來世옛 ... 의 죄를 면하여 다른 세상에? 淨國에一定히나리니이보미正觀이오다?보?邪觀이라- 淨國에 一定히 나리니 이 보미 正觀이오 다? 보? 邪觀이라=> 정국에 일정하게 나리니 이렇게 봄이 전관
방편으로 제시한 수행법이다.십육관은 일관(日觀:日想觀), 수관(水觀:水想觀), 지상관(地想觀), 보수관(寶樹觀), 보지관(寶池觀), 보루관(寶樓觀), 화좌관(華座觀), 상관(像觀 ... 에서 말하는 십육관(十六觀) 중 하나이다. 십육관이란 말은 『관무량수경』에 나오는 말로서, 석가모니가 위제희 부인과 다음 세상에 태어날 중생들을 위해 그들이 극락세계에 가서 태어나는 한 ... ), 진신관(眞身觀), 관음관(觀音觀), 세지관(勢至觀), 보관(普觀), 잡상관(雜想觀), 상배관(上輩觀), 중배관, 하배관 등의 16가지이다. 각기 상·중·하의 3류(類)가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