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162)
  • 방송통신대(155)
  • 리포트(5)
  • 시험자료(2)

바로가기

방송통신대 - 2025 방송통신대 리포트 및 과제물 업데이트, 중간고사/기말고사자료
EasyAI “방통대식용작물학2” 관련 자료
외 68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방통대식용작물학2" 검색결과 1-20 / 162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2, 중간과제물
    202x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 제출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2?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 ... 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2. 본론1) 주요 연구자와 이론(1) 알퐁스 드캉돌알퐁스 드캉돌(A. DeCandolle)은 식물학을 중심으로 고생물학, 역사학, 고고학 ... 으로 재배식물의 발상지를 밝히고자 하였고,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유전자중심설'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먼저 식물학적 명명법의 학명으로 작물을 속과 종으로 분류하고, 같은 종을 변종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5.06.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용작물학2 방통대 농학과 과제
    배양 감자줄기의 대량증식」. 식물생명공학회지. 류수노 외 1인. 2017. 『식용작물학Ⅱ』.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출판원. 류수노 외 1인. 2021.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회. ...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 제출용) ? 교과목명 : 식용작물학2 ? 학번 : ? 성명 : ? 연락처 : ? 과제유형 (공통형/지정형) : 지정 ... . 본론 1. 밭작물에서 조직배양이 이용되는 분야를 설명하시오. 1) 유전자원 보존 2) 대량생산 3) 무병식물체 생산 4) 약배양 5) 배배양과 배주배양 6) 원형질체 배양 Ⅲ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5.01.23
  • 방송대 농학과 3학년 2학기 식용작물학1 과제
    3학년 2학기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식용작물학Ⅰ학 번 :성 명 :연 락 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목 차Ⅰ. 서론--------------------------------------------------------------------------2Ⅱ. 본론--------------------------------------------------------------------------21. 국내 쌀 생산량---------------------------------------------------------22. 국내 쌀 소비---------------------------------------------------------33. 국내 쌀 수출입 현황---------------------------------------------------------34. 세계 쌀 생산량---------------------------------------------------------45. 세계 쌀 수출입 현황---------------------------------------------------------5Ⅲ. 결론---------------------------------------------------------6Ⅳ. 참고문헌---------------------------------------------------------6Ⅰ. 서론쌀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아시아 주요 국가의 주식이다. 농경사회로부터 발전해온 대부분의 국가가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사회가 발전하고, 서구문화의 유입, 세계화가 되어가면서 식생활이 변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쌀은 주식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국내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쌀 생산과 유통 현황을 알아보고 그 변화가 우리나라 농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Ⅱ. 본론1. 국내 쌀 생산량국내 쌀 생산량은 2015년 4,327천톤에서 2019년 3,744톤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이는 연평균증가율(CAGR)이 -3.55%로 역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배면적 또한 2015년 799천ha에서 2019년 730천ha로 연평균 -2.25%로 감소하고 있다.출처: 통계청 2019 농작물생산조사, 미곡생산량벼 경지면적 또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5년 799천ha였던 벼 경지면적은 2019년 729천ha로 감소했다. 이는 경작가능면적이 1,575천ha(2015년)에서 1,532천ha(2019년)로 감소한 것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다만 경지 이용률은 2015년(50.7%)보다 감소했으나 2016년 ~ 2019년 경지 이용률이 47.4% ~ 48.2%)로 유지되는 것을 볼 때 이용률 자체가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구분*************0182019벼 경지면적799,344778,734754,713737,673729,814경지 이용률(%)50.748.247.847.447.6경작가능면적1,575,9331,616,4431,579,8751,556,2941,532,578(단위: ha, %)통계청, 2019 농작물 생산조사2. 국내 쌀 소비1인당 쌀 소비량도 감소하고 있다. 2015년 1인당 1일 쌀 소비량이 174g에서 2019년에는 162g으로 감소했으며, 연간 소비량도 69.8kg(2015년)에서 66.1kg(2019년)으로 감소하였다.출처: 통계청, 20193. 국내 쌀 수출입 현황국내의 쌀 수출과 수입현황은 USDA에서 발표한 세계 쌀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2015년 2천Ton에서 2019년 55천Ton으로 증가했으며, 수입은 313천Ton(2015년)에서 550천Ton(2019년)으로 변화가 있으나, 증가나 감소의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고 있다. 국내 쌀의 수출과 수입은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조사 되었다.구분20152016201720182019수출24645355수입313412377292550(단위: 1,000 Ton)출처: USDA, 2020, world rice trade(milled basis)4. 세계 쌀 생산세계 쌀 생산량은 ‘16년 ~ ‘17년 491 Million Ton에서 ‘19년 ~ ‘20년에 495 Million Ton으로 변화가 있으나, 증감은 크지 않으며, 매년 유사한 수준으로 생산되고 있다. 중국과 인도는 세계 쌀 생산량에 53.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시아 주요국가의 쌀 생산량은 세계 생산량의 65.41%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단위: Million Tons)지역주요국가'16~'17'17 ~ '18'18~'19'19~'20북아메리카미국7.15.77.15.9멕시코0.20.20.20.2(구)소련연방러시아0.70.60.70.7아시아중국147.8148.9148.5146.7인도109.7112.9116.5118.4인도네시아36.937.034.234.0파키스탄6.87.57.37.2태국19.220.420.317.7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0.90.90.80.8브라질8.48.27.17.6기타153.3152.9153.9156.1합계491.0495.2496.6495.3출처: USDA, 2020, World crop(rice) production summary5. 세계 쌀 수출입 현황세계 쌀 유통량 중 수출량은 ‘20년기준 44,510천Ton이며 수입은 40,957천Ton에 이른다. 주목할 만한 점은 중국의 2015년 ~ 2016년 수출량은 400천Ton 미만이었으나, 이후 3,400천Ton까지 증가하였다. ‘20년 기준 중국은 수입량(2,300천Ton)과 수출량(3,400천Ton)에 큰 차이가 없으나 미국은 수입량(1,025천Ton)보다 수출량(3,225천Ton)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단위: 1,000 Ton)Countries201520162017201820192020Exporters42,76940,23548,15547,67643,27344,510Burma1,7351,3003,3502,7502,5002,700Cambodia1,1501,0501,1501,3001,3501,400China2623681,1732,0592,7203,400India11,04610,06212,57311,7919,79010,500Pakistan4,0004,1003,6473,9134,6004,400Thailand9,7799,86711,61511,0567,5627,500United States3,3813,3433,3492,7803,1353,225Vietnam6,6065,0886,4886,5906,5817,000Others481050574810543750354385Importers39,49236,89044,05544,78040,37940,957China5,1504,6005,9004,5002,6002,300Cote d'Ivoire1,1501,3001,3501,5001,4001,450European Union1,7861,8161,9901,9222,1592,200Indonesia1,3501,0503502,3506001,000Iran1,3001,1001,4001,2501,2001,050Iraq1,0009301,0601,2001,2201,150Malaysia1,0518239008001,0001,000Nigeria2,1002,1002,5002,1001,8001,500Philippines2,0008001,2002,5002,9002,500Saudi Arabia1,6011,2601,1951,2901,4251,450Senegal9909801,1001,1001,0001,050South Africa9939581,0541,0719661,050United Arab Emirates580670700775850925United States7577677879169811,025Others176841773622569215062027821307출처: USDA, 2020, World Rice Markets and TradeⅢ. 결론국내 쌀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경작지 면적도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 변화가 큰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연평균 -3.55%의 높은 생산량의 감소율에 비해 1인당 소비량의 감소율은 -1.35%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또한 2017년 이후 소폭 증가한 수출량과 연도별 일정치 않은 수입량도 국내 농업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대부분의 생산량이 국내 소비가 되는 현실에서 국내 쌀 소비에 대한 상황이 변화하지 않을 경우 쌀 농업의 위축은 불가피해 보인다.따라서, 국내 쌀 농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쌀 수입량이 많은 아프리카와 중동 국가에 대한 수출전략을 통한 판로확대, 소비를 진작시킬 수 있는 쌀을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 신품종 개발을 통한 고품질 쌀의 생산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이 필수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확대는 국내 쌀 생산농가의 생계형 농업을 탈피하여 생산성 향상, 경영기법 도입 등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며, 국가적 차원의 시장확대 및 국제 유통 대응전략이 필요하며, 현실적인 관점에서 볼 때 단기간에 해소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의 쌀 소비 및 유통현황 분석 결과는 당분간 쌀 농업은 지속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판단된다.Ⅳ. 참고문헌박순직 외 『식용작물학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통계청, 2019 농작물 생산조사 보고서USDA, usda.library.cornell.edu, World rice markets and trade, world rice product and usePAGE2 / NUMPAGES2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3.07.1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통신대_식용작물학2_씨감자 생산의 중요성과 생산방법을 설명하시오.
    2022학년도 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2?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형):지정 ... 때 주식 대신 섭취할 수 있는 일명 ‘구황작물’의 대표적인 종류 중 하나인 감자는 예로부터 조상님들의 한 끼 ‘식사’ 대용으로 활용됐다. 충분한 영양소와 포만감을 가지고 있는데 ... (soul food)’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감자는 심지어 주류인 소주와 보드카를 제조하는 데도 주재료로 사용된다.2) 감자의 특징감자는 미네랄, 주요 무기성분인 철분, 마그네슘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6.19
  • 방송대 농학과 식용작물학1 3학년 2학기 기말평가
    3학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 제출용교과목명 : 식용작물학1학 번 :성 명 :연 락 처 :평가유형 : 과제물형---------------------------------------------------------------------------[과제명]벼의 기상생태형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조생종 벼를 필리핀에서 재배했을 때 예상되는 생육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목 차Ⅰ. 서론--------------------------------2Ⅱ. 본론--------------------------------21. 벼의 기상생태형--------------------------------22. 조생종 벼의 필리핀 재배---------------------------------3Ⅲ. 결론--------------------------------4Ⅳ. 참고문헌---------------------------------5Ⅰ. 서론쌀생산량의 90%를 아시아에서 생산하는 이유는 벼가 가진 기후생태학적 특성에 기인한다. 아시아는 대륙과 해양 사이의 기온차에 의해 발생하는 계절풍이 불어오는 몬순기후이다. 몬순기후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많은 비를 내리게 한다. 벼는 이러한 높은 기온과 많은 수량에 잘 적응한 작물이다. 아시아는 몬순기후에 따라 내리는 많은 비를 가두어 벼 농사를 짖는다. 대표적인 나라가 인도대륙의 동남주지방과 동남아시아, 그리고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북아시아 지역이 대표적인 나라이다. 그러나 쌀의 주 생산지인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특히 일본과 한국에서 재배하는 쌀의 품종은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일본과 한국은 자포니카종을 주로 재배하고, 기타 지역은 인디카종을 재배한다. 또한 주로 쌀을 재배하고 있는 아시아지역도 지역에 따라 벼 재배와 관련된 기후 특성에 차이가 있다. 본 과제에서는 벼의 기상생태형에 대해서 알아보고, 우리나라 조생종벼(자포니카종)를 필리핀에서 재배했을 경우 예상되는 생육특성에 대해 살표보고자 한다.Ⅱ. 본론1. 벼의 기상생태형우선 우리나라 벼 농사기간의 기상조건을 살펴보면 모내기때 비가 적고 영양생장기에 비가 많으며, 생식생장기는 볕이 많은 특징을 나타낸다. 즉 모내기가 시작되는 4월 ~ 6월은 비가 적고 볕이 많아 모내기가 유리한 조건이며, 7월 ~ 8월은 높은 기온과 비 그리고 볕이 적은데 이는 벼의 이삭꽃 수를 감소시키는 등 벼의 생육에는 불리한 조건이지만, 품종개량과 재배기술로 이를 극복하여 재배하고 있다. 9월 ~ 10월은 비교적 온도가 낮으며, 볕이 많아 이삭이 여무는데 좋은 조건이다.즉 벼의 생육에 적합한 기온은 생육과정별로 다르다. 또한 품종이나 벼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다.[표1] 벼 생육과정별 최적 및 최저 · 최고 한계온도( 단위: ℃ )생육과정최적온도최저온도최고온도싹틀 때못자리때뿌리내릴 때새끼칠 때이삭밸 때(감수분열기)출수 · 개화기수정익음때(40일 평균)30 ~ 3220 ~ 2525 ~ 2825 ~ 3030 ~ 3230 ~ 3530 ~ 3321 ~ 22101012 ~ 1310 ~ 1517 ~ 191517 ~ 2010 ~ *************035302. 조생종벼의 필리핀 재배조생종 벼는 찬기견딜성을 강화한 품종개량한 벼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후와 필리핀의 기후 특성에 따라 조생종 벼의 생육특성이 달리 나타날 것이다.[그래프 1] 한국과 필리핀의 월별 기온 및 강우량, 출처: 각국 기상청한국은 7월 ~ 8월에 강수량과 월평균 기온이 크게 상승한다. 7월의 평균기온이 25.8℃, 8월의 평균기온이 27.2℃로 가장 높으며, 동일 기간 강우량도 각각 194.4mm, 190.5mm로 연중 가장 많은 비가 내린다. 필리핀은 연평균 기온이 27.8℃이며, 이 기온은 연중 거의 변화가 없다. 강우량은 6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의 평균 강우량이 204.6mm로 나머지 기간인 2월부터 5월까지 평균 7.6mm보다 많다.필리핀에서 한국의 조생종 벼를 재배할 경우 생장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강우량, 일조량, 기온 3가지로 볼 수 있다. 이 때 강우량은 지하수나 강에서의 급수를 통해 해소 가능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나, 일조량과 기온은 한국의 조생종 벼 생육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그래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리핀의 연중 월별 기온은 약 27℃로 균일하다. 다만 4월에는 33℃ ~ 34℃의 고온이 지속된다. 따라서 벼의 생육과정 별 최적기온을 기준으로 생육특성을 예상할 때 못자리(최적기온 20℃ ~ 25℃, 최고 35℃), 뿌리내릴때(최적기온 25℃ ~ 28℃, 최고 35℃), 익음때(최적기온 21℃ ~ 22℃, 최고 30℃)에서 최적 생장을 보이므로, 평균 기온이 약 28℃이므로 벼 생장에 최적기온이라고 보기 어렵다. 특히 모 생장의 최적 온도는 25℃ ~ 30℃이나, 40℃ 이상이 되면 모가 죽게 되므로, 고온이 예상되는 필리핀에서는 모 생장시점이 최고 기온기인 4월을 피해야 할 것이다. 수확기에는 기온이 높은 필리핀에서는 수확전 이삭발아가 우려된다. 한국에서도 온난화의 영향으로 벼 이삭발아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Ⅲ. 결론벼의 재배는 재배지역의 기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벼는 높은 기온과 풍부한 수량, 일조량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작물이다. 한국은 4계절이 존재하는 국가로 예로부터 벼의 품종개량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러한 노력으로 한국의 농촌진흥청에서 2019년 필리핀에 “벼 우량종자 생산 및 보급 시범마을 사업”을 통해 벼 생산량이 30%가 증가된 사례가 있다. 이런 사례를 볼 때 필리핀의 기후조건에 맞는 벼 품종을 선별할 경우 한국보다 높은 생장특성을 보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한국의 조생종 벼 품종은 대부분 낮은 기온을 극복할 수 있는 품종으로 개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리핀에서의 한국 품종을 재배할 경우 조생종보다는 일반 종이 더 좋은 생산성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Ⅳ. 참고문헌ㅇ 박순직 외 『식용작물학 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ㅇ 농촌진흥청(www.rda.go.kr)ㅇ 대한민국 기상청( HYPERLINK "http://www.weather.go.kr" www.weather.go.kr)ㅇ 필리핀 기상청( HYPERLINK "http://www.pagasa.dost.gov.ph" www.pagasa.dost.gov.ph)PAGE2 / NUMPAGES2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3.07.1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통신대학교 2023학년도1학기 식용작물학2(A형) - 옥수수와 콩의 잎ㆍ줄기ㆍ뿌리 내부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023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2?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형):A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옥수수와 콩의 잎ㆍ줄기ㆍ뿌리 내부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0점)Ⅰ. 옥수수1. 잎의 형태와 구조2. 줄기의 형태와 구조3. 뿌리의 형태와 구조Ⅱ. 콩1. 잎의 형태와 구조2. 줄기의 형태와 구조3. 뿌리의 형태와 구조Ⅲ. 옥수수와 콩 내부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1. 잎2. 줄기3. 뿌리참고문헌Ⅰ. 옥수수1. 잎의 형태와 구조옥수수에서는 종이를 말아 놓은 것 같은 형태의 잎이 나온다. 이를 첫잎(초생엽)이라 한다. 첫잎은 어린싹이라고 불리는 어린줄기를 보호하며 땅을 뚫고 올라온다. 땅 위로 올라온 첫잎은 며칠이 지나면 말라 버린다. 땅속 종자에서는 아래로는 뿌리가 자라고 위로는 줄기가 자란다. 종자와 위쪽 줄기 첫째마디 사이는 중배축이라고 한다. 보통 옥수수 줄기에는 20개에서 23개의 마디가 잇다. 잎은 여기에 1개씩 달린다. “땅 위에서 제5∼7마디에 달리는 잎은 크기가 작은 편이며 그 후 생기는 잎은 점차 커지는데 암이삭이 형성되는 마디의 잎이 가장 크다.” 하지만 암이삭이 달리는 마디의 위쪽 잎에서부터는 다시 크기가 작아진다. 생장점에서 이삭과 잎이 형성되는데 초기에는 생장점이 땅속에 있다 점차 땅 위로 올라온다. 생장점에선 초기에 잎만 나오다 파종 후 30일에서 40일이 지나면 어린 꽃이 형성된다.2. 줄기의 형태와 구조옥수수는 외떡잎식물이다. 줄기의 각 마디마다 잎이 달리며, 잎은 마디에서 발생해 줄기를 감싸며 자라다 옆으로 뻗는다. 줄기를 감싼 부위는 잎집(엽초)라 하며 옆으로 뻗은 부위는 잎몸(엽신)이라 한다. 잎몸과 잎집의 경계에는 잎혀(엽설)과 잎귀(엽이)가 있는데 이는 보리, 벼 등과 동일한 특징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단단한 껍질이 줄기의 둘레를 둘러쌓고 있다. 밀이나 보리와는 다르게 줄기의 속(수)이 차 있다. 줄기는 절이라 불리는 마디와 절간이라 불리는 마디사이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12개에서 14개의 마디가 있다. 줄기에서 가지를 치는 경우도 있고 품종에 따라 곁가지가 많이 달리기도 한다. 줄기의 단면을 살펴보면 관다발이 산만히 흩어져 분포한 모습이다.3. 뿌리의 형태와 구조옥수수의 뿌리는 종자근, 어린뿌리, 곁뿌리, 수염뿌리 등 4가지로 구분된다. 옥수수 종자를 심으면 가장 먼저 약간 굵은 뿌리 하나가 싹터 나오는데 이것이 어린뿌리이다. 종자근은 어린뿌리가 나온 후에 나오는 몇 개의 약간 가는 형태 뿌리이다. 종자근과 어린뿌리는 길게 자라지 않는다. 곧이어 지하줄기 아랫부분에서 많은 수염뿌리가 나온다. 지표에 가까운 지상줄기의 마디에서도 뿌리가 나오는데 이는 곁뿌리이다. 종자가 싹트면 잎들이 자란다. 종자에 저장된 양분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종자근과 어린뿌리가 이 시기에 수분과 양분을 흡수해준다. 그러니 이 뿌리들은 본잎이 제 기능을 수행하면 곧 죽어 버린다. 이후에는 많은 수염뿌리가 식물체지지 및 수분흡수 등 뿌리의 본격적인 기능을 대부분 담당한다.지상 마디에서 나오는 곁뿌리는 튼튼하고 굵으며 마디에서 여러 개가 둥글게 발생해 땅 쪽으로 자란다. 곁뿌리는 식물체를 지지하고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Ⅱ. 콩1. 잎의 형태와 구조콩의 잎은 자엽, 초생엽, 본엽으로 구분된다. 종자가 싹틀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자엽(떡잎)은 2장이 나오며 껍질을 벗긴 종자가 반쪽으로 펼쳐진 것이다. 이는 콩나물의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 자엽은 햇빛을 받아 엽록소를 형성하며 녹색으로 변한다. 초생엽의 경우 떡잎 윗마디에 서로 마주보며 달리는 2장의 홑잎이다. 크기는 작고 타원형이다. 일반적으로 본엽은 3장의 소엽으로 구성되며 품종에 따라 4장이거나 5장인 경우도 있다. 본엽을 이루는 소엽의 모양은 길쭉한 모양과 타원형으로 나뉘며 품종에 따라서 크기와 모양에는 차이가 있다.“자엽은 황색과 녹색으로 구별되며, 황색인 것은 등숙기에 잎이 일찍 황변하거나 탈락하는 경향이 있다.” 자엽과 초생엽 및 제1복엽의 경우 큰 것은 대체로 종실이 크다. 반면 장엽인 것은 꼬투리당 종실수가 많은 특징을 지닌다. 콩의 잎은 낮에는 위로 구부러지고 아침이나 저녁에는 수평이 되는 취면운동을 한다.2. 줄기의 형태와 구조콩의 줄기는 주경이라 불리는 중심줄기와 분지라고 불리는 주경에서 뻗어나간 가지로 구분된다. 중심줄기는 보통 14개에서 16개의 마디가 있는데 생육 정도와 품종에 따라 6개에서 23개로 변이를 보인다. 가지와 중심줄기의 각 마디에는 잎이 달리고 꼬투리도 달리고 꽃도 핀다. 꽃이 피기 시작하면 줄기 생장이 느려지며 꽃이 완전히 지고 꼬투리가 생기면 생장을 멈춘다. 이는 생육습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콩의 줄기는 만화형을 특징으로 한다. 콩은 재배종에 따라서 진정만화형, 가변만화형, 특수만화형, 정상형으로 구분된다. 진정만화형은 유전적 특성으로 환경조건과는 관계없이 만화하는 것이다. 가변만화형은 환경변화에 의해 만화하는 것으로 일찍 파종하는 경우 나타난다. 특수만화형이란 만화되지는 않으나 가지가 길게 자라 만화 경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비료를 많이 쓰거나 밀식을 하는 경우, 너무 일찍 파종하는 경우에 도장 및 만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줄기가 자라는 습성은 신육형이라 하는데 이는 3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유한신육형이다. 이는 꽃 피는 방향이 일정치 않고 대부분의 마디에서 며칠 내에 꽃이 동시에 피기 시작한다. 따라서 꼬투리도 거의 동일한 시기에 형성되고 자란다. 보급된 장려품종과 우리나라 재래종 대부분이 유한신육형에 속한다. 둘째, 무한신육형이다. 꽃이 중심줄기 아래쪽 마디에서 피어나 점차 윗마디로 피어 간다. 먼저 피는 아래쪽 마디의 꼬투리가 만들어지고 윗마디로 갈수록 꼬투리 발달은 뒤떨어진다. 아주 늦게 개화한 일부 꼬투리의 경우에는 종실이 미숙일 경우도 있다. 미국과 만주 지역에서 상업용으로 재배하는 대부분의 품종이 무한신육형에 속한다. 셋째, 반무한신육형이다. 이는 유한신육형과 무한신육형 품종의 중간 특성을 지닌 품종이다.줄기의 각 마디에서 형성된 잎이나 가지는 중심줄기와 일정 각을 이루며 품종에 따라 가지의 발생 정도에도 차이가 있다. 동일한 품종을 일찍 심거나 넓게 심으면 가지의 발생이 많아지는 반면 늦게 심거나 좁게 심으면 가지의 발생은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가지가 길고 각도가 커서 1개체가 점유하는 공간이 넓은 광초폭형과 가지 수가 적고 짧거나 또는 각도가 작아 1개체의 점유공간이 좁은 협초폭형이 있다.” 이외에도 광초폭형과 협초폭형의 중간 성질을 지닌 중간형도 있다.3. 뿌리의 형태와 구조콩에서 싹이 트면 먼저 1개의 뿌리가 나오고 이것이 자리서 뿌리의 원뿌리를 형성한다. 식물체가 자람에 따라 원뿌리에서 많은 곁뿌리(지근)가 생기고 여기서 다섯 자리를 친 잔뿌리(세근)이 나온다. 지표면 가까이 있는 줄기 쪽을 흙으로 덮을 경우 여기서도 곁뿌리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는 부정근이라 한다. 곁뿌리 끝부분이나 어린싹 부분을 확대경으로 보면 솜털과 같은 미세한 뿌리가 나 있는데 이는 뿌리털(근모)라고 하며 뿌리털은 물 흡수 역할을 담당한다. 콩의 뿌리 분포는 토양상태, 품종, 생육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고 중심뿌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30cm에서 70cm정도 범위로 분포한다. 생육이 왕성하고 토양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1m 이상 자리기도 한다. 콩을 심고 1∼2주일이 흐르면 뿌리 부분에 작은 혹이 생기며 이것들이 점차 커지는데 이를 뿌리혹(근류)라고 한다.뿌리혹 내에는 수많은 세균이 살고 있고 이를 뿌리혹박테리아(근류균)이라고 한다. 뿌리털이 생김과 동시에 수분흡수가 시작된다. 또한 토양 내에 있는 뿌리혹박테리아가 뿌리털을 통해 콩 뿌리로 침입하여 증식한다. 콩 식물체로부터 번식 공간(뿌리혹)과 당을 제공받는 세균은 공기에 있는 질소를 변형시켜서 콩 식물체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뿌리혹박테리아와 콩 식물체는 도움을 주고받는 공생관계라고 볼 수 있다. 질소는 식물에게 꼭 필요한 영양요소로서 뿌리를 통해 공급되고 뿌리로 흡수된 질소는 대부분 질산태이다. 질소는 공기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식물은 질소를 기체상태로 이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뿌리혹박테리아와 같이 기체상태의 질소를 암모니아태로 바꿔서 공급해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은 질소고정이라고 한다.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3.07.25
  •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용작물학2(C형)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2019학년도 1학기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식용작물학2학 번 :성 명 :연 락 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제유형 : ( C ) 형○ 과 제 명 :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Ⅰ. 서론Ⅱ. 본론1. 감자 수확 후 주요 손실요인1) 기계적 상처에 의한 손실2) 증산작용에 의한 손실3) 호흡에 의한 손실4) 싹 자람에 의한 손실2. 감자 수확 후 손실방지요령1) 상처치유2) 저온저장3) 싹의 발생 억제3. 감자의 저장방법1) 공간적 구분에 따른 감자의 저장방법2) 시간적 구분에 따른 감자의 저장방법Ⅲ. 결론참고자료Ⅰ. 서론감자는 세계 4대 식량작물 중 하나로 에너지 급원인 탄수화물뿐만 아니라 채소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 C를 비롯한 각종 미네랄 영양소를 골고루 지닌 작물이다. “전 세계 13억 명의 인구를 먹여 살리고 있는 감자는 밀과 쌀 다음으로 중요한 식량 작물로 세계 감자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중국은 최근 20년 사이 감자 수확량이 2배로 늘었다. 인도와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는 식량 안보에서 감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아프리카 국가들도 감자 생산량을 계속 늘린다는 방침이다.”이렇게 세계 인구의 주식 및 부식의 역할을 하고 있는 감자는 수확 후 관리가 재배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감자를 수확한 이후에 관리법과 관련하여 감자의 주요 손실요인과 손실방지요령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감자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공간적 구분에 따른 저장방법(상자저장, 시렁저장, 땅속저장)과 시간적 구분에 따른 저장방법(예비저장, 본저장)에 대해 알아보겠다.Ⅱ. 본론1. 감자 수확 후 주요 손실요인모든 작물의 수확 후 관리는, 수확된 작물이 시장으로 출하될 상품이라는 것 외에 여전히 살아 숨 쉬는 하나의 생명체라는 것의 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감자 또한 살아 숨 쉬는 생명체라고 인식하기 위해서는 먼저 감자에 대한 식물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덩이줄기는 식물학적으로 줄기에 해당한다. 수확된 감자는 덩이줄기 내부에 저장된 탄수화물(전분)을 이용하여 대사활동을 하고 표피조직을 통해서 수분을 내보내는 증산작용을 한다. 또한 휴면에서 깨면 싹이 나기 시작하는데, 감자의 수확 후 관리는 이러한 세 가지 대사활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자의 저장 수명은 이용하기 곤란할 정도로 싹이 나거나, 심하게 부패한 시점 혹은 지나치게 수분 손실이 진행된 고유의 형태를 잃는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감자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해 알아보겠다.1) 기계적 상처에 의한 손실감자를 수확하고 선별하여 포장 및 운송하는 과정에서 기계적인 상처에 의해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감자의 박피현상과 눌림으로 인해 껍질이 벗겨져 내부조직이 검게 변하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감자 품질 자체도 떨어지지만 이차적으로 이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감염되어 부패나 호흡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자의 중량이 감소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2) 증산작용에 의한 손실증산작용이랑 식물이 뿌리로 흡수한 물을 잎에 있는 기공을 통해 대기로 뿜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수확된 감자는 기존에 내재한 수분을 잎을 통해 뿜어내는 반면 뿌리를 통한 물 흡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는 감자의 무게가 적어지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감자의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감자의 증산작용이 활발해지지 않도록 저장조건을 조정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증산작용은 높은 온도에서 심화되기 때문에 증산작용에 따른 손실 예방을 위해서는 저장 온도 조절이 필수적이다.3) 호흡에 의한 손실호흡에 의한 손실은 감자가 외부에서 산소를 흡수한 후 당을 분해하고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하는 생명 현상을 말한다. 그 호흡에 이용되는 당은 조직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분으로부터 발생된 것이므로 감자의 호흡에 의한 당의 손실은 곧 전분 손실을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감자의 무게 감소를 가져온다.4) 싹 자람에 의한 손실“감자가 수확기에 들어서기 시작하면 내부적으로 휴면 상태가 시작된다. 이 경우 외부환경이 적절한 상태가 유지되면 싹이 나지 않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휴면이 깨지면 급속도로 싹이 나기 시작한다. 싹은 그 자체로고 감자의 품질을 저하시키지만, 싹을 통한 왕성한 증산작용에 의해 감자의 무게가 급격히 줄어들어 그 피해가 더 심해진다.” 따라서 감자 저장 과정에서 싹 자람을 억제시키는 것이야말로 감자 저장기간 연장에 관건이다. 감자에 싹이 나기 시작하는 시점은 그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동일한 품종일 경우 4∼5℃ 내의 범위에서 발생과 자람이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된다.2. 감자 수확 후 손실방지요령1) 상처치유감자를 수확하는 중에 발생한 상처는 심한 경우 어느 정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가벼운 상처는 그 상처를 선별적으로 치유한 후 저장한다. 일단 수확된 감자는 음건하여 표피를 어느 정도 말린 후 창고에 적재하는데 그 후 10∼14일 정도의 기간 동안 80∼85%의 습도와 12∼18℃의 온도조건을 유지시켜 주면 상처가 매우 효과적으로 치유된다.2) 저온저장감자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각종 손실요인은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씨감자로 이용하거나 식용으로 사용할 경우 저장고 내의 온도를 4℃ 내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러나 가공원료 감자의 경우 10℃ 이하로 유지시켜야 제품의 품질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10℃ 이하에서 감자는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는 작용이 촉진되고, 양이 많아진 당이 프렌치프라이 같은 감자의 주요 가공제품 제조 시에 그 제품의 색깔을 변질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3) 싹의 발생 억제저장 중 일정기간이 지나면 감자의 휴면이 깨지면서 싹이 돋고 저장 중 손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싹의 발생이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저장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대표적이다.3. 감자의 저장방법감자를 오랫동안 좋음 품질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확 후 관리와 그 시기가 중요하다. 중간산지나 중북부지역은 봄 감자의 수확시기와 장마철이 시기가 겹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비교적 토양이 건조할 때 수확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감자 저장에 알맞은 온도는 1∼4℃이고, 습도는 70∼80%이다. 감자는 8℃이상이면 싹이 나고, 영하 1℃이하가 되면 얼게 된다.” 감자의 저장방법은 공간적 구분에 따라 상자저장, 시렁저장, 땅속저장의 방법이 있으며, 시간적 구분에 따라 예비저장과 본저장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1) 공간적 구분에 따른 감자의 저장방법감자의 저장법을 공간적으로 구분하면 상자저장, 시렁저장, 땅속저장의 방법이 있다.상자저장은 상자에 저장하는 방법인데 겉면에는 환기가 될 수 있는 바람구멍이 있어야 한다. 감자를 너무 뺵빽하게 담아두면 통풍이 잘 안되기 때문에 감자 속살이 변색되거나 썩게 된다. “도시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자저장을 할 때 감자 싹이 일찍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상자 안에 사과 한 두 개를 넣어두면 매우 좋다. 이것은 사과에서 발산하는 에텔렌 가스가 감자 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시렁저장은 대부분 가정에서 여름철에 쓰는 방법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의 저장방법에 유용하다. 시골에서는 헛간이나 광에, 도시에서는 다용도실에 시렁을 매달고 바닥에는 대나무발등을 대고 감자를 넣어서 보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시렁 저장법 또한 너무 많이 감자를 쌓아 두면 안에서 감자가 썩기 쉽기 때문에 갑자는 30cm 정도로 쌓아두는 것이 적당하다.땅속저장은 “깊이 40∼70Cm, 직경 2m 넓이의 구덩이를 파고, 아랫바닥과 옆에 짚과 이엉을 깔아서 감자가 직접 흙에 닿지 않도록 한 뒤에 약 300kg 정도의 감자를 넣고, 이엉과 흙을 덮어 보관하는 방법이다.” 이때 배수구와 공기구멍을 설치해야 하고, 약 15cm 정도의 두께로 흙을 덮고,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 감자가 얼지 않도록 흙을 더 두텁게 덮어 주어야 한다.2) 시간적 구분에 따른 감자의 저장방법(1) 예비저장감자를 수확한 직후에는 대사활동에 의해서 호흡량이 증가하는 등 감자의 품질이 저하될 요인이 발생되므로 예비저장을 실시하는데, 감자 예비 저장이란 수확한 감자를 바로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지 않고 감자의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저장온도, 습도조절 및 환기를 해주는 것이다. 예비저장은 10∼14일 정도 서늘하고 그늘 진 곳, 햇빛이 들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지하실·창고·헛간 등에서 감자를 펴서 말리고 적당히 3회 정도 뒤집어가면서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썩은 것을 골라낸다. 예비저장을 통해 병든 감자를 골라내고, 상처 난 감자를 치료해야 무름병이나 곰팡이류의 감염을 막을 수 있다. 예비저장을 거친 후에는 용도에 맞게 저장조건을 잘 맞추어 주어야 한다. “상처치유 환경은 온도 12∼18℃, 습도 80∼85%가 적당하다. 보통 감자의 상처 보호조직은 고온에서 효과적으로 재생되는데, 2.5∼5℃에서 2주, 10℃에서는 4일, 그리고 20℃에서는 2일 저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본저장“감자는 이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저장온도가 다르다. 가공용 감자의 경우에는 환원당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7∼10℃에서 저장하며, 다음 작형에서 씨감자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장기 저장할 경우에는 싹의 조기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4℃ 정도에 저장하도록 한다. 반면 봄에 수확한 감자를 가을에 씨감자로 쓰기 위하여 저장하는 경우에는 18∼20℃의 조건에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저장하여 휴면이 빨리 깨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 식용감자는 4℃ 내외에서 저장하고, 한 달 안에 사용할 경우 10℃ 내외 또는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이 좋다. 가공용 감자는 저온에서 저장할 때 환원당 함량이 증가해 가공품 제조 시 색이 좋지 않으므로 일반 식용감자보다 높은 온도인 7℃∼8℃ 정도로 저장한다.”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2.16
  • [방송통신대학교 2019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식용작물학2(C형)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
    2019학년도 1학기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식용작물학2학 번 :성 명 :연 락 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제유형 : ( C ) 형○ 과 제 명 : 감자의 수확 후 관리의 중요성과 저장방법을 구체적으로 조사 설명하시오.Ⅰ. 서론Ⅱ. 본론1. 감자의 수확 후 관리 중요성1) 수확 후 주요 손실요인2) 수확 후 손실방지요령2. 감자의 저장방법1) 예비저장2) 본저장Ⅲ. 결론참고자료Ⅰ. 서론식용작물 감자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작물이다. 우리는 평소에도 감자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으며, 즐겨 먹곤 한다. 하지만 감자의 원산지가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안데스산맥 고원지대라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감자는 스페인이 16세기 후반 잉카제국을 정복하게 되면서 많은 유물 및 식량과 함께 처음 유럽에 가져간 후로 전 세계적인 식량이 되어왔다. “현재 감자는 전 세계 150여 개국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연간 2억 6000만∼3억 1000만 톤이 생산되고 있어 옥수수·져·밀에 이어 세계 제4위의 중요한 식량작물이다. 감자는 식량작물로서 전분에서 유래한 에너지 급원뿐만 아니라 채소가 지니고 있는 비타민 C를 비롯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지니고 있는 작물이다.”감자는 전 세계적으로도 대표적인 작물로서 고산지대에서 아프리카의 사막지대, 심지어 시베리아 지역에서부터 적도 지역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봄부터 여름, 가을 겨울까지 4계절 내내 생산되고 있다. 모든 작물의 상품성은 재배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수확후 관리 단계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감자를 수확한 이후 관리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손실요인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감자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예비저장과 본저장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다.Ⅱ. 본론1. 감자의 수확 후 관리 중요성“우리가 식용으로 하는 감자 덩이줄기는 식물학적으로 줄기에 해당한다. 수확된 감자는 덩이줄기 내부에 저장된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대사활동을 하고 표피조직을 통해서 수분을 내보내는 증산작용을 한다. 또한 휴면에서 깨면 싹이 나기 시작하는데, 감자의 수확 후 관리는 이러한 세 가지 대사활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부터는 감자를 수확한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손실요인들과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1) 수확 후 주요 손실요인일반적으로 감자의 저장수명은 감자가 부패하거나 이용이 곤란할 정도의 싹이 난 시점, 혹은 지나친 수분손실로 인해 고유의 형태를 잃어버린 시점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감자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기계적 상처에 의한 손실감자를 수확·선별 및 포장·운송·적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처에 의해 손실되는 경우이다. 감자의 박피현상, 즉 껍질이 벗겨지는 과정에서 눌림에 의해 내부조직이 검게 손상되는 것이 기계적 상처에 대표적인 증상이다. 이러한 원인은 감자 품질 자체를 떨어트리기도 하지만 이차적으로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감염되어 호흡량이 증가하거나 감염되어 감자의 중량이 감소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2) 증산작용에 의한 손실“포장에 심은 감자 뿌리에서 수분을 끊임없이 흡수하고 잎이나 덩이줄기 표피를 통해 수분을 배출한다. 감자가 수확될 경우 수분증산은 계속되나 뿌리를 통한 흡수가 차단되므로 감량의 주요 원인이 된다.” 감자의 증산작용에 의한 손실은 저장하는 온도가 높을수록 심해진다. 따라서 감자를 저장하는 목적에 맞는 저장조건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3) 호흡에 의한 손실감자의 호흡에 의한 손실은 외부에서 산소를 흡수하여 당을 분해하고 이산화탄소와 물을 방출하는 생명 현상을 말한다. 호흡에 이용되는 당은 감자 조직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분에서 발생된 것이므로 호흡에 의한 당의 손실은 곧 전분 손실을 일으키고, 궁극적으로는 감자의 무게 감소를 야기한다.(4) 싹 자람에 의한 손실감자가 수확기에 들어서기 시작하면 내부적으로 휴면 상태가 시작된다. 이 경우 외부환경이 적절한 상태가 유지되면 싹이 나지 않지만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휴면이 깨지면 급속도로 싹이 나기 시작한다. “싹은 그 자체로고 감자의 품질을 저하시키지만, 싹을 통한 왕성한 증산작용에 의해 감자의 무게가 급격히 줄어들어 그 피해가 더 심해진다. 따라서 감자 저장에서 싹의 자람을 억제시키는 것이 저장기간 연장에 관건이 된다. 감자의 싹이 자라기 시작하는 시점은 품종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동일한 품종일 경우 4∼5℃ 범위에서 발생과 자람이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된다.”2) 수확 후 손실방지요령감자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각종 손실요인의 발생을 최대한 줄여야한다. 즉, 수확 전후에 일련의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상처를 최소화하고, 주요 손실요인인 증산과 호흡을 억제시키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 아울러 싹의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1) 상처치유“감자 수확 중 발생한 상처는 심한 경우 선별하여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가벼운 상처는 상처를 치유한 후 저장한다. 일단 수확한 감자는 음건하여 표피를 적당히 말린 후 창고에 적재하여 10∼14일 정도의 기간 동안 12∼18℃의 온도와 80∼85%의 습도조건을 유지시켜 주면 상처조직이 가장 효과적으로 치유된다.” 상처치유는 상품성을 잃을 수도 있는 감자에 인위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써 다시금 상품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2) 저온저장저장 중에 발생하는 각종 손실요인은 일반적으로 저온조건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식용을 목적으로 하거나 씨감자로 이용하는 경우 저장고 내의 온도를 4℃ 내외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가공원료 감자의 경우 10℃ 내외로 유지시켜야 가공제품의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이는 10℃ 이하에서는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는 작용이 촉진되고, 양이 많아진 당이 감자칩이나 프렌치프라이 같은 감자의 주요 가공제품 제조 시 제품의 색깔을 검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3) 싹의 발색 억제저장 중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휴면이 깨지면서 싹이 나 저장 중 손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싹의 발생이나 생장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저장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2. 감자의 저장방법감자의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오랫동안 저장히기 위해선 수확하는 시기와 수확 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중북부지역이나 중산간지는 봄 감자의 수확시기가 장마철과 맞물리기 때문에 가능한 한 토양이 비교적 건조할 때 수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수확한 감자를 바로 저온저장고에 저장하지 않고 예비저장을 실시해야 하며 저장온도, 습도조절 및 환기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예비저장을 통해 상태가 좋지 않거나 병든 감자를 골라내어, 상처 난 감자를 적절한 시기에 치료해야 곰팡이류의 감염이나 무름병을 막을 수 있다. 예비저장 필수적으로 거친 후에 용도에 맞게 본저장 조건을 잘 맞추어 주어야 한다.1) 예비저장감자를 수확한 직후에는 호흡량이 증가하는 등 대사활동에 의해서 감자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수확 후 감자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예비저장을 실시한다. “예비저장은 10∼14일 정도 햇빛이 들지 않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광·헛간·창고·지하실 등에서 감자를 얇게 펴서 말리고 2∼3회 뒤집어 건조시키면서 썩은 것을 골라내는 과정이다. 상처치유 환경은 온도 12∼18℃, 습도 80∼85%가 적당하다. 보통 감자의 상처 보호조직은 고온에서 효과적으로 재생되는데, 2.5∼5℃에서 2주, 10℃에서는 4일, 그리고 20℃에서는 2일 저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비저장 단계를 통해 상품성이 없는 감자를 골라낼 수 있으며, 상처가 난 감자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유 조치를 할 수도 있다.2) 본저장감자는 이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저장온도가 다르다. 가공용 감자의 경우에는 환원당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7∼10℃에서 저장하며, 다음 작형에서 씨감자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장기 저장할 경우에는 싹의 조기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4℃ 정도에 저장하도록 한다. “반면 봄에 수확한 감자를 가을에 씨감자로 쓰기 위하여 저장하는 경우에는 18∼20℃의 조건에서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저장하여 휴면이 빨리 깨도록 하여야 한다.”한편, 감자를 장기간 저장하면서 환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감자의 중심부부터 속이 검게 변하는 현상인 일명 ‘흑색심부’가 발생할 수 있다. “감자는 살아있는 ‘생물’이므로 저장 중에도 숨을 쉰다. 호흡을 통하여 산소를 소모하게 되 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제한된 저장고 내에서 환기를 해주지 않아 소모하게 될 산소가 부족하거나 없어지면 감자는 더 이상 호흡을 하지 못해 세포의 괴사가 발생하게 된다.” 흑색심부는 감자 안의 세포가 죽어 감자 내부의 육색 이 검게 변하는 생리장해라고 봐야한다. 따라서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되는 병은 아니다.대표적인 흑색심부의 증상은 감자 내부중심이 보라색, 검은 회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색되는 현상이다. 변색은 감자 내부중심에서 발생하지만 테두리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호흡장해를 받은 조직은 수축되고 구멍이 나게 되는 데 그러한 구멍의 모습이 고양이눈(Cat’s eye)처럼 보인다. 흑색심부는 재배 중에 침수피해와 고온피해를 받으면 발생되기도 하지만 주로 장기저장 중 저장고 내 환기불량으로 인해 적절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겨울철 저장고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사례가 상당수를 차지한다. 또한 흑색심부는 과도한 적재로 눌려 있는 부분이나 적재 중심부에서 발생하기 쉽다. 그 원인은 이러한 부분들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서이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감자를 바람이 잘 통하는 나무 상자나 플라스틱 상자에 보관하고 환기를 방해하는 자루를 너무 많이 쌓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2.1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통대][방송대][식용작물학2] 콩과 벼를 같은 면적에 재배할 때 벼에 비해 콩의 수량이 적은 이유와 재배ㆍ생리적인 특성을 설명하시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제유형 : ( A ) 형○ 과 제 명 : 콩과 벼를 같은 면적에 재배할 때 벼에 비해 콩의 수량이 적은 이유와 재배ㆍ생리적인 특성을 설명하시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목 차 -서론본론콩의 생리적 특성1) 작물학적 특성2) 영양학적 특성콩의 재배적 특성생육단계생육특성재배기술콩의 생산량 문제작부체계와 파종시기충해수확 전 손실개선을 위한 방안작부체계 개선과 기계화수확 전후 손실 관리결론서론콩은 쌀에 부족한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의 중요한 공급원이며, 식량작물 중 단백질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간장, 된장과 같은 장류의 원료이며 두부와 같은 식품에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식량작물로 재배되고 있다. 세계적인 자유무역 기조와 세계 농업 강국들과의 FTA 체결, 각종 대외 환경 변화에 따른 원자재 값 상승 등으로 인해 우리나라 농업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업은 식량 안보, 국민경제 활성화, 안전한 먹거리 제공 등의 역할을 위해 국가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실제로 열악하고 불리한 환경 가운데서도 국내 농업은 꾸준히 성장 및 발전해왔고, 고령화 및 1인가구 증가와 같은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양질의 안전한 먹거리 소비 또한 증가해 오고 있다.이에 걸맞게 국내 콩 생산을 선진화하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본 과제에서는 콩의 재배 및 생리적 특징과 단위 생산량 증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본론콩의 생리적 특성작물학적 특성콩은 질소고정작용을 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의 질소고정작용은 뿌리혹박테리아와의 공생에 의해 공기중의 질소를 토양으로 고정시켜 콩의 생육 과정에 사용되며 이를 생물학적 질 비료가 아예 필요없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콩의 특성을 이용해 다른 작물과 번갈아 가면서 재배하기에 적합하며 주로 맥류와 결합하여 경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영약학적 특성콩의 종실은 양질의 단백질을 40%나 함유하고 있으며 전분은 거의 없기에 식량작물 중 가장 영양성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식이섬유,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폴린산, 비타민 K, 철, 아연, 인, 칼슘 그리고 마그네슘 등이 들어 있다. 콩 단백질에는 혈압을 높이는 화합물인 안지오텐신(Angiotensin)을 만들어내는 효소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의 기능을 방해하는 항고혈압 펩타이드가 함유되어있다고 밝혀졌으며, 함황아미노산이 적기 때문에 콩팥을 통한 염분의 배출을 감소시켜 칼슘의 손실을 막아 준다. 또한 콩 함유 지질성분은 심혈관계의 질환을 예방하며, 식이섬유는 장 기능을 개선시킨다. 콩의 주요 기능성 물질 중 이소플라본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구성성분은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글리시테인(Glycitein) 등의 세 가지 어글리콘 기본 골격을 갖고 있으며 이들은 갱년기 여성의 주요 질병인 유방암, 자궁암, 골다공증 및 만성의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표1] 콩 유용성분의 기능성콩의 재배적 특성생육단계콩의 생육과정은 크게 영양 생장기와 생식 생장기로 구분할 수 있다. 영양 생장기는 싹이 트고 난 이후부터 꽃이 피기 전까지의 기간이며, 꽃이 피기 시작하는 때부터 완전히 익을 때까지를 생식 생장기라고 한다. 콩은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종자가 싹이 터서 자라고 꽃이 피며 종자가 달려 완전히 익는 콩의 일생을 가지는데, 가장 짧은 것은 75일, 가장 긴 것은 200일 정도 된다. 파종으로부터 개화까지의 일수를 개화일수, 꽃필 때부터 성숙기까지의 일수를 성숙일수라고 한다. 콩의 개화에는 주로 온도와 햇빛 받는 시간인 일장시간이 가장 크게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15∼25℃ 사이에서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개화 시기가. 개화는 꽃잎이 전개되어 암술과 수술이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수정이 일어난 이후에는 이 세포가 계속 나누어져 여러 개의 세포로 늘어나게 된다. 수정의 마지막 단계에는 떡잎(콩 종자의 껍질을 제외한 내부의 두 쪽)이 만들어지게 되고 씨앗(종자)이 커감에 따라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꼬투리도 점차 커지게 된다. 꽃이 핀 후 50∼70일 정도 지나면 꼬투리가 성숙하게 된다. 콩 식물체에 피었던 전체 꽃 수에 비해 나중에 맺히는 꼬투리의 수는 20∼40%에 불과한데 그 이유는 많은 꽃과 어린 꼬투리들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구 분단계 표시외형적 특징영양생장기VE떡잎이 땅 위로 돋아남VC떡잎 전개 완료, 초생엽 전개 시작V1초생엽 전개 완료, 제1본엽 전개 시작V2제1본엽 전개 완료, 제2본엽 전개 시작Vn(n-1)본엽 전개 완료, n번째 본엽 전개 시작생식생장기R1중앙줄기에 첫꽃 개화R2완전한 본엽이 달린 위쪽 2마디 중 1마디에서 개화R3완전한 본엽이 달린 위쪽 4마디 중 1마디에서 5mm 크기의 꼬투리가 달림R4완전한 본엽이 달린 위쪽 4마디 중 1마디에서 2cm 크기의 꼬투리가 달림R5완전한 본엽이 달린 위쪽 4마디 중 1마디의 꼬투리에서 종자가 3mm 크기에 도달함R6꼬투리 비대 최대. 완전한 본엽이 달린 위쪽 4마디 중 1마디의 꼬투리에서 종자가 완전히 자람R7중앙줄기의 정상적인 꼬투리 1개가 품종 고유 색깔이 나타냄R895%의 꼬투리가 품종 고유 색깔을 나타냄[표2] 콩의 생육 단계생육특성콩은 뿌리혹박테리아를 통해서 질소고정작용을 하기 때문에 과다한 생장 및 웃자람이 쉽게 일어나고 해충의 피해도 많아서 씨알(종실)이 잘 차지 않는 경우가 많은 작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영양 생장기의 지나친 생장은 과번무·도장·만화(蔓化)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런 표현은 영양생장의 과잉상태를 의미한다. 이것은 낙화가 많고, 꼬투리가 잘 맺히지 않고 결실이 불량하게 되며, 쓰러짐에 의해서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개화기에서 성숙기에 이르는 기간에는 종실에다른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중 심으로 잎들이 상하운동을 한다. 즉 이 부분이 구부러졌다 펴졌다 하면서 낮에는 잎들을 위로 서게 하고 밤에는 아래로 처지게 된다꼬투리는 일시적으로 양분을 저장하고 기계적으로도 종자를 보호하지만, 생장의 최성기에 종실도 함께 발육되므로 생장의 경합상태가 된다. 꼬투리 색은 녹색에서 성숙기가 되면 품종 고유의 담갈, 갈, 흑색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꼬투리가 잘 터지지 않는 품종이 기계화 수확에 적합하다재배기술콩을 단작하게 되는 경우 토지이용률을 떨어지지만 다른 재배방식에 비해 수확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모작을 하는 경우에는 단기성 조생종 품종을 심는 것이 작부체계에 유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앞 작물을 수확하기 전 콩을 미리 심는 간작 형태로 재배하기도 한다.콩을 안전하게 생산하고 수량성을 높이려면 온도, 수분 및 토양 등의 환경요인을 잘 이해하고 콩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영농기술을 적용하여야 한다. 콩 재배 시 온도 조건은 파종과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요인이며, 수량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콩은 작물 중 비교적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작물로서 물 관리를 철저히 해야만 높은 수량을 기대할 수 있다. 콩은 어떤 토양에서도 비교적 잘 적응하는 작물로 알려져 있지만 많은 수확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토양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이와 같은 재배환경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보다 모든 생육조건이 연관되어 작용한다.콩의 파종 적기는 재배방식과 환경, 품종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단작의 경우는 땅의 온도가 15°C 이상이면 가능한 일찍 심는 것이 유리하다. 기온이 올라갈수록 출아일수가 짧아지며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적인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는 파종기는 5월 상순~6월 하순이다.콩은 다른 작물에 비하여 많은 수분을 요구하는 작물에 속한다. 콩의 물 이용은 전체 생육기간을 통하여 일정하지 않으며, 생육시기별로 보면 발아 후 개화까지 물 소비량이 계속 증가하고 개화기부터 성숙기까지 가장 많은 양을 소비하다가 그 후 감소한다.토양이 너 계속되면 피해가 심하고, 8일간 지속되면 수량이 반으로 줄어든다.콩 재배에 적당한 토양으로는 표면 토양층이 깊고, 토양수분 보유력이 높으며, 배수도 잘 되고, 토양산도가 중성이며, 부식, 석회, 칼리의 함량이 높은 토양이 생육 및 수량 면에서 유리하다. 콩에 알맞은 흙성질(토성)은 사양토나 식양토이지만 모래흙(사토), 질흙(식토), 신개간지 등에서도 어느 정도는 적응한다.콩의 생산량 문제작부체계와 파종시기콩을 단작하는 경우에는 농가의 수익성이 떨어지므로 타 작물과의 작부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농가 수익 증대에 유리하다. 2모작 체계는 지역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데 마늘, 양파, 담배, 감자, 맥류와의 2모작 체계가 안정적으로 수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모작에서 앞 작물의 수확이 늦어지고 콩 파종시기가 장마기간과 겹쳐지면 콩 파종작업이 지연되거나 심할 경우에는 파종을 못할 수도 있다. 콩은 7월 중순까지도 파종이 가능하지만, 파종이 늦어지면 생육량이 부족하여 수량 감소가 심해진다.충해콩의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에는 충해도 대표적이다. 최근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에는 노린재가 있다. 노린재 성충은 꼬투리에 침을 찔러 넣어 수액을 빨아먹기에 종실의 모양을 변형시키고 빈 깍지를 만들게 된다. 노린재 종류는 기주 범위가 넓고 활동력이 크기에 성충의 경우 약제를 이용한 방제가 어렵기에 유충 시기에 방제해야 한다.진딧물의 경우는 콩의 식물체가 어린 시기에 큰 피해를 주며 특히 모자이크병의 원인이 된다. 진딧물 방제약을 이용해 비교적 쉽게 방제할 수 있다. 콩나방의 경우는 콩의 어린 꼬투리에 알을 낳아 유충은 어린 콩을 갉아먹으면서 성장한다. 유충 단계부터는 방제가 어렵기에 알을 낳는 시기에 방제를 해야 효율적이다.수확 전 손실콩 수확 전 손실로는 콩 꼬투리가 터져서 종실이 땅에 떨어져 발생하는 손실로 품종, 기상 및 수확시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수확시기는 콩 꼬투리가 고유의 색깔을 나타내는 성숙기 후 1주일 전후 이지만, 이때 줄기수분함량이 높거나 잎이 푸른 다.
    방송통신대 | 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6.0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대_22학년도1학기)_식용작물학2(D형) - 고구마 뿌리의 분화양상과 재배조건을 설명하시오.
    2022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2?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형):D ... 량이 가장 많기 때문이다. 또한 고구마는 재배가 쉬우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지닌다. 한국인에게 고구마는 매우 익숙한 작물이다. 일반적으로 고구마는 식용으로만 사용 ... . 이를 통해 식용작물로서 고구마의 특징을 이해해보고자 한다.Ⅱ. 본론1. 고구마 뿌리의 이해 및 분화양상1) 고구마 뿌리의 이해고구마 씨앗을 심을 경우 일반적인 쌍떡잎식물과 같이 원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3.02.14
  • 한국방송통신대학식용작물학 2학기 과제물
    2018 학년도 (2)학기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식용작물학학 번 :성 명 :연 락 처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o 과제유형 : ( 공통 ) 형o 과 제 명 :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을 조사하라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 병해충방제 현황을 조사하라- 목 차 -I. 서론II. 본론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1) 우리나라의 벼 생산 및 쌀 소비량2) 세계의 벼 생산 및 쌀 소비량2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9.09.0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통신대_식용작물학2_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2)
    을 줄 수 있는 씨앗을 찾고 있었다. 농업에 대해서 알아가면서 그들의 얼굴이 존경스럽게 느껴졌다. 4. 참고문헌 1) 류수노 외(2017) 식용작물학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 ... 20 학년도 학기 기말시험(과제물) ※ A4용지 편집 사용? 교과목명 : 식용작물학2 ? 학번 : ? 성명 : ? 연락처 : 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 2. 콩 ... 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10점)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20점) 1. 서론 식용작물이란, 밀, 옥수수, 벼 등의 곡류, 감자류, 콩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7.0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통신대_식용작물학2_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3.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을 설명하시오. (1)
    한 본인에게 부끄러움을 느낀다. [참고문헌] - 류수노 외(2017) 식용작물학 II.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제부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콩 재배기술 - 김동민, 2009, 농산학회 ... 20 학년도 학기 기말시험(과제물) ※ A4용지 편집 사용? 교과목명 : 식용작물학2 ? 학번 : ? 성명 : ? 연락처 : 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 2. 콩 ... 식물이다. 학문으로 식용작물학은 작물을 크게, 밭작물, 논작물로 나누고, 하위 작물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다루는 과목이다. 보리나 밀은 보통 가을에 서늘한 계절에 농사를 짓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7.07
  • (방통대 2020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 식용작물학2 C형) 밀가루 품질의 중요성과 밀가루 종류별 이용 방법을 설명하시오.
    2020학년도 1학기 과제물(온라인 제출용)교과목명 :식용작물학2학 번 :성 명 :연 락 처 ... 의 다양한 종류별 이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용작물로써 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보는 계기를 갖고자 한다.Ⅱ. 본론1. 밀가루 품질의 중요성배유율이란 ... .[ 목차 ]Ⅰ. 서론Ⅱ. 본론1. 밀가루 품질의 중요성2. 밀가루 종류별 이용 방법1) 박력분2) 중력분3) 강력분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밀은 전 세계적으로 재배역사가 가장 긴 식량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1.11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2022년 방송통신식용작물학2 기말과제물)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콩의 신육형과 생육특성을 설명하시오 옥수수의 잡종강세와 효율적인 육종방법 설명하시오
    2022 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과제물)※ A4용지 편집 사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2?학번:?성명:?연락처:목차Ⅰ 서론Ⅱ 본론1. 맥류의 파성을 설명하시오. (20점)①종자춘화 ... ·옥수수·수수·보리·감자·고구마·카사바 등이 있다. 또한 영양학적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콩·강낭콩·완두·땅콩·녹두·팥 등도 주요 식용작물에 포함할 수 있다. 밭작물은 크게 일반작물 ... )1)옥수수의 잡종강세2)옥수수의 효율적인 육종방법①1대교잡종품종 ②합성품종 ③방임수분품종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세계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주요 식량작물로는 전분이 주성분인 밀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5.13
  • 식용작물학1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
    2024 학년도 2학기 기말과제물(온라인 제출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1?학번:?성명:?연락처:목차1.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 .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기상생태형을 중심으로 기술할 것, 15점)1) 경기도 지역 재배 벼 품종2) 벼의 기상생태형(1) 기상생태형의 분류(2) 기상 ... 생태형에 따른 재배적 특성(3) 기상생태형에 따른 경기지역 벼 품종의 재배적 특성3) 경기도 지역 재배 벼 품종의 필리핀 보급 시 재배 과정 중 예상 문제점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4.09.13 | 수정일 2024.10.04
  • (방통대 2020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 식용작물학2 A형) 콩과 벼를 같은 면적에 재배할 때 벼에 비해 콩의 수량이 적은 이유와 재배ㆍ생리적인 특성을 설명하시오.
    2020학년도 1학기 과제물(온라인 제출용)교과목명 :식용작물학2학 번 :성 명 :연 락 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과제유형 : ( A ) 형○ 과 제 명 : 콩과 벼를 같은 면적에 재배할 때 벼에 비해 콩의 수량이 적은 이유와 재배ㆍ생리적인 특성을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Ⅱ. 본론1. 재배 시 콩이 벼에 비해 수량이 적은 이유2. 콩의 생리적 특성3. 콩의 재배적 특성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한국인의 주식인 벼(쌀)는 탄수화물이 주성분을 이루는 반면 콩은 지방과 단백질로 고르게 구성되어 있어 벼(쌀)과 함께 섭취할 시 균형 잡힌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콩의 영약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됨에 따라 “콩 단백질은 주식과 부식으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형태로도 이용되고 있고, 콩기름은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식용유 중 야자기름과 더불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업원료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과거 식량이 풍족하지 않았던 인류에게 식용작물은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식품 문화가 발달하고 있으며, 이제는 단순히 생존을 위해 음식을 섭취할 뿐만 아니라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여 건강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식용작물로써 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동일한 면적에서 재배할 때 콩이 벼에 비해 수량이 적은 이유를 살펴보고 콩의 생리적·재배적 특성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Ⅱ. 본론1. 재배 시 콩이 벼에 비해 수량이 적은 이유콩과 벼를 재배하는 환경을 고려했을 때 콩에 비해 벼가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콩은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다. 콩이 발화하기 위해서는 콩의 뿌리가 물을 100% 흡수해야 하는데, 만약 충분한 물이 일한 면적에서 재배하더라도 충분한 물이 공급되지 않은 이상 콩의 수확량이 벼에 비해 적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하여 너무 많은 물을 공급할 경우에는 콩의 종자가 썩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서 콩은 재배조건을 충족하기가 꽤나 까다로운 작물에 속한다. 또한 콩의 종자가 너무 오랫동안 땅속에 잇을 경우 썩을 수도 있고 새나 다른 동물로부터 피해를 받을 수도 있는데 이 또한 콩의 수량이 적어지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콩은 심는 시기에 따라서도 수확량에 큰 차이가 나타난다. 만약 너무 일찍 심게 된다면 “온도가 낮아 싹이 늦게 트고, 자리는 기간이 길어 지상부가 지나치게 자라 쓰러지는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반면 너무 늦게 심으면 수확량이 떨어지며 종자의 성숙도가 나빠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콩의 화기탈락현상은 벼에 비해 수량이 적은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이다. 화기탈락이란 “꽃이나 어린 꼬투리가 정상적으로 다 발달하지 못하고 발육 초기에 많이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콩은 전체 꽃 수 중 꼬투리를 맺는 수의 비율이 20∼45%로 낮은 편이다. 화기탈락현상의 원인은 콩의 꽃이 매우 짧은 기간에 피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기간 동안 종자가 발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분과 수분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 화기탈락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는 콩의 수확률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콩은 토양조건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데 질소가 풍부한 토양에서는 제대로 생육하지 못하며 토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도 뿌리의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뿌리혹박테리아의 활력이 빠르게 떨어진다. “토양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으면 뿌리 근처의 산소가 부족해지고 호흡이 어려워져 뿌리 세포나 조직이 죽으면서 병균의 침입으로 썩는다.” 뿌리가 썩을 경우 수분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콩은 결국 말라죽게 된다. 실제로 밭이 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5일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의 콩 잎은 말라 떨어지게 되고 수확량 또한 크게 감소한다. 이와 같은 요“개체의 잎 면적은 그 식물체에 달려 있는 모든 잎의 면적을 합한 값이며 일정한 밭 면적 안에 심은 모든 개체의 잎 면적을 합한 뒤 그 값을 밭면적으로 나눈 값을 엽면적지수라고 한다.” 콩이 제대로 생육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엽면적지수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엽면적지수가 높을 경우에는 광합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광합성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콩의 수확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엽면적지수를 4∼6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2) 단일조건꽃이 피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일장조건과 적절한 온도가 필요하다. “햇빛을 매일 일정한 시간 이하로 받으면 꽃이 빨리 피는 식물을 단일식물이라고 하는데, 콩은 단일식물에 속하며 한계일장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콩의 개화에 적정한 온도는 15∼25도이며,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개화시기가 앞당겨진다. 온도가 너무 낮을 때에는 꽃이 활짝 피지 못한 채 수정이 이루어지는 폐화수정현상이 나타난다.3) 화기탈락현상콩은 꽃 수에 비해 꼬투리 수의 비율이 20∼45%로 낮은 편에 속한다. 콩의 꽃은 단기간 내에 피기 때문에 이때 제대로 된 영양 및 수분이 공급되지 않으면 화기탈락현상이 심화된다. 이외에도 “저온, 고온, 가뭄, 비가 지나치게 오는 것 등 열악한 환경조건과 병충해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꽃이 피기 전후에 충분한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약 뿌리를 통한 영양 공급이 어려운 경우에는 액체비료를 잎에 뿌려주는 엽면시비를 통해 화기탈락현상을 줄일 수 있다.4) 재배 기후조건콩은 온대성 작물로 재배 적응범위가 넓은 편에 속한다. “밭 상태에서는 기온이 17도 이상이어야 싹이 잘 트며 25∼30도 범위에서 잘 자란다. 꽃눈이 형성되는 시기부터 개화가 시작되는 시기까지는 1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만약 이보다 온도가 낮을 때에는 어린 꽃과 꼬투리가 많이 떨어지게 된다. 성숙기에 고온상태가 지속될 경우 종자의 단백질 함양과 지방 함량이 감소하며 종자가 제대로 비대하지 못한다. 콩 재배 시 햇빛 양은 많 경우에는 뿌리혹박테리아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5) 재배 토양조건콩 재배 시 적합한 토양은 사양토나 식양토이며 유기물과 인산, 칼리 및 석회 성분이 풍부하면 좋다. 토양의 산도는 중성이 가장 좋으면 산성이 높을수록 뿌리혹박테리아의 활력이 떨어져 수확량도 줄어든다. 따라서 토양이 산성토인 경우에는 석회를 뿌려 중성토로 개량하는 것이 좋다. 다만 석회가 너무 과도할 경우에는 철이 결핍될 수 있다. “또한 콩은 소금기가 많은 토양에서는 제대로 생육하지 못하는데, 염분농도가 0.03% 이상이면 생육이 크게 위축되고 수확량도 줄어든다.”3. 콩의 재배적 특성1) 다양한 재배형태콩은 단작, 이모작, 전작, 간작, 후작 등 다양한 형태로 재배할 수 있다. 콩의 재배형태는 “한 토지 내에 수수·옥수수·고구마·들깨와 같이 콩을 심는 혼작, 과수 사이에 콩을 2∼3줄 파종하는 간작, 콩 2∼3줄에 다른 작물 1∼3줄 등을 번갈아 가며 심는 교호작” 등이 있는데 이는 주로 소규모 영농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기계화재배가 많이 이루어짐에 따라 대면적 재배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면적 재배 시에는 단작의 형태가 가장 많다. 또한 최근에는 밭뿐만 아니라 논에서도 콩을 재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는 내도복성과 내습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흑색뿌리썩음병에 강한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이외에도 논콩의 경우 성숙기가 늦기 때문에 전후작물을 고려하여 품종을 선택해야 하며 키가 작고 조숙성 품종이 밀식에 유리하다.2) 종자의 준비콩의 수확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균일한 발아와 왕성한 초기 생육이 매우 중요하다. 살충제는 개화 후 2∼3주가 지나면 뿌리고, 살균제는 수확하기 3주 전에 살포하는 것이 좋다. 종자를 “너무 건조시키면 탈곡과정에서 물리적인 충격으로 종자가 갈라지거나 깨져 발아력을 잃기도 하므로 탈곡기의 회전속도로 콩의 건조 정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종자는 발아시험을 해보는 것이 좋으며, 온도가 낮은 시기 또는 습도가 높은 땅에 발아할 때는 종자 소독을 실량은 줄이는 것이 좋고 척박한 토양에서는 파종량을 늘리고 간격을 좁히는 것이 좋다.3) 파종기파종적기는 기상환경, 재배방식, 품종에 따라 달라진다. 단작 시에는 땅 온도가 15도 이상이며 늦서리 피해가 없도록 이른 시기에 파종하는 것이 좋다. 우리나라에서 콩을 심는 시기는 지역별 차이가 있으나 4월 초부터 7월 초까지의 기간이 적당한다. 가장 많은 수확량을 기대할 수 있는 시기는 5월 상순부터 6월 하순까지의 기간이다. 파종을 너무 일찍 하면 자라는 기간이 길어져 지상부가 쓰러지는 피해가 생기며, 너무 늦게 심으면 수확량이 떨어지고 상품성도 떨어질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콩 심기에 적당한 시기를 보면 여름콩은 4월 하순, 콩 단작의 경우는 5월 상순∼중순, 다른 작물의 후작인 이모작의 경우는 6월 중순∼하순이다.”4) 비료 주기콩밭의 비료 살포량은 인산 3.0, 질소 3.0, 칼리 3..4kg/10a이다. 일반적인 밭에는 복합비료 2포를 사용하면 좋지만 개간한 밭이나 비료성분이 부족한 곳에서는 3포를 뿌려준다. 비료는 콩을 심기 전에 뿌려 주며 개화기 전후나 생육이 부진할 때에는 소량의 질소비료를 잎에 액체로 뿌려줄 수 있다.5) 심는 방법콩을 심는 방법은 고휴재배, 골파종방법, 산파, 무경운조파 등이 존재한다. 이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고휴재배이다. 고휴재배는 트랙터나 경운기를 이용하여 밭을 갈아 높은 이랑을 만든 다음 그 위에 심는 방법이다. 골파종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파고 일정한 간격으로 콩을 심는 방법이다. 흩어뿌림이라고도 불리는 산파의 경우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나 수확량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무경운조파는 잡초가 많이 생기기 때문에 제초제를 사용해야 한다.6) 잡초 제거잡초는 콩의 영양분을 빼앗아 수확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잡초를 완벽히 제거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1.11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식용작물학1(공통) -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장려품종을 세네갈과 같은 지역에 재배했을 때 나타나는 생육상의 특징을 예측 설명하라.
    2022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1?학번:?성명:?연락처:?과제유형(공통형/지정형):공통 ... 은 지역에 재배했을 때 나타나는 생육상의 특징을 예측 설명하라.Ⅰ. 서론Ⅱ. 본론1. 벼의 생태종에 대한 이해2. 세네갈과 같은 지역에 우리나라 장려품종 재배 시 예상되는 생육상 ... 의 특징1) 세네갈의 기후 특성2) 우리나라 장려품종 재배 시 예상되는 생육상의 특징3) 이스리(ISRIZ) 재배 성과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3.02.12
  • 2023년 2학기 방송통신식용작물학1 기말과제물)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
    2023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A4용지 편집 사용?교과목명:식용작물학1?학번:?성명:?연락처: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25점)1) 세계 벼 생산량 추이2)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추이3) 우리나라 벼 생산량 추이4) 우리나라 쌀 소비량 추이5) 분석6) 대책(1) 쌀 생산량 대책(2) 쌀 소비량 대책2.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하시오.(25점)1) 벼의 기상생태형①기본영양생장형 ②감온형 ③감광형 ④ blt형2) 벼품종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재배적 특성① 조만성과 묘대일수감응도② 작기이동과 출수③ 만식적응성과 조식적응성3)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의 재배적 특성(1) 감온형(조생종 벼 장려품종 7개)(2) 중간형(중생종 벼 장려품종 2개)(3) 감광형(중만생종 벼 장려품종 16개)3. 참고문헌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25점)1) 세계 벼 생산량 추이통계청, 2023 국제통계연감단위: 1,000 M/T연도201920202021쌀생산량(조곡 기준)753,286769,228787,2942)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추이통계청, 2021년 농작물생산통계단위: ha연도*************015201620172018201920202021논벼846870831355814334797957777872754339737408729585726180732070밭벼2302127011721387862374265229253407합계8491728326258155067993447787347547137376737298147264327324773) 우리나라 벼 생산량 추이통계청, 2021년 농작물생산통계단위: 톤연도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논벼400련하여 일본은 10년 동안 거의 100%에 수치를 보인다. 우리 정부는 식량자급률을 2022년 기준 44.4%에서 2027년엔 55.5%로 끌어올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로 그 목표를 달성한다고 해도 이는 매우 부족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근본적인 개선 없이는 55.5%도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가장 먼저 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벼를 포함해 식량작물 면적을 늘어야 한다. 그러나 정부는 벼를 심는 면적을 줄여 콩·밀·가루쌀을 심는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인데, 이는 쌀 생산을 줄이고 다른 작물의 생산을 늘리는 것에 불과하고 이 또한 경지면적이 늘이는 방법도 아니다. 또한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따라 매년 40만9000톤 수준의 쌀을 수입하는 것으로 쌀 부족을 해결하려는 입장인데, 이는 식량안보 차원에서 잘못된 접근으로, 장기적으로는 쌀 재배면적을 증가시켜 생산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쌀 재배면적 증대와 함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예산 확대, 관련 연구개발 지원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는 생산성 향상보다는 수량이 적은 고품질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접근이 잘못되었다고 할 것이다.(2) 쌀 소비량 대책앞서 통계로 확인했듯이 식생활이 다양화, 편의화되면서 쌀 소비량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이고,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로 대체식품 소비도 늘어나고 있다. 반면 육류 소비량은 2015년 46.9kg에서 2022년 59.3kg으로 쌀 소비량을 처음으로 추월했다. 이에 따라 2009년 이래 쌀 소비 운동이 범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추진되어 왔고, 2014년 '쌀 가공산업 육성과 쌀 이용 촉진을 위한 5개년 계획'도 시행 중이지만, 쌀 소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는 30년 전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이는 쌀 구매 유도를 위한 홍보 주제가 약하고, 단발성 행사로는 지속 가능한 쌀 소비기반 구축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쌀 농가의 경영 안정과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쌀 소비 촉진 와 농가, 기업 간 협력이 중요하다. 특히 정부는 쌀이 안보라는 국가이익과 부합하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농가와 기업이 쌀 소비 개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뒷받침을 하는 등 주도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2.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하시오.(25점)1) 벼의 기상생태형기상생태형이란, 기상조건 중 온도와 일장에 대한 작물의 출수와 개화반응을 기초로 하여 구별한 것을 말한다. 작물을 일장 및 온도에 따른 출수·개화반응, 즉 기본영양생장성·감온성·감광성의 정도에 따라서 다음 네 가지 기상생태형으로 분류한다.①기본영양생장형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온성·감광성이 작아서 생육기간이 주로 기본영양생장성에 지배되는 형태의 품종을 기본영양생장형(Blt형)이라고 한다.②감온형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이 작고 감온성만이 크므로 생육기간이 감온성에 지배되는 형태의 품종들은 감온형(blT 형)이라고 한다.③감광형기본영양생장 기간이 짧고 감온성은 낮으며 감광성만이 커서 생육기간이 감광성에 지배되는 형태의 품종들은 감광형(bLt형)이라고 한다.④ blt형기상생태형을 구성하는 세 가지 성질이 모두 짧아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생육 기간이 짧은 형의 품종을 blt형이라고 한다.우리나라와 일본 등의 중위도지대(30~40°N)에서는 여름철의 장일기에 기온이 높을 뿐만 아니라 가을의 단일기에도 비교적 온도가 높으므로, 단일에 감응하여 늦게 출수하는 품종도 안전하게 성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지대에서는 감광성이 큰 bLt형이 만생종으로 되고 blT형은 조생종으로 되어 있다. 중위도 지대에서 위도가 높은 곳에서는 blT형이 재배되며 남쪽에서는 bLt형이 재배된다. 그러나 Blt형은 생육기간이 길어서 안전하게 성숙하기 어렵다.2) 벼품종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재배적 특성① 조만성과 묘대일수감응도감온형과 blt형 품종은 조생종이 되고, 기본영양생장형·감광형은 만생종이 된다. 못자리 기간(묘대기간)을 길게 할 때 모가 노숙하고, 모낸 뒤 생육불시 이삭패기에 약하므로 못자리 기간을 40일 이내로 해야 하는 등의 재배적 특성이 있다.오륜도 농진청 선정 고품질 품종으로 쌀 외관 양호 및 밥맛 우수하며 저온발아성, 내냉성, 내도복성 강의 특징이 있다. 재배 적응지역은 중북부 평야지, 북부 평야지 및 동북부 동해안지이다. 출수기는 8월 7일이고 키는 74cm이며 쌀수량은 548(kg/10a)이다. 초형은 반직립이고 착립밀도는 모통이며 벼알 까락은 드물고, 벼알 떨어짐 견딜성은 강이다. 질소질 비료 과다 사용 시 미질저하, 등숙저하, 벼 껍질색 불량 및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를 해야 하고, 바이러스병, 흰잎마름병 및 멸구류에 약하므로 적기 기본방제를 해야 하며, 모내기 지연 시 불시 이삭패기 및 수확기 장마에 수발아 등이 우려되므로 적기 모내기, 적기 수확을 해야 하는 등의 재배적 특성이 있다.운광도 농진청 선정 고품질 품종으로 쌀 외관 양호 및 밥맛 우수하며. 저온발아성, 내냉성, 내도복성 강의 특징을 가진다. 재배 적응지역은 중북부 중간지, 남부 중산간지, 고랭지이다. 출수일은 7월 31일이고 키는 60cm이며 쌀수량은 586(kg/10a)이다. 초형은 직립이고 벼알 까락은 없으며 벼알 떠어짐 견딜성은 강이다. 키가 작아 쓰러짐에 강한 편이나 질소질 비료 과다 사용 시 도열병, 미질저하, 쓰러짐을 유발할 염려가 있으므로 균형시비를 해야 하고, 흰잎마름병 K1~K3에는 강하나 K3a에는 약하므로 흰잎마름병 상습지 재배는 피해야 하며, 바이러스병 및 기타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 방제를 해고, 가을 장마 시 수발아가 우려되므로 적기 수확에 유의해야 하는 등의 재배적 특성이 있다.조명1호는 고품질의 조생종으로 전남지역 조기재배 및 이모작 적응성이 양호하다. 재배 적응지역은 충남이남, 영·호남 평야지이다. 출수기는 7월 24일, 키 70cm의 생육특성을 보이며 쌀수량은 561(kg/10a)이다. 초형은 직립이고 착립밀도는 보통이며 벼알 까락은 없고 벼알 떨어짐 견딜성은 강이다. 질소질 비료 과다 3cm이고 쌀수량은 526(kg/10a)이다. 초형은 직립이고 착립밀도는 보통이며 벼알 까락은 없고 벼알 떨어짐 견딜성은 중의 특징이 있다. 등숙후기 물을 일찍 떼면 이삭 가지가 빨리 말라 쌀 품위가 떨어지므로 적정시기에 완전 물떼기를 해야 하고, 흰잎마름병(K1~K3, K3a),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기타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 약하므로 적기 방제를 해야 하며, 냉해에 약하므로 찬물이 솟아나는 논이나 늦게 심어 재배하는 것은 피해야 하는 등의 재배적 특성이 있다. 초형은 직립이고 착립밀도는 보통이며 벼알 까락은 드물고 벼알 떨어짐 견딜성은 강의 특징이 있다.(3) 감광형(중만생종 벼 장려품종 16개)중만생종 품종으로는 미품, 삼광, 새누리, 새일미, 새청무, 신동진, 안평, 영진, 영호진미, 일품, 참드림, 추청, 친들, 동진찰, 백옥찰, 수광이 있다.미품은 농진청 선정 최고 품질 벼로 벼 껍질색 양호 및 밥맛이 우수하다. 재배 적응지역은 충남이남 내륙 평야지(충남, 전남북, 경남)이다. 출수기는 8월 20일이고 키는 77cm이며 쌀수량은 564(kg/10a)이다.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질소질 비료 과다 사용 시 쓰러짐에 따른 미질 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 시비를 해야 한다.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K1~K3, K3a), 기타 바이러스병 및 해충에 약하므로 적기 방제를 해야 한다. 찬물이 솟아나는 논이나 늦게 심어 재배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삼광은 농진청 선정 최고품질 벼이고 밧맛이 양호하며 2모작지에 늦게 심을 경우 적응성도 양호하다. 재배 적응지역은 중부평야 및 남부 중간지(경기, 충남북, 경북)이다. 출수기는 8월 17일이고 키는 87cm이며 쌀수량은 569(kg/10a)이다. 초형은 반직립이고 착립밀도는 조밀하며 벼알 까락은 없고 벼알 떨어짐 견딜성은 강의 특징이 있다.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질소질 비료 과다 사용 시 쓰러짐, 미질 저하, 등숙 저하, 벼 껍질색 불량 및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를 한다.
    방송통신대 | 1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3.10.31 | 수정일 2024.12.01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통방송대 과제물, 식용작물학2, 콩의 꼬투리가 정상적으로 다 발육하지 못하고 발육 초기에 많이 떨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옥수수 재배 시 질소시비량이 50kg/10a일 경우 요소비료를 쓴다면 얼마를 사용해야 하는가? (요소의 질소 함량은 46이다.) 고구마 덩이뿌리가 만들어지는 환경 3가지를 설명하라
    1. 콩의 꼬투리가 정상적으로 다 발육하지 못하고 발육 초기에 많이 떨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0점)발육 초기에 꼬투리가 像匬台어지는 현상을 화기탈락이라 한다.2. 옥수수 재배 시 질소시비량이 50kg/10a일 경우 요소비료를 쓴다면 얼마를 사용해야 하는가? (요소의 질소 함량은 46%이다.) (10점)10a의 면적에 50 kg의 질소를 공급하기 위한 요소비료 사용량 계산 : ① A x 0.46 = 50 (kg)② A = 108.7 (kg) 따라서, 108.7 kg의 요소비료를 사용해야 한다
    방송통신대 | 2페이지 | 4,900원 | 등록일 2022.06.08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