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가치관 부재, 모럴이 없다는 것이 한계 - 백철?대상(현실)을 객관적으로 표현하면 리얼리즘이라는 최재서의 입장에 반박.?현실을 객관적으로 표현해도 리얼리즘이 되지 않는 이유 ... 적 태도에 백철이 반기를 듦.)※ 백철의리얼리즘?본질이 거짓(가상)으로 둘러 싸여 있기 때문에 객관적 태도로 본다고 해도 보이지 않으므로 대질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로 거짓을 뚫 ... 음.?박태원의 ‘천변풍경’을 리얼리즘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현실 접근의 객관적 성과를 인정하였고, 이상의 ‘날개’를 리얼리즘의 심화라는 관점에서 현대적인 삶의 모순과 자기 분열의 실재
반론에 나선다. 최재서의 글이 발표된 이듬해, 백철은 『사해공론』에 실린 「리얼리즘의재고」를 통하여 최재서의 주장에 제동을 걸고 나선다.그 일상적 현실은 현실적 진실을 의미 ... 한 는 그동안 암묵적으로 합의되었던 리얼리즘의 개념, 즉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정당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개념의 제시였다. 이에 따라 백철, 임화, 한효 등의 카프계 비평가들은 즉각적인 ... 하는 바가 아니라 오히려 리얼리즘이 배격해야하는 방향이었던 것이다.백철에 이어 임화 역시도 같은 해 10월 동아일보에 발표한 에서 최재서의 주장을 비판한다. 이 글에서 임화는 ‘이상
소재서▣ 백철소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성을 작가의 태도와 의식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 [리얼리즘의 확대와 심화](1936.10) : 예술의 리얼리티가 외부의 세계 또는 내부의 세계 ... * [리얼리즘의재고](1937.1) : 인간 중심의 태도를 작가에게 요구하면서 시대적 위기에 직면하여 문학기 모두가 가장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방법의 문제가 아니라 자신 ... 정책의 변경에 따라 강요되었다는 한계점), 식민주의적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문학을 통해 문제 삼을 수 있게 되었음- 1930년대 모더니즘 경향 (계급문단의 붕괴와 리얼리즘
라고 규정한다. 그런데 백철, 김우종도 사실주의 관점에서 위의 입장을 계승하여 현진건의 사실주의적 경향을 추론한다. 다만 백철이 현진건 문학의 특색으로 사상성보다는 수법의 사실 ... 에 있어서는 몇 가지 상반되는 쟁점이 가로놓여있다. 다른 작가와 마찬가지로 자연주의와 사실주의 혹은 리얼리즘을 둘러싼 소설경향의 문제, 현진건 단편소설의 성격과 특질에 대한 문제 ... 하였다는 형가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장 단편양식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평가로 김재용 이상경 등이 분석한 것처럼 현진건은 단편양식의 양식적 제약 속에서 자신의 의도하는 바에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