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89)
  • 방송통신대(80)
  • 리포트(9)

바로가기

방송통신대 - 2025 방송통신대 리포트 및 과제물 업데이트, 중간고사/기말고사자료
EasyAI “방통대농업유전학” 관련 자료
외 54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방통대농업유전학" 검색결과 1-20 / 89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출석수업과제물)_농업유전학(공통) - 멘델의법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설명하세요.
    법칙과 제2법칙의 내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업유전학의 역사상 의미 있는 발견을 한 멘델의 업적을 이해해보고자 한다.Ⅱ. 본론1. 멘델의법칙 : 제1법칙1 ... . 멘델은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연구 결과에 따른 업적을 인정받진 못했으나 100여 년이 흐른 지금 그의 업적은 유전학 발전의 씨앗이 되었으며, 생명과학의 발전을 통해 농업뿐만 아니 ... 출석수업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 명 : 농업유전학학 번 :성 명 :강 의 실 :연 락 처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3.02.10
  • [농학과] 2021년 1학기 재배식물육종학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자식성 식물의 유전적 특성)
    I. 서 론육종은 변이집단에서 우량한 유전자형을 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육성보급하는 과학기술이다. 재배식물에서 생산성, 품질, 병해충 저항성, 환경 적응성 등 농업형질의 유전적 능력을 개량하여 우량품종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농업경영의 합리화와 유전자변형 신품종을 육성할 수 있다.육종방법은 대상식물의 생식방법 및 변이의 작성과 선발방법 등에 따라 나눈다. 육종방법을 결정할 때에는 육종목표, 면적, 시설, 인력, 경비, 육종연한 및 육종가의 능력을 고려한다. 육종사업에 의한 신품종의 출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신품종의 보급에 따른 중수효과로 얻어지는 경제적인 이익이 매우 큰 경우가 많다. 신품종이 육성됨으로써 작물재배의 지리적인 한계나 계절적 한계가 확대된다.신품종의 육성으로 품질을 개선하여 인간의 감각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이는 원예작물이나 특용작물에서 그 예가 많다. 냉해병해충해 등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신품종의 육성 보급으로 재배의 안전성을 증대한다.자식성 식물은 인공교배로 1대잡종종자를 얻기 어렵고 순계의 생산성이 높아 하이브리드 육종을 하지 않았었으나 최근에는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1대잡종종자를 대량 얻을 수 있는 채종방법이 개발되어 하이브리드 육종을 하고 있다.인공교잡에 의한 육종법에서 F2이후 잡종 분리 세대를 취급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계통 육종법과 집단 육종법으로 대별할 수 있고 이를 적절히 절충하거나 변형시킨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 레포트는 자식성 식물의 유전적 특성을 설명하고, 대표적 육종법인 계통육종법과 집단육종법에 대해 비교 설명하였다.II. 본 론1. 자식성 식물의 유전적 특성1) 자식성 식물자식성 작물은 같은 꽃 또는 개체의 꽃가루에서 수정하는 작물이다 문원, 유덕준, 재배식물생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김태성, 재배식물생리학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여기에 속하는 자식성 작물은 아래와 같다.• 벼과작물: 벼, 밀, 보리, 귀리, 수수, 조 등• 콩과작물: 콩, 녹두, 완두 등• 산업작물: 담배, 목화, 아마, 황마 등• 원예작물: 가지 고추 상추 등• 사료작물: 토끼풀 등- 중략 -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11,500원 | 등록일 2021.04.2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물유전자원의 유전적침식 원인과 대책을 설명하시오 할인자료
    이 되면 매우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이영숙, 근권온도와 광량차이에 따른 수경재배 인삼의 생육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 한국방송통신대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류수노, 이봉호, 이병윤, 자원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유전자원위원회에선 식물 육종을 유전적인 침식의 주요의 원인으로 말했다. 육종은 농업의 생산성의 확대에 매우 큰 공헌을 했지만, 재래종 혹은 야생종 유용 유전자를 활용해서 신품종 ... - 목 차 - 1. 식물유전자원의 유전적침식 원인과 대책 2. 오메가-3지방산의 효능과 기능 및 주요자원 3. 약용식물의 주요성분과 고품질한약재 생산요건 1) 서론 2) 본론 3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5%↓) 1900원 | 등록일 2023.02.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자연생태게 농업생태계 유기농업생태계
    / 고한종 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 생태유기농업 / 이효원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22- 농업생태계와 자연보전 / 자연보존 3월호 ... 과 토양2. 농업생태계1). 농업생태계 물질순환2). 자연 생태계와 농업생태계3. 유기농업 생태계1) 유기농의 핵심원리2)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의 비교Ⅲ. 결론[참고문헌]- 농축산환경학 ... 투입재 이외에, 체계의 외부에서 오는 전체 인간의 투입재를 지니고 있다. 또한 농업생태계는 소비와 시장이라는 산출을 가지고 있다.자연 생태계농업생태계순생산력보통높음영양 상호작용복잡단순, 선형종 다양성높음낮음유전적 다양성높음낮음양분 순환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3.08.02
  • 출석대체 농학3 해충방제학 외래 돌발해충에 대해 정의하고 외래 돌발해충 5종을 선정하여 발생현황 발생원인 및 방제관리 방법
    방송통신대학교해충방제학24년 1학기출석대체과제개설학과농학과교과목명해충방제학개설학년3학습범위교재 : 2 ~ 3장멀티미디어강의 : 1, 4. 6 ~ 9강해충방제학외래·돌발해충에 대해 ... . 결론4. 출처 및 참고문헌1. 서론[그림1 : 메뚜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곤충은 절지동물문의 하위 범주의 하나이며 마디로 된 몸이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세 쌍의 다리와 한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곤충의 기본적인 분류와 그 특징으로 기본 정보를 파악해야 효과적으로 해충 방제를 할 수 있으므로 이같은 분류는 매우 중요하다. 그중 국외에서 유입된 해충들을 외래
    방송통신대 | 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4.04.2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용작물학2 방통대 농학과 과제
    배양 감자줄기의 대량증식」. 식물생명공학회지. 류수노 외 1인. 2017. 『식용작물학Ⅱ』. 한국방송통신대학교문화출판원. 류수노 외 1인. 2021.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학회. ... 품종개량에 이용된다. 때문에 유전성을 활용하여 농업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종을 만들어 내는데 있어 가치가 높고 다양한 품종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돌연변이나 형질전환기술 ... 하는데 있어 최대 장점은 배가반수체 식물에서 열성유전자의 동형접합성 계통 개발이 이전의 육종기술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때문에 약배양은 유전학자들과 식물 육종가들에게 매우 가치 있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5.01.2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식물유전자원 2차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 산업적이용가능성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을 비교 설명하시오 할인자료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 2)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이용전망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1) 유채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3.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 약효성분 비교 1) 지표성분 2) 유효성분 3) 약효성분 4) 비교 III. 결 론 참고문헌 I. 서 론 예전부터 산과 들에 있던 식물은 우리 조상들의 허기를 달래주었고, 또 한방에서는 식물의 부위에 따라 치료약으로도 쓰이곤 했다. 이렇듯 식물은 배고픔을 잊게 해줬고, 상처를 치유해 줬고, 관상용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자원식물의 정의를 살펴보면 과거에 이용되어 왔고 앞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식물로, 현재 인류가 재배하고 이용하고 있는 작물 이외에 이용목적이 뚜렷해 다소의 노력으로 선발, 탐색, 순화하여 재배할 수 있거나 야생상태의 식물을 채취해 간단하게 가공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식물을 말한다. II. 본 론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과 이용전망 1)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중요성 식물유전자원은 현재부터 미래의 농업, 식생활 등에 굉장히 유용하며 인류가 변화하고 진화하며 축적되어진 잠재적 가치를 지닌 물질이다. ‘대사산물’은 이러한 유전 물질 등의 대사에 관여하거나 물질이 대사되어지는 과정에서 생성되어지는 물질을 일컫는다. 이는 생산되는 물질의 종류 혹은 과정 등에 따라 1차 대사산물 및 2차 대사산물로 분류되어진다. 2차 대사산물은 식물세포에 존재하지 않고 기본적 세포분열, 세포기능, 생장유지 등과 같은 기능역할과는 관련이 없으나 식물체가 주위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병해충침입 및 공격에 대항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방어물질이다. 이처럼 식물자원의 저장에너지를 활용하는 길은 크게 나눠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식물이 함유하는 1차대사산물인 탄수화물?지방유?셀루로오스 등과 같은 것을 식품?식량?목재?종이 등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양적으로도 대량 생산되는 식물성분이다. 이와는 달리 2차대사산물은 매우 적은 양만이 식물에 함유되어 있다. 세계 각국은 식물의 2차대사산물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이 분야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천연물로부터 의약품 개발은 물론 특수기능성 식품재료?향료?염료?화장품의 개발 등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1965년부터 1990년 사이 미국에서 판매된 조제약품의 1/4이 속씨식물에서 확인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2) 식물유전자원 2차 대사산물의 이용전망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은 많이 풍요로워졌으나 산업화에 따른 각종 스트레스의 증가 등 부작용도 굉장히 크다. 각종 스트레스에 오랫동안 노출되어지면 인체 내의 면역능력이 감소해 각종 치매증?암?혈관?골다공증 및 뇌혈관 장애?당뇨병?관절염 등의 질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런 목적으로 면역증강제는 세포노화에 따른 면역기능 회복에 사용되어지며, 세포 면역기능 장애치료에 사용되어지고 있고 바이러스 감염?영양결핍 등 그 치료영역이 다양해지고,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또한 2차 대사산물은 성장 단계가 끝나고 합성되는 1차 대사산물의 최종 산물이다. 1차 대사산물과 달리 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오히려 인간에게 더욱더 유용하게 활용된다. 세계적으로 이를 생성할 수 있는 30만 종의 식물 중에서 매년 1천 5백 종의 식물체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고 있다.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1) 유채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유채는 양배추, 배추, 브로콜리 등과 함께 십자화과에 속하는 경관 식물이다. 이는 그 쓰임이 굉장히 다양하다. 봄을 알리는 반가운 꽃으로 관광 상품의 역할을 하며, 포화지방은 7% 정도로 다른 식용유에 비하여 굉장히 낮고 불포화지방산 등의 함량은 매우 높은 건강한 기름으로, 어린 싹은 여리고 쌉쌀한 맛과 달큼한 향이 매력적인 봄나물로, 종실이 달린 유채와 기름을 짜고 난 찌꺼기 모두 사료로, 벌들에게 꿀을 공급하는 밀원으로서 가치가 있다. 2) 유채의 성분개량 성과 우리 나라에서 육성된 품종도 0.38㎎ 이하로 낮게 함유된 품종들이다. 이와 같이 기름에 에르크산이 없고 깻묵에도 글루코시노레이트 성분이 없거나 매우 낮은 유채품종을 육종가들은 간단히 줄여서 더블제로(double zero) 품종이라고 한다. 유채기름의 지방산 생합성과정은 탄소 수가 낮은 지방산에서 높은 지방산 방향으로 생합성이 이루어지는데, 그 경로에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탄소수가 18인 올레산에서 탄소 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지방산 합성이 이루어지는 경로, 2중결합이 하나인 올레산에서 2중결합이 2개, 3개로 증가하는 방향으로 지방산 합성이 이루어지는 경로, 유채의 지방산조성 개량은 올레산에서 불량 지방산인 에이코세노산과 에루진산이 합성되는 부분을 차단하는 것이다. 3. 자원식물의 지표성분과 유효성분, 약효성분 비교 1) 지표성분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에서 약재의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식물체 고유의 성분을 말한다. 지표성분의 조건은 활성이 크며 함량이 많고 대상식물의 고유성분이며 또한 분석이 가능한 성분이어야 한다. 약용작물의 지표성분을 보면 시호 - 사이코사포닌 a 0.3% 이상, 감초 - 글리시리진산 2.0% 이상, 황련 - 베르베린 4.2% 이상, 황백 - 베르베린 0.6%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유효성분 유효성분이란 내재한 약리작용에 의하여 그 의약품의 효능·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약리학적 활성 성분 등이 밝혀지지 아니한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말한다. 지표성분이란 의약품의 유효성분 또는 주성분인 생약 중에서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중에서 품질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성분을 말하며 반드시 유효성분이 아니어도 된다. 즉, 원료 중에 함유된 화학적으로 규명된 성분 중에서 품질관리의 목적으로 정한 성분을 말한다. 3) 약효성분 주요 약용식물의 성분은 대부분의 경우 밝혀졌으나, 이들 성분들의 약효가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보고된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어느 특정 약용식물로부터 분리된 성분이 그 약용식물이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 밝혀진 예는 근래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4) 비교 일반성분은 식물의 기본골격을 이루거나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와 에너지원이 되는 성분들이므로 한약재 성분으로서의 중요성은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배당체?알칼로이드(alkaloids) 등의 화합물들은 특유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성분들을 유효성분(available constituents)이라고 한다. 유효성분들 중에는 동물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치명적인 생리작용을 하는 화합물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독작용이 있는 물질을 독성물질이라고 하는데 유효성분과 독성물질간에는 한계가 애매하다. 또한 한약재가 가지는 성분들 중에서 한약재 각각이 가지는 독특한 성분을 지표성분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지표성분이 한약재의 유효성분 또는 약효성분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근래에는 천연물과학에 대한 지식과 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성분과 물질에 대한 많은 부분이 새롭게 이해되거나 밝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이러한 부분들이 더욱 명확하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III. 결 론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자원식물들이 존재한다. 우리는 살면서 단 한번이라도 약용자원식물의 효능을 알고 이것을 이용해 본적이 있을까? 나도 자원식물학 이라는 과목을 학기 수업을 통해서 듣지 않았다면, 약용식물의 효능을 모르고 약용식물을 이용하지 못한 체,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양약에 의지하여 삶을 보냈을 것이다. 그럼 자원식물이란 무엇일까? 식물 중에서 뿌리나 줄기, 잎, 열매등을 인간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식물자원을 자원식물이라고 한다. 또한 인간생활에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야생식물, 자생식물, 귀화식물뿐만 아니라 재배법이 확립된 모든 식물자원을 자원식물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우리 주변에는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자원식물들이 존재하며, 이 자원식물들은 대체로 삶속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농학 과제를 하면서 자원식물의 식물학적 특성과 친환경 농업 및 약용자원 식물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류수노, 이봉호, 이병윤, 자원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류수노, 자원식물학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2.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5,000원 (5%↓) 4750원 | 등록일 2023.02.08
  • 가장 최근에 육성된 재배식물을 선정하고, 그 품종이 육성된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시오.
    2015학년도 2학기 과제물(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재배식물육종학학 번:성 명:연 락 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o 과제유형 : A 형o 과 제 명 : 가장 최근에 육성된 재배식물을 선정하고, 그 품종이 육성된 과정을상세히 기술하시오.서론2014년 기준 통계청 대한민국 국민의 3대 사망원인은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의 47.7%에 해당하며 작년 대비 0.3% 증가되었다고 한다.바쁘고 스트레스 많은 현대인에게 발병하기 쉬운 3대 사망원인을 이겨낼 수 있는 효과적인식재료는 무엇이 있을까? 필자는 ‘음식이 보약이다’라는 기본에 충실하여 3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재료에 초점을 맞춰 재배식물을 선정해 보았다. 선정의 기준은 3가지 질병에 도움을 주고 쉽게 구입할 수 있고, 꾸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는 미래지향적인 작물로 선정하였다.이러한 기준에 부합하는 재배식물은 바로 마늘이다. 2015년 1월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혈중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주는 건강식품 기능성 원료로 마늘을 인정하였다. 마늘은 독특한 향을 내는 알리신, 유황화합물과 기타 영양소에 의하여 피로회복과 자양강장에 도움을 주고 혈전을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면서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는 채소류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및 국립종자원의 공시 자료를 통해 올해 4월, 보호등록 중인 품종, ‘홍산(원교57025호)’(이하 홍산이라고 한다.) 마늘에 대하여 품종의 육성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홍산 마늘의 특장점 개요한지형 신품종인 홍산은 최초로 연구개발된 전 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는 6쪽 마늘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3년)에 따르면 국내 마늘 생산량은 41만2천톤으로 2010년 이후부터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세계 전체 수출량의 1%를 수출하고 있으며 약 5천톤의 마늘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기에, 노련한 전문가를 통해 선정하는 것이 신품종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발해 내는 방법이다.육종의 재료를 결정한 후에 본격적으로 적합한 육종방법과 기술을 동원하여 우량품종을 순계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채택하게 되는 것이다.그러면 이러한 마늘의 육성, 홍산의 육성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육성목표와 목표형질 설정위에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마늘은 다른 작물에 비하여 국내 자급률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해외에서의 우리나라 수출의 정도는 1% 정도 수준으로 아직까지 국내 판매와 소비에 집중되어 있다. 최근에는 한중 FTA로 인하여 중국의 가격경쟁력이 높은 작물들이 시장에 포진되면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출을 활발하여 장려하기 위한 10년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 의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2015년에서 2024년까지 총 10년간 마늘의 추가소비에 대한 계획된 목표 물량은 대략 49만여톤으로 우리 돈 1조 6540만원에 해당한다고 한다. 현재 41만2천톤을 소비하고 있으니, 10년 후에는 현재 대비 12%의 소비 증가가 있어야 하고 현재의 소비량 추이를 고려해 본다면 내수시장이 아닌 해외 수출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마늘의 가격, 비용적인 면에서는 국내 마늘은 인도나 중국의 가격을 웃돌고 있어, 수량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어느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안정성이 높은 신품종을 개발해야 하는 시점에서 홍산 마늘과 같은 품종 육성 계획이 시행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이어 육성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마늘의 생산성, 품질, 저항성, 적응성 등의 주요 4가지 목표형질에 대하여 경험이 많은 전문가의 철저한 고증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육종 재료가 선정된다. 생산성은 저장기관(엽면적지수 등과 연관)을 더욱 크게 하여 광합성 효율을 높이고 광합성 작물을 효과적으로 이동, 저장하기 위한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량성 측면 외에도, 소비다수성 품종과 같은 비료 및 농약을 적게 사용하여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은 유가능한, 한지형과 난지형 대체가능 품종이므로 환경적 스트레스에 유연하고 지리적 적응성이 우수한 품종임을 4가지 목표형질을 통해서 가늠할 수 있다.[표1. 수량성 지역 적응성 시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육종 재료의 선정육종 과정에서 육종목표를 설정하고 목표형질을 고려하였다면, 사용용도에 부합하는 알맞은 육종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교재모본은 품종의 형질과 특성을 잘 알고 있는 경험이 많은 육종가에 의하여 선정하는 것이 좋고 이러한 교배친은 결점이 없고, 자방친과 화분친은 유전조성이 비슷한 것으로 선정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환경에 적응하여 우량 유전자를 다수 축적한 주요품종과 재래종을 육종하는 것이 좋은 데, 주요 품종의 부족한 부분을 재래종으로 보완하고, 우량품종 육성 실적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적 형질은 오차를 감안하여 여러 번 조사해서 신뢰도를 높이고, 수집한 유전자원의 특성평가는 동일 장소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목표형질의 유전분석은 효과적인 교배친 선정과 육종에 크게 도움을 주므로 결과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육종 재료의 선정에서 홍산 마늘은 한지형 마늘과 난지형 마늘을 육종 재료로 선정하였고, 결과적으로 한지형, 난지형의 생태적 특성에 수량성을 더욱 높인 6쪽 마늘을 발현하였다.육종방법의 결정홍산 마늘의 육종 방법을 말하기 앞서, 마늘의 육종방법은 크게 도입육종과 교배육종으로 구분된다. 국가적 차원에서 농업기술 개발을 장려한 1970-80년에는 국내 마늘 품종은 자웅불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배육종이 아닌, 해외의 우수 품종을 채택하여 식재 후에 종자를 재배하는 도입육종을 생산에 이용하였고 해당하는 품종은 대표적으로 난지형 마늘인 남도, 대서, 자봉마늘이 있다.그러나 1985년 일본 가고시마대학의 Etoh Takeomi와 독일 뮌헨대학의 Konvicka는 논문 저서에서 가임성을 가진 마늘에 대한 연구 내용을 발표하였는데,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의 중앙아시아에 서식하고 있는 Allium longicuspis(학명, Allium sa의 교배로 방법에 따라 50~200개체 수준이며, F2의 생장번식에서 무려 2,000-10,000개체 중, 유전력이 높으면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형질을 선발하게 되고 F3에서는 환경의 영향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 계통 재배를 하고 개체, 계통선발 한다. F3에서 표준품종에 의하여 선발된 계통군에서 3-6개체를 선발하게 되며, F4 이후부터는 F3와 같은 계통선발과 개체선발을 F4, F5 이후에서도 반복으로 생장번식 하면서 계통 형질이 80% 이상 고립되어 순계로 선발되면 마침내, 이를 품종화하기 위하여 생산성 및 수량성 검증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높은 고정도를 가진 3-6개체를 선발, 집단 채종하여 생산성 검정 예비시험을 받아 선발된 우량 계통을 일정한 재배조건 하에서 다시 2-3년 동안 재배하여 생산성을 충분히 검정하며, 생육단계별 특성 조사와 품질 검정 등의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한다. 이후, 고유의 계통번호를 부여 받는데, 일련번호를 통하여 같은 방법으로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인 농가실증 시험까지 완료되면 신품종으로의 요건이 완료된 것으로 본다.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에서 선발된 우량계통은 철저한 심의를 거쳐 신품종의 자격을 부여 받는다.이러한 계통육성법은 생장생식의 반복과 계통 특성검정 등에 의하여 신품종이 개발될 때까지 상당한 노동력이 소모되고 많게는 수십 년의 기간이 소요되나, 육종가의 정확한 선발로 효율적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이점과 선발된 계통의 육성과정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형질을 지닌 종자의 유전적인 특성 등을 관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질을 구현할 수 있다.2003년부터 11년 동안 진행된 홍산 마늘의 육성 방법 역시, 그 과정을 살펴볼 때, 위의 계통육종법을 그대로 구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농총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교배친의 인공교배로 F1을 생산하고 위의 계통분리 및 계통육종법을 따라, 6번의 생장번식으로 순계 선발 및 신품종으로써의 기본적인 요건이 충족되었으며, 작물의 생산력(생육과 수량성 등)을 며 작물의 육종 방법과 과정, 재배 방법 및 기술, 신품종 요건 및 등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에 적게는 6개월에서 많게는 2-3년이 걸린다면, 식물이 하나의 품종으로 등록되기까지 이를 위하여 수십 년 동안 노력하는 육종가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이 든다.대한민국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선진국과 나란히 발전하는 현재의 모습을 갖게 되기까지 국가 농업의 발전적인 성과와 지속적인 노력이 없었다면 아직도 많은 인구가 식량부족에 낙후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었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이토록 비약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기반이 되어준 것은 국가의 농업 발전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이제 우리는 먹거리가 충분하고 의식주 생활하는 데에 불편이 없는 사회를 만들었지만, 반대로 에너지 과잉 시대에 대한 심각한 우려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작게는 농업에 사용되는 비료 등의 유해물질과 작물 재배를 위한 경작지 확대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실제로 경험하고 있고, 이로 인한 자연 재해와 유전적 질병 확산 등에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다. 풍요로운 사회, 그 비관적인 이면을 충분히 인식하고 모두가 지속 가능한 환경을 누리기 위하여, 공생을 위한 우리의 끊임없는 노력과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참고문헌박순직 외, 2015, 재배식물육종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 135-153 171-194, 381-387류수노 외, 2015, 재배학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 9, 28-30문원 외, 2015, 재배식물생리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 105-127보건복지부, 2014년, 2014보건복지통계연보(60호)고관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5년, 2014 주요연구성과김성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4년, 세계농업 166호(세계마늘산업동향)고관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2015년, 2014 주요연구성과참고사이트 Hyperlink "http://kosis.kr" http://kosis.kr 국가5 -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0.10.29
  • 재배학원론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교과목명:재배학원론?학번:?성명:?연락처:?평가유형:혼합형(과제형+서술형)?과제물유형:공통형?과제명:1. 밀의 게놈(genome)조성을 예로 작물의 분화발달과정을 설명하시오. (10점)2. 토양수분의 종류와 pF(potential force)와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10점)3.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농업생태계에 미칠 영향들을 논하시오. (25점)4. 작물의 수확 후 관리 요인을 품질과 관련지어 논하시오. (25점)[1번, 2번 문항 참고문헌]1. 재배학원론, 류수노·김관수·우선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3번 문항 목차]Ⅰ. 지구온난화의 개념과 원인Ⅱ. 지구온난화로 변한 농업생태계Ⅲ. 변화된 지구 온도에 맞선 농업계의 도전Ⅳ. 참고문헌1. 재배학원론, 류수노·김관수·우선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 농사로 홈페이지: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v/psvr/psvrc/rdaInterDtl.ps?menuId=PS00063&cntntsNo=342283.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의 농업환경 영향평가와 적응, 심교문외 3인,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학술발표논문집4. 한국 농업인 신문: http://www.nongupin.com/2053[4번 문항 목차]Ⅰ. 서론- 품질의 정의 및 품질 결정 요인Ⅱ. 본론 ? 화성유도의 주요요인Ⅲ. 결론 ? 최상의 품질 유지 및 관리를 위한 제언Ⅳ. 참고문헌1. 재배학원론, 류수노·김관수·우선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2. 농사로 홈페이지,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zx5vDQZq2M3L4aPL1kTDHq0SEqmsTruSc5FELUehdMFw6mOxMfF1AgiUiYVcnta1.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232971. 밀의 게놈(genome)다. 순화란 야생식물이 오랜 세월에 걸쳐 특정한 재배 조건에서 적응과 선발을 거치면서 그 환경에 적응하여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전적인 안정적인 유전상태를 확보하면 품종으로 분화되었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밀이 작물로 분화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AA조성을 가진 야생 1립계 밀(염색체 14개)과 게놈 조성이 BB(염색체 14개)인 개밀 간 자연교배에 의해 AABB의 게놈 조성을 가진 2립계 밀(염색체 28개)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이 2립계 밀과 DD게놈 조성을 가진 또 다른 종류의 개밀(염색체 14개)이 자연적으로 교배되고 그 잡종 식물의 염색체 배가에 의해서 게놈 조성이 AABBDD인 보통계 밀(염색체 42개)이 탄생하였다. 이처럼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밀도 자연교잡으로 인한 변이와 적응, 순화, 유전적 안정성 확보(고립)의 과정을 거쳐 하나의 품종으로 분화되어 온 것이다.2. 토양수분의 종류와 pF(potential force)와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10점).작물의 충실한 생육을 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토양 수분 조건이 필요하다. 토양수분의 함량은 건토에 대한 수분의 중량비로 나타내는데, 작물의 흡수력을 표시할 척도로서 토양수분장력을 사용한다. 토양수분장력은 임의의 수분함량의 토양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단위면적당 힘이며 기압 또는 수주의 높이로 표시한다. 수주 높이의 대수를 취하여 pF(potentialforce)로 나타낸다(여기서, pF=logH로 H는 수주의 높이를 나타냄). 토양의 수분이 많으면 수분 장력은 작아지고, 수분이 적으면 수분 장력은 커지게 된다. 토양 수분은 작물의 흡수와 지표에서의 증발로 점차 감소하는데, 토양 수분이 감소할수록 수분 장력은 커진다. 토양수분이 지나치게 커지면 작물은 토양 수분을 쉽게 흡수할 수 없게 된다. 토양과 물의 결합력에 따라 토양 수분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결합수는 토양의 고체분자를 구성하는 수분으로 105℃의 높은 온난화의 개념과 원인태양의 복사열이 지구의 대기를 뚫고 들어와 지구의 표면과 공기를 따뜻하게 데워준다. 이러한 온실효과는 지구에서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 지구표면에서 나온 열을 흡수하는 대기 중의 가스를 온실가스라고 하는데, 수증기, 메탄, 염화불화탄소 등이 이에 속하며, 특히 이산화탄소는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이다. 이산화탄소는 광합성의 재료가 되는, 작물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지만, 최근 들어 산림파괴, 화석 연료의 사용 과다 등에 따라 대기 중에 존재하는 양이 크게 증가하였다. 산업혁명 이후 석탄·석유 등의 과다 사용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대기 중에 과다하게 방출시켰고, 이에 온실효과를 증가시켜 우주로 방출하는 열량을 줄여서 지구의 온도를 향후 100년동안 1.5~4.5℃ 상승시킬 전망이다. 이렇게 온실가스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구 표면의 온도가 느린 속도지만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현상을 지구온난화라 한다. 이러한 온실효과는 지구를 둘러싼 대기층에 존재하는 온실가스의 복사선에 대한 선택성 때문에 발생한다. 즉, 태양복사인 단파장 복사열은 지구로 잘 투과시키지만, 지구복사인 장파장 복사열은 흡수·차단하여 이들 대기층 하부에 열이 저장되어 열평형을 이루지 못해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이다. 지난 150년간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의 현저한 증가는 온실효과를 통해 기온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생태학자들이 우려하고 있다.작물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적합한 온도 조건과 기타 기상 조건이 필요한데, 이러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기온과 기상 현상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우리 농업계가 맞이한 또 다른 시련이자 극복해야 할 도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변화될 농업생태계와 이에 대비한 우리의 자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Ⅱ. 지구온난화로 변한 농업생태계그렇다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겪게 될 우리 농업의 변화는 어떤 모습일까?먼저, 지구온난화는 주요 작물의 재배 적지를 바꾸어 놓을 것이다. 계의 천이가 일어나면 동백나무ㆍ신갈나무 등 난대ㆍ온대 수종은 생육 범위가 확장되나, 주목 등 아한대 수종은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물 종의 멸종은 이를 먹이로 하는 동물의 생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서식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먹이가 부족하고, 면역력이 약해지는 등 악조건에 놓이게 된다. 이처럼 일부 식물 종이 멸종하고 이를 먹이로 하는 동물이 감소하는 등 먹이 사슬에 변화가 생기게 되면 생태계가 혼란스럽게 되고 일부 동식물이 멸종하거나 과다 확산하게 되는 교란이 예상된다.따뜻한 겨울이 지속되면 월동해충이 증가할 수 있고, 이들의 토착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른 병해충의 발생이 급증하고, 전염성이 강한 병원균이 빠르게 확산되어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게 된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던 벼 줄무늬잎마름병이 2007년에는 부안과 서천 등 충남 지역에서 다량 발생하였고, 2006년과 2007년 옥천, 영동 등에서 갈색여치가 다발생하여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었다. 뿐만아니라 월동이 어려워 문제가 되지 않았던 꽃매미가 따뜻한 겨울이 지속되어 도시에서도 관찰될 정도로 전국적인 유행을 하여 시설 포도와 복숭아 농가에 피해를 입혔다. 최근 외국과의 교역이 활발해 지면서 이로부터 많은 종류의 잡초가 유입되고 있는데, 따뜻한 기후에 따라 잡초가 영역을 확장하여 토종 작물을 위협하고 있다. 잡초는 환경적응성이 높아 농작물 재배에 큰 위협으로 작용하며, 증식 속도도 빨라 농가의 일거리를 증가시키고 수량 감소 등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된다. 특히 최근 트렌드인 화학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방법의 농법은 이러한 외래 잡초종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지구 온난화는 전지구적 물의 순환에도 영향을 미쳐 강수 패턴에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최근들어 빈번하게 일어나는 가뭄과 홍수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라 할 수 있으며, 강수량에 영향을 많이 받는 농업의 특성 상 농작물 생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또한 강우의 지리적 분포도 변하여 우리나라의 주?농업·농촌 자발적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실시 중이며, 원예시설 난방에 사용되는 전력과 화석연료 대신 버려지던 온배수를 활용하여 전력과 화석 연료 이용을 줄이고, 고효율 보온자재를 사용하여 난방용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온실 가스 배출 감량을 위한 R&D투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변화된 기후에 적응할 수 있는 작물 품종을 개발하고, 보급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며, 변화된 기후 속에서 최대 생산량을 낼 수 있는 적합한 작부 체계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병해충 예찰 시스템을 구축하여 피해를 예방하고, 가뭄과 홍수에 대비할 수 있는 농업용수 저장 시설의 확충 등 재해 피해 시설 구축이 요구된다.4. 작물의 수확 후 관리 요인을 품질과 관련지어 논하시오. (25점)Ⅰ. 서론- 품질의 정의 및 품질 결정 요인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쌀을 가마니에 담아 파는 곳이 많았다. 쌀의 소비량도 그만큼 많았기 때문이겠지만 배를 불리는 것이 먹는 것의 주된 원인이었던 시절엔 대량으로 쌀을 유통하고 소비했다. 그러나 요즘은 최대 단위가 20kg정도이다. 쌀의 소비량이 준 것도 큰 요인이지만, 배부른 것보다 보기도 좋고 맛도 좋은 신선한 쌀을 소비하는 것이 트렌드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눈으로도 입으로도 즐기는 소비트렌드에 맞춰 작물의 수량을 늘리려고 애쓰는 재배법 이외에도 재배한 후에도 품질 관리를 소홀해서는 안되게 되었다. 그렇다면 작물에서 말하는 품질이란 무엇일까?품질이란 농산물이 식료 및 상품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질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외관상으로는 모양이 고르고 색깔이 아름답고 신선해야 하며 소비적성으로 맛, 향기 등의 기호성과 영양가도 중시되고 있다. 또 유통적성으로서 수송과 저장에 관련된 특성, 쌀의 취반 특성, 밀의 제분 및 제면적성 등 가공적성과 관련된 것들도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품질에 관련된 요인은 곡류·약용 작물 등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재배하려는 작물에 맞는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2.1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농업유전학 멘델의 유전법칙(제 1 법칙, 제 2 법칙)에 대해 설명하라. 할인자료
    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Ⅳ. 참고문헌 Benjamin A. Pierce, 『유전학의 이해』, 라이프사이언스, 2017. 박순직, 남영우, 『농업유전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03. ... 농업유전학 멘델의 유전법칙(제 1 법칙, 제 2 법칙)에 대해 설명하라. 1.서론 유전자란 생명체의 형질을 결정하고 기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개체의 성장과정을 지배하고 수명 ... 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유전학은 모든 생명체의 생존과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유전학은 농업, 의학, 약학, 미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고 말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5%↓) 1900원 | 등록일 2023.02.0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축산환경학 기말과제물
    202X학년도 1학기 기말과제물(온라인 제출용)교과목명:농축산환경학학번:20XXXX-XXXXXX성명:홍길동연락처:010-XXXX-XXXX※ A4용지 편집 사용- 목 차 -1. 토양오염이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과 다른 특징2. 농약 사용의 유익성과 유해성3. 축산 스마트팜 세대별 모델의 특징4. 참고문헌1. 토양은 물, 대기와 비교하여 조성이 복잡하고 유해물질에 대한 반응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토양오염이 수질오염 및 대기오염과 다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환경요소 중 토양은 대기와 물과 달리 구성이 더 복잡하고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역시 복잡하다. 그리고 토양은 유해 물질에 반응도 대기, 물보다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1) 2차 오염토양은 오염 원인 물질이 직접 유입되기도 하지만, 수질오염 또는 대기오염을 통해 토양에 이차적으로 오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이는 토양이 특징인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에 의한다. 대기와 물의 오염과 달리 토양은 생태계 전반의 오염으로 영향을 받는다.2) 오염의 축적토양은 무기물, 유기물, 공기, 물, 생물로 구성된 생태계를 이룬다. 따라서 물과 토양, 대기가 순환하며 오염 물질을 흡착하고 분해하는 자연적인 정화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오염 물질이 자연정화 능력을 넘어서면 오염 물질은 장기간 토양 입자에 흡착, 고정되어 분해와 제거가 제한되고 토양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3) 지속성수질 오염은 화학 반응, 미생물 활동, 광 에너지로 빠르게 분해된다. 대기 오염 물질은 대기 중에 분산되고 다른 대기 성분과 반응하고 햇빛으로 분해된다. 토양은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성질로 오염 물질을 오랫동안 저장하고 보유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염 물질이 자연적으로 분해, 제거되기까지 토양 안에 장기간 유지되게 된다. 이는 토양 오염 개선에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4) 국소적 오염토양 속 오염 물질은 토양 입자 사이 공간이 작고 수분 이동 속도가 느려 이동에 제한받는다. 그 때문에 오염 물질은 한 공간에 장기간 유지되어 영향이 국소적인 경향이 있고 오염 현장에 따라 다양하다.5) 사유재산과 연관성대기와 물은 공공재 성격으로 재산권의 의미가 적지만 토양은 사유재산으로 이해관계로 인해 관리와 오염 관리에 어려움을 야기한다.6)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토양은 미생물, 식물, 곤충, 동물의 서식지이고 영양 공급원으로 역할을 해서 토양 오염은 토양 생물과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토양 오염 물질은 미생물, 동물의 영양분 순환과 분해, 토양 구조 형성에 직접적 해를 끼쳐 생태학적 과정을 방해한다. 또한 식물 성장, 발달에 악영향을 끼쳐 지역 생물 다양성을 훼손하게 된다.7) 정화 비용토양 오염 정화에는 대기, 물의 오염 정화보다 과정이 복잡하고 긴 시간이 걸리며 훨씬 큰 비용이 소요된다. 토양 오염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태를 감시하고 측정하기 쉽지 않다. 그리고 오염 현장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오염 물질의 제거, 관리에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며 그 비용도 많이 든다.2. 농약 사용의 유익성과 유해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농약은 농작물 생산을 원활히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로 여러 유익한 점도 있지만 의도하지 않은 해를 끼치기도 한다.1) 농약의 유익성첫째, 농약은 농작물을 해충과 질병, 잡초로부터 보호하여 수확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농작물 생장을 저해하는 해충과 질병, 잡초를 억제해서 원활한 생장을 돕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작물을 수확할 수 있다. 이는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는 경제적 효과와 더불어 적정 농산물 가격을 형성하여 인류에게 필요한 식량을 공급하는데 기여를 한다.두 번째 농약 사용의 유익성은 각종 질병을 퇴치하여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를 한다. 농약은 말라리아, 수면병, 샤가스병 등 질병을 매개하는 해충을 억제하는데 질병의 확산을 감소시켰다.2) 농약의 유해성반면에 농약은 독성과 작용 기질로 인해 농작물과 인류에게 해를 가져오기도 한다.첫째, 지속적이고 많은 양의 농약 사용으로 살충제에 내성을 갖는 품종이 우점종을 이뤄 더욱 많고 독성이 강한 살충제를 살포하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이는 농작물, 환경과 인류에게 더 큰 위험을 가져오고 더 큰 비용을 요구하게 된다.둘째, 농약은 제거하고자 하는 해충, 잡초 이외 생물도 죽게 하는데 천적의 개체수를 감소시켜 생태계 먹이망의 균형을 깨뜨려 새로운 해충이 증가시키고 생물 다양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식물의 수분을 매개하는 생물의 감소는 생태계 유지와 농업 생산성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셋째, 농약은 수자원과 토양을 비롯한 환경을 오염시키고 장기간 잔류하여 생태계의 먹이 순환을 통해 생물 내부에 고농도로 축적, 증폭되어 질병을 유발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농약 남용은 신체 장기 손상과 신경계 이상, 내분비계 교란, 생식 장애, 암 유발과 같은 급성 질환과 장기간에 걸친 영향을 일으킨다.3) 농약 물질 대안농약의 유해성을 최소화하면서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 방법의 대안이 필요하다. 대안으로는 윤작을 통해 토양전염성 병충해 조절, 유전 조작으로 불임 수컷을 살포한 생식 제어, 해충과 세균에 내성을 갖는 품종 육종, 호르몬과 성 유인제를 이용한 화학적 제어, 방사선 조사 멸균 처리, 식물 추출액 방제제의 사용 등이 있다.그리고 이러한 여러 대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생태학적 접근 방법인 통합해충 관리체계(IPM)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수준(EIL) 이하로 해충을 감소시키고 유지하는 체계이다.3. 축산 스마트팜 모델을 3단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세대별 모델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작물과 가축 생육 정보,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작물과 가축 생육 환경을 원격에서 자동으로 유지 관리하여 최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고 노동력과 에너지, 양분 사용을 효율화함으로써 농축산물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실현하는 농장을 의미한다.이 중에서 축산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과 자동화 설비로 가축 성장과 생육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적정하게 관리한다.축산 스마트팜은 사용하는 정보통신기술과 기술 적용 범위, 자동화와 관리 수준에 따라 1~3세대로 구분하고 있다.1) 1세대 스마트팜ICT와 자동화 설비로 축사 관리 편의성을 향상한 모델이다. 축산 시설 내부 온도, 습도, 가스 제어, 풍향, 풍속, 기온, 습도, 강우 등 외부 기상 계측, CCTV 관제, 환기 장치, 윈치커튼과 입기 베플과 같은 제어 장치, 사료 급식 자동화 설비 등이 주요 구성 설비이다.1세대 모델은 인간 노동에 의존하던 작업을 기계화, 자동화하여 노동력 절감, 편의성 향상을 추구한다.2) 2세대 스마트팜각종 센서를 이용해 취득한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1세대 모델을 더욱 발전시킨 모델이다.1세대 모델에서 수집하는 생육 환경, 사양 관련 데이터 이외에 가축 체내·외에 설치한 생체 측정장치로 획득한 생체 데이터와 영상 장치로 획득한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 기술과 머신러닝, 딥러닝 등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하여 변화를 예측하여 생육 환경을 선제적이고 지능적으로 조절하는 스마트팜이다.가축 질병의 조기 진단과 가축별 최적 성장 모델 도출 등이 2세대 스마트팜의 대표적 기능이다.3) 3세대 스마트팜3세대 스마트팜은 축사 운영을 완전 무인 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기후 변화 위기와 화석 연료 고갈에 대비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고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노동력 절감을 달성한다.무인화, 정보화, 로봇화한 축사 관리와 축사 원격 모니터링과 가축 생체 정보를 이용한 열 환경 통합관리를 통해 축사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궁극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꾀한다.현재 국내 축산 스마트팜은 1~1.5세대 수준이나, 국립축산과학원은 축종별로 스마트팜 모델을 개발하고 2세대, 3세대 스마트팜 기술 개발과 연구가 진행 중이다.축산 스마트팜에 사용하는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환경관리습도, 온도,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누전(정전) 감지, 풍속, 풍향, 강우, 화재 감지, 조도, 환기팬 등사양관리자동급이기, 음수관리기, 사료빈관리기, 돈선별기, 체중측정기, 자동포유기, 로봇착유기, 발정탐지기 등경영정보질병관리, 출하관리, 비용관리, 착유관리 등 스마트팜 ICT 장비 스마트 축사 구성도1세대 스마트팜 도입 효과를 분석한 결과 축산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가축 품질 향상, 농가 소득 증가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경기도 파주시 낙농형 스마트팜 ‘황금토목장’의 경우 착유량은 일반 목장 대비 27.5% 증가하였으며, 또 다른 낙농형 스마트팜인 강원도 철원군 ‘여에덴목장’은 스마트팜 도입 이후 두당 착유량이 7.5% 증가하고 사료비는 10% 절감하였다. 양계형 스마트팜인 경기도 포천시 ‘대성농장’의 경우 도입 이전 대비 육성률은 23% 증가, 인건비는 87.5%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났다.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 외국 농축산물 수입 등 농촌 현실에 대응하고 앞으로 축산 발전을 위해서는 스마트팜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적극 진행되어야 한다.4. 참고문헌고한종, 김두환, 송준익, 안희권, 김기연 and 박규현. (2023). 농축산환경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김정욱 외. (2018). 유형별 스마트 팜 선도사례. 농림축산식품부.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스마트농업실. (2021). 팜 스마트해지다. 농림축산식품부.유신성, 최기쁨, 명현, 오효정. (2020). 이질 공공빅데이터 기반 농장별 맞춤 병해충 예측 모델.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8(6). 1-9.이효원. (2022). 생태유기농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홍보부. (2003). 종합적유해생물관리(IPM)와 농약. 농약정보, 4월호. 6-9.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5.06.0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재배식물육종학,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 설명.', '자식성 식물집단과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설명.'
    출석수업 과제물(평가결과물) 표지(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재배식물육종학학 번 :성 명 :강 의 실 :연 락 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과제제목1.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 설명2. 자식성 식물집단과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설명(단, 분량 : 5페이지 이내, 글자크기 : 11, 줄 간격 : 160)1.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2가. 멘델의 제1법칙(분리의 법칙)2나. 멘델의 제2법칙(독립의 법칙)32. 자식성 식물집단과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설명4가. 자식성 식물집단4나. 타식성 식물집단5-박순직 외, 농업유전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박순직 외, 재배식물육종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한상준, 강의록, 농업유전학_02강-한상준, 강의록, 재배식물육종학_03강-한상준, 강의록, 재배식물육종학_04강1.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가. 멘델의 제1법칙(분리의 법칙)1) 멘델의 가설첫째, 유전형질은 유전자(단위인자)에 의해 지배되며, 그 유전자는 개체 속에 쌍으로 존재한다.둘째, 같은 개체 속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유전자가 함께 있을 때(Aa, 이형접합체)는 한 가지 형질만 나타나며, 나타나는 형질은 우성이고 안 나타나는 형질은 열성이다.셋째, 개체 속에 쌍으로 있는 유전자는 배우자 형성과정에서 하나씩 분리되어 다른 배우자(생식세포)로 분배된다. 따라서 배우자(생식세포)는 유전자를 하나씩만 가진다.2) 멘델의 제1법칙멘델은 앞에서 제시한 세 가지 가설에 의해 단성잡종교배 실험의 결과, F₁은 모두 우성형질만 나타나고 F₂에서 우성형질과 열성형질이 3:1로 분리되는 이유를 설명하였다.그림 1. 단성잡종의 유전분리와 멘델의 제1법칙그림 2. 단성잡종의 검정교배개체는 유전자를 쌍으로 가지고 있다(첫번째 가설). 따라서 종자색깔이 황색이 완두는 유전자형이 GG이고, 녹색인 완두는 gg이다. 그리고 황색종자의 완두(GG)에색종자의 완두(gg)로부터는 g배우자가 생긴다(세번째 가설). 이들 배우자는 수정에 의해 접합자(Gg, F₁)를 만든다. F₁에서는 우성형질만 나타나므로 종자색깔은 황색이다(두번째 가설).또한 F₁(Gg, 이형접합체)이 자가수정하면 G배우자와 g배우자가 1/2씩 형성되며, 암술과 수술에서 같은 비율로 발생한다(세번째 가설). 그러므로 G, g 두 종류의 난세포와 G, g 두 종류의 정세포가 무작위적으로 결합하여 만드는 F₂의 유전자형은 GG:Gg:gg = 1:2:1의 비율로 생긴다.F₂에서 유전자형이 Gg인 개체는 우성형질만 나타나서 종자색깔이 황색이 되고 gg개체는 열성형질만 발현하여 녹색종자가 되어 F₂에서는 황색종자와 녹색종자가 3:1로 분리된다.이형접합체(Gg, F₁)에서 우성대립유전자 G 및 열성대립유전자 g가 분리하고 그들이 무작위로 결합하기 때문에 우성형질과 열성형질로 분리되며, 이러한 유전원리를 멘델의 제1법칙이라고 한다.3) 검정교배이형접합체(F₁)를 그 형질에 대한 열성친과 교배하는 것. 검정교배를 하면 표현형 분리비와 배우자 분리비가 일치하므로 교배한 이형접합체의 유전자형을 알 수 있다.나. 멘델의 제2법칙(독립의 법칙)1) 멘델의 가설멘델은 둥근 황색종자를 생산하는 완두와 주름진 녹색종자를 생산하는 완두를 양성잡종교배 하였고, 여기에서 얻은 잡종을 양성잡종이라고 한다.멘델은 양성잡종교배를 통해 F₂의 둥근 종자와 주름진 종자는 3:1이고 황색종자와 녹색종자도 3:1이라는 것을 알았다. 즉, 두 가지 형질이 조합된 양성잡종이지만 각 형질들은 단성잡종과 같이 3:1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종자모양과 종자색깔을 조합한 양성잡종의 F₂ 분리비는 9:3:3:1이었다.이는 두 단성잡종의 분리비를 곱한 값 (3:1)X(3:1)=9:3:3:1과 일치하며, 둘 이상의 독립사상이 동시에 일어날 확률은 그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확률의 곱과 같다는 확률의 곱셉 법칙에 부합한다.멘델은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서로 다른 형질을 지배하는 대립유전자쌍은 배우자 형는 가설을 설정하였다.2) 멘델의 제2법칙그림 3. 양성잡종과 멘델의 제2법칙WWGG와 wwgg의 유전자형을 갖는 완두를 교배하여 나온 F₁의 유전자형은 WwGg이며, F₁의 표현형은 우성유전자 W 및 G에 의해 둥근 황색종자가 나타난다.그리고 F₁(WwGg)이 자가수정하면 배우자 형성과정에서 독립적으로 분리한 대립유전자 W, w 및 G, g가 각기 자유롭게 조합되기 때문에 배우자는 WG, Wg, wG, wg 등 네 종류가 같은 비율로 만들어진다. 이들 배우자는 수정에 의해 형성 가능한 배우자조합이 16개이다. F₂에서 16개 배우자조합의 유전자형은 9가지이며, 이들의 표현형은 네 가지 종류로서 표현형 빈도가 9 : 3 : 3 : 1이 됨을 알 수 있다.4) 검정교배멘델은 F₁(WwGg)의 각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분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F₁(WwGg)을 열성친(wwgg)과 검정교배 하였다. 그 결과 황색종자, 둥근 녹색종자, 주름진 황색종자, 주름진 녹색종자가 1:1:1:1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 비율은 배우자 분리비 WG:Wg:wG:wg = 1:1:1:1과 일치한다. 배우자 분리비가 1:1:1:1로 나온 것은 두 쌍의 대립유전자 W, w 및 G, g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자유 조합하였음을 입증하는 것이다.2. 자식성 식물집단과 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적 특성 설명가. 자식성 식물집단자식성 식물에서 순종의 유전자형은 동형접합체(AA, aa)이다. 그리고 F₁유전자형은 이형접합체(Aa)이다. F₂부터는 유전자형들이 분리, 세대의 진전과,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가 변동한다.그림 2-1. 자식에 의한 이형접합체 감소와 동형접합체 증가부모(♀)AAXaa(♂)↓↓배우자AXa↓F₁Aa│F₂AAAaaa({1} over {4})25%({1} over {2})=50%25%({1} over {4})↓┏──────╋──────┓↓F₃AAAAAaaaaa({1} over {4})({1} over {2})({1} over {4})({1} over {2})({1} over {2}{1} over {4})({1} over {4})AA={1} over {4}+{1} over {8}={3} over {8}=37.5%Aa={2} over {8}=25%aa={1} over {4}+{1} over {8}={3} over {8}=37.5%↓↙┏──────╋──────┓↘↓F₄AAAAAAAaaaaaaa({1} over {4})({1} over {2})({1} over {4})({1} over {4})({1} over {4})({1} over {4})({1} over {2})({1} over {4})({1} over {4})({1} over {2})({1} over {4})({1} over {4})AA={1} over {4}+{1} over {8}+{1} over {16}={7} over {16}=43.75%Aa={2} over {16}=12.5%aa={1} over {4}+{1} over {8}+{1} over {16}={7} over {16}==43.75%↓↙┏──────╋──────┓↘↓F5AAAAAAAaaaaaaa({3} over {8})({1} over {4})({1} over {4})({1} over {8})({1} over {4})({1} over {8})({1} over {2})({1} over {8})({1} over {4})({1} over {4})({1} over {4})({3} over {8})AA={3} over {8}+{1} over {16}+{1} over {32}={15} over {32}=46.875%Aa={2} over {32}=6.25%aa={3} over {8}+{1} over {16}+{1} over {32}={15} over {32}=46.875%↓↙┏──────╋──────┓↘↓F6AAAAAAAaaaaaaa({7} over {16})({1} over {8})({1} over {4})({1} over {16})({1} over {4})({1} over {16})({1} over {2})({1} over {16})1} over {8})({1} over {4})({7} over {16})AA={7} over {16}+{1} over {32}+{1} over {64}={31} over {64}=48.4375%Aa={2} over {64}=3.125%aa={7} over {16}+{1} over {32}+{1} over {64}={31} over {64}=48.4375%FmAAAaaa({1} over {2})[1-({1} over {2})m-1]({1} over {2})m-1({1} over {2})[1-({1} over {2})m-1]자식에 의해 이형접합체(Aa)는 매세대마다 1/2씩 감소한다. F5 세대에 가면 이형접합체는 6.25%만 남고 93.75%는 동형접합체이다.자식성 집단의 유전자형은 오랜기간 동안 자식을 거듭해 온 자연집단에는 동형접합체만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자연집단에서는 자연돌연변이와 타가수분 및 이형접합체의 적응도 등에 의해 생각보다 많은 유전변이를 포함하고 있다.자연집단에서는 타식률이 극히 낮은 자식성 식물집단에서도 환경적, 유전적 영향으로 소량의 타가수분이 발생하며, 이때 도입된 새로운 유전자는 유전변이를 유발한다. 우성 유전자가 도입되면 그 특성이 표현형으로 나타나므로 자연선택이나 인위선발이 쉽고 빠르다.나. 타식성 식물집단타식성 식물집단은 타식을 하므로 이형접합성이 높으며 화분친이 제한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전변이가 큰 특징이 있다. 이형접합성이 높은 것은 잡종강세가 나타날 수 있으며 특수한 환경에 잘 적응하는 열성유전자나 수량성은 낮아도 품질이나 성분의 다양화에 유리한 열성유전자를 유지할 수 있다.1) 타식성 집단의 유전자형 빈도타식성 식물집단의 유전자형 빈도는 원칙적으로 하디-바인베르크법칙을 따른다.개체 간에 자유롭게 교배가 이루어지는 집단의 크기가 크고 집단 내에서 자연선택이나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으며, 다른 집단과 유전자 교류가 없을 경우에는 세대가 진전되어도 집단의 최초 유전자빈도와 유전자형 빈도가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집단은 유.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9.3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농업유전학,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 설명.', '유전자 상호작용 정리'
    다. 상위성5박순직·남영우, 농업유전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한상준, [강의록] 농업유전학_02강한상준, [강의록] 농업유전학_03강1.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가. 멘델 ... 출석수업 과제물(평가결과물) 표지(온라인제출용)교과목명 : 농업유전학학 번 :성 명 :강 의 실 :연 락 처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과제제목1. 멘델의 제1법칙, 제2법칙 설명2. 유전자 상호작용 정리(교재내용 참고)(단, 분량
    리포트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2.09.3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컴퓨터의이해 2025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인 사물인터넷의 사례를 교재 9장을 참고하여 네 가지만 설명, 유비쿼터스 관련기술을 교재 14장을 참고 1강에서 언급한 세계 슈퍼컴퓨터의 관련사이트를 검색
    한다.참고문헌 : 김강현, 손진곤, 이병래(2022). 컴퓨터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2512) 유비쿼터스 관련기술을 교재 14장을 참고하여 네 가지만 설명하라 ...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3983) 1강에서 언급한 세계 슈퍼컴퓨터의 관련사이트를 검색하고 2024년 기준 1,2,3 위 슈퍼컴퓨터에 대하여 이름, 성능, 장소, 응용분야 ...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는 스마트팜 시스템을 통해 토양 습도와 기온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작물 성장 환경을 유지하는 데 활용된다. 더 나아가, 재난 대응 시스템
    방송통신대 | 12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5.03.16
  • 생물과학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교과목명:생물과학?학번:?성명:?연락처:?평가유형:과제물?과제물유형:공통형?과제명:1. 최근까지 생명과학이 이룩한 성과의 의의를 설명하라. (A4 5매 내외)2. 오늘날의 우리 나라 농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라. (A4 5매 내외)[1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생명과학의 발전Ⅱ. 본론 ? 생명과학의 분야별 성과 및 의의1) 세포학과 미생물학2) 유전학과 분자생물학3) 식물생리학과 동물생리학4) 생태학Ⅲ. 결론 ? 생명과학의 과제와 전망Ⅳ. 참고문헌1. 3정 생물과학, 박순직 외 2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2. 생물과학 워크북, 한상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제3장3. 고등학교 교과서 생명과학 2018, 오현선, 미래엔4. 생명과학의 미래 변화와 대응 방안, 안두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2번 문항 목차]Ⅰ. 서론 - 우리나라 농업의 역할 및 중요성Ⅱ. 본론 -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과 그 사례1) 도시와의 현격한 생활 격차와 그에 따른 인구 감소, 고령화2) 재배 작물의 편중화3) 세계화에 따른 문제점4) 기타 문제점Ⅲ. 결론 ? 우리나라 농업이 나아갈 길Ⅳ. 참고문헌1. 21c 농업·농촌의 비전과 발전전략 2001, 이정환 외 13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2.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TME/322542/view(샤인머스캣)3. https://www.nongmin.com/news/NEWS/ECO/CMS/312529/view4. 2020 농업전망 자료5.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97(e-나라지표)6.https://blog.naver.com/ksg2028/222108332841(자급률 수치)7.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745b967494985_18(폭우피해)8.https://blo행되었다. 이로 인해 수술 중 세균에 의해 감염되거나 상처 부위의 감염에 의해 사망하는 사고가 많았다. 그러나 탄저균, 결핵균 등 세균이 전염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 밝혀져서 소독과 멸균 등에 대한 방법이 개발되어 수술실에 적용됨으로써 이로 인한 사망률을 크게 저하시켰다. 이 외에도 각종 전염병의 원인과 감염경로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었고, 전염병을 예방할 백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전염병균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항생 물질이 발견되어 세균성 전염병으로 고통받는 인류를 구제할 수 있게 되었다.19세기 말에는 담배모자이크 병에 걸린 식물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발견되었고, 바이러스의 결정을 얻으며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후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현미경을 통해 관찰되었고, 바이러스의 구조적 특징과 작용 기작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천연두 등이 바이러스로 발생하는 병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질병의 치료제 및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도 이러한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전세계적으로 인류를 괴롭히고 있는 이 질병의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처럼 세포학 발전으로 생명체의 기본 구조인 세포를 규명하고, 그 주기를 밝혀 질병 치료의 길을 열었다. 또한 미생물학의 발전으로 인류 질병의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알아내는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2) 유전학과 분자생물학수많은 생명과학 분야가 눈부신 발전을 이룩하며 성과를 이루어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는 것이 질병치료와 노화,발생 등 다양한 생명현상을 분자적 수준에서 탐구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과 그와 관련된 유전학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들의 발전은 멘델의 실험이 있으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수도원에 완두를 교배한 후 그 표현형을 관찰하고 몇 가지 유전적으로 중요한 사실을 발견품종의 개발이나 저개발국가의 국민들이 특정 영양소가 결핍되어 관련 질병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개량한 작물을 개발하는 등의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3) 식물생리학과 동물생리학오늘날의 농학은 생명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발달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생명과학의 분과 중 식물생리학은 작물을 다루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고 생식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환경 조건이 필요한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빛, 온도, 수분, 양분 등의 조건이 달라진다. 빛은 광합성을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 되며, 식물마다 견딜 수 있는 온도의 조건도 모두 다르다. 각 식물이 최적으로 생각하는 온도 범위에 따라 재배적지가 결정되었다. 또한 극단적인 온도 조건에서도 자랄 수 있는 식물을 발견하거나 온도에 내성을 가진 작물을 개발하여 국토의 다양한 곳에서 재배함으로써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함과 동시에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식물이 요하는 수분의 조건도 다양한데, 각 식물별 특징을 이용하여 척박한 환경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을 발견하게 되었다.한편 식물호르몬은 식물의 환경과 유전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물질로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에틸렌 등이 있다. 옥신은 줄기의 신장생장, 잎의 엽면생장, 열매(과일)의 부피생장, 뿌리의 부정근 발생 등을 일으키며, 일정 범위 안에서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을 촉진시키며, 줄기에서 끝눈의 생장을 촉진하고 곁눈의 생장을 억제하여 정단우성을 일으킨다. 이러한 옥신의 작용을 확인함으로써 작물을 길이 생장시키거나 정단 우성을 요할 때, 인위적으로 처리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베렐린의 경우는 줄기 생장을 촉진하고, 보리 종자 등에서 발아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성질을 활용하여 보리 종자의 발아를 촉진할 경우 저온처리를 하거나 지베렐린을 처리한다. 에틸렌은 노화촉진 호르몬으로 잎과 과일의 탈리에 작용하며, 과일의 후숙을 빠르게 하는데, 농장에서는 완전히 익기 전에 과일을 수확하여 과실을 유통시키렇게 생명과학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해오고 있다는 것은 생명과학으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가 오늘날에 그리고 미래에 남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최근까지 생명과학이 이룩한 성과에 더하여 앞으로 이것이 더 해결해야 할 과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먼저 식량 안보와 관련된 문제이다. 식량 안보란 국민들이 원하는 때, 원하는 만큼의 양의 식량을 공급해 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기대 수명은 늘어나고 개발도상국가 등에서 인구는 증가하여 UN에 따르면 2100년에는 전 세계 인구가 110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인구의 폭발적 증가는 식량 공급의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식량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대량으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생명과학이다. 유전적 변이를 이용해 다수확 품종을 개발해 내거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는 품종들을 개발하여 단위면적 당 보다 많은 식량을 어디서든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재배 과정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는데도 생명과학이 도움이 되어야 한다. 각 온도, 습도별 피해 가능 해충을 예측하고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가뭄에 대한 저항성이 크거나 홍수의 피해를 덜 입을 수 있는 품종을 육종해야 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등으로 식량 안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언제나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는 식물 공장을 설립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두 번째는 자연생태계의 보존이다. 지나친 도시화와 화학연료의 무분별한 사용, 삼림개간 그리고 환경호르몬 등으로 인해 자연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많은 종들이 사라졌으며, 지금도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이 많다. 동식물이 멸종하고,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은 곧 인간에게도 이러한 위협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과 같다. 건강하지 못한 생태계에서는 최상위포식자 중 하나인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다. 이렇듯 멸종 위기에 놓은 생명을. 이러한 예에 덧붙여 최근에는 바이오에너지 공급원으로서 농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사탕수수 등의 재배·공급이 그것이다. 뿐만 아니라 공업화와 개발의 만연으로 인한 국토의 황폐화를 막고, 국토를 균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농업·농촌의 유지는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농업이 유지됨으로써 농촌의 자연공간을 더욱 아름답고 가치 있는 것이 되도록 한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농업의 자연공간 보존 기능을 활용하여 관광과 휴양지를 개발하는 등 환경친화적인 사업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개척하고 있다. 이렇듯 농업은 산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지역사회를 유지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할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다.우리는 식생활과 관련되고 직접 소비함으로써 얻는 농업의 식량 공급의 기능에 대해서만 인지하고 있지, 그 외 기타 환경보전, 생태계보전 등의 외부적 효과를 간과하게 된다. 이는 직접 비용을 치르고서 얻는 경제적 활동의 산물이 아니라 농업을 유지함으로써 얻는 부차적인 이득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농업과 농촌은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농업은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는지, 그것을 타개할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기로 하자.Ⅱ. 본론 ? 우리나라 농업의 문제점과 그 사례1) 도시와의 현격한 생활 격차와 그에 따른 인구 감소, 고령화우리나라 농촌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허리가 구부정한 할머니가 밭을 일구는 모습, 나이가 지긋한 어르신들이 경운기를 타고 논두렁을 달리는 모습이 아닐까 생각된다. 우리 농촌은 늙었다. 점차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2020년 농업전망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농가 인구는 전년보다 1.6% 감소한 228만명으로 추정되며, 2019년 65세 이상 농가 인구 비율은 45.5%로 전망된다. 이러한 농촌의 노령화는 근본적으로 도시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생활 환경의 차이에 근원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가 현격히 줄어든 것은 임금, .
    방송통신대 | 11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2.1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동서양고전의 이해 방송통신대학교 다윈의 종의 기원의 이해
    공생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환경 정책 등을 개발하는 등의 노력을 할 수 있다.[참고문헌]류종렬 외, 『동서양 고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 다윈의 의 이해와 현대적 고찰다윈의 저서 은 현대 생물학과 진화론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고전 작품이다. 은 진화 이론의 시초가 된 혁명적인 개념을 담고 있으며, 지구상의 모든 ... 성과 복잡성이 모두 하나의 기원에서 비롯되었다고 믿었으며, 생명의 나무라는 개념을 통해 공통조상에서 종분화를 거쳐 여러 종들이 갈라져 나오는 생물다양성을 설명하였다. 은 현대 생물학
    방송통신대 | 3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4.04.2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도시주변의 숲환경이 좋았던 어떤 한 도시(가정)의 A지역이 과도한 개발로 인해 개발 이후 한 가운데 섬처럼 남겨진 도시숲이 있다. 이 도시숲은 개발로 인해 유입된 많은 사람들의 과도한 이용과 관리 소홀로 인해 그 숲에 서식하고 있던 생물(야생동물, 식생) 종의 감소와 숲길 훼손이 심각하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이 숲의 생태적 건강성 회복을 위한 방안에 대해
    . 결론[참고문헌]1. 숲과 삶 / 박미호 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82. 자연자원의 이해 / 이재영 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233. 도시지역 자연환경 ... , 하천, 농업 등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 지역일수록 생물다양성이 높으며 자연성도 높은 경향이 있다. 생태계가 분절되어 있을 경우 교란으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으며 야생성이 떨어지 ... 지에 대한 생태계를 정밀 조사한 뒤 동·식물이 공존하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터전으로 활용해야 한다. 생물종, 유전자가 소통할 수 있도록 도시 숲 사이 생태통로(ecological c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4.06.1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농업유전학) 멘델의 유전법칙을 설명하시오
    농업유전학1. 멘델의 유전법칙을 설명하시오.2. 비대립 유전자 상호작용에 대해 설명하시오.-목차-Ⅰ.서론Ⅱ.본론1.형질과 유전2.멘델의 실험3.멘델의 법칙1)우열의 법칙2)멘델의 제1법칙(분리의 법칙)3)멘델의 제2법칙(독립의 법칙)4.유전자 상호작용1)대립유전자2)비대립유전자3)유전자 상호작용4)비대립 유전자의 상호작용(1)보족유전자(2)중복유전자(3)복수유전자(4)억제유전자(5)우성상위(6)열성상위Ⅲ.결론Ⅳ.참고문헌Ⅰ.서론멘델은 1986년에 완두의 유전 현상을 설명하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발표 당시에는 멘델의 논문이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당시 멘델은 완두를 관찰하면서 호기심을 느껴 연구를 시작했는데, 생명체를 분석의 대상으로 생각한 것은 멘델 이후부터였다. 멘델은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해서 식물의 유전법칙을 밝혀냈다.이러한 멘델의 논문은 1900년대가 되어서야 재평가를 받기 시작했고, 생명과학 분야에서 유전학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멘델은 유전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다. 멘델의 유전법칙이 인정받기 시작한 이후, 멘델의 이론들이 수정을 거쳐가면서 유전현상, DNA, RNA 등의 분야로 발전하게 되었다.우리가 마트에 가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채와 과일이 멘델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이다. 환경이 변하고, 사람의 식성이 변하고, 토양이 변하면서 맛이 좋고 척박한 환경 속에서 잘 자랄 수 있도록 대부분의 야채가 품종개량을 거친 것들이다. 만약, 이 시기에 멘델의 유전법칙이 계속해서 인정받지 못했다면, 세계대전이 끝난 후 심각한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이렇게 큰 공헌을 한 멘델이 어떻게 이런 유전법칙을 알아냈는지 구체적으로 본론을 통해서 알아보겠다.Ⅱ.본론1.형질과 유전멘델의 유전법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형질과 유전이란 용어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한다. 형질은 귓불 모양, 머리카락 색, 피부색 등과 같은 생물이 가진 고유한 생김새와 특징을 말한다. 유전은 부모로부터 자식 세대에 전달되는 물질을 말한다.2.멘델의 실험유전 현상에 대해서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시도했던 사람은 바로 오스트리아의 수도원의 사제였던 멘델이었다. 멘델은 수도원에서 완두를 재배하면서 유전 현상에 일정한 법칙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완두를 보면 어떤 것은 둥글고 주름지게 생겼는데 어떤 완두는 매끈했다. 이처럼 하나의 형질을 서로 뚜렷하게 구별되는 형질을 대립 형질이라고 한다.멘델은 완두의 7가지 대립 형질을 이용하여 수많은 실험을 했다. 우선, 완두는 구하기가 쉽고 재배하기가 쉬워서 실험용으로 쓰기에 딱 적당했다. 멘델은 완두의 형질이 어떻게 유전되는지 조사하기 위해서 임의로 완두의 꽃의 수분을 조절하였다. 보라색 꽃의 수술을 제거해서 자화수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붓으로 흰색 꽃의 꽃가루를 보라색 꽃의 암술머리에 묻혔다. 멘델은 이런 과정을 반복해서 원하는 형질을 선택적으로 교배할 수 있었다.3.멘델의 법칙1)우열의 법칙멘델은 완두의 형질이 어떻게 유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대를 거듭해도 같은 것만 나오는 순종을 찾았다. 그 후에 이 순종이 키 큰 완두와 키가 작은 완두와 교배를 했을 때, 잡종 1세대에서 어떤 형질을 가지는 완두가 탄생하는지 지켜봤다.멘델의 실험에서 잡종 1세대에서는 키 큰 완두만이 나왔다. 다른 대립 형질의 교배 실험에서도 잡종 1세대에서는 두 가지 형질 중에 한쪽만 나왔다. 이렇게 잡종 1세대에서 나타나는 형질을 우성이라 하고, 키가 작은 형질처럼 잡종 1세대에서 나오지 않는 형질을 열성이라고 한다. 순종의 대립 형질끼리 교배시켰을 때 잡종 1세대에서 우성형질만이 나오는 것을 우열의 법칙이라고 한다.2)멘델의 제1법칙(분리의 법칙)멘델은 순종과 키 큰 완두, 키 작은 완두와 교배시켰을 때 키 큰 완두만 나오는 것에 의문을 품었다. 키가 작은 형질이 유전되지 않는 것인지, 유전이 되는데 숨어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졌고 멘델은 또 다른 실험을 시작한다.첫 번째 실험에서 얻은 잡종 1세대의 키 큰 완두를 멘델은 자화 수분을 시켰다. 실험 결과 잡종 2세대에서는 우성형질인 키 큰 완두와 열성 형질인 키가 작은 완두가 3:1의 비율로 나온 것을 알게 되었다.이러한 비율로 나오는 까닭은 유전자형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순종의 키 큰 완두에서 만들어진 생식세포의 유전자형을 T라고 하면, 순종의 키가 작은 완두에서 만들어진 생식세포의 유전자형은 t로 표시할 수 있다. 이들을 수정하여 얻어진 잡종 1세대의 유전자형은 Tt가 된다.잡종 1세대인 키 큰 완두(Tt)를 자화수분 시키면 T를 가진 생식세포와 t를 가진 생식세포가 1:1릐 비율로 만들어진다. 이 생식세포를 다시 수정시키면 잡종 2세대에서 유전자형이 TT, Tt, tt인 완두가 1:2:1의 비율로 나타난다. TT와 Tt의 표현형은 키가 큰 완두이고 tt의 표현형은 키가 작은 완두다. 그래서 키가 큰 완두와 키가 작은 완두가 3:1의 비율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이와 같이 한 쌍의 대립 유전자가 분리되어서 다음 세대에 유전되는 현상을 분리의 법칙이라고 한다.3)멘델의 제2법칙(독립의 법칙)멘델은 한 가지 형질이 우열의 법칙과 분리의 법칙에 따라서 유전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멘델은 두 가지 형질은 어떤 방식으로 유전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순종이면서 둥글고 황색인 완두와 주름지고 녹색인 완두를 교배하는 실험을 하였다. 전자와 후자를 교배하여 잡종 1세대를 얻은 후, 이를 자화 수분하여 잡종 2세대를 얻었다. 잡종 1세대와 잡종 2세대에서 얻은 씨를 모양과 색에 따라서 구분을 했다.순종에 둥글고 황색인 완두(RRYY)와 주름지고 녹색인 완두(rryy)를 교배했더니 잡종 1세대에서는 모두 둥글고 황색인 완두(RrYy)만 나왔다. 따라서 잡종 1세대에서 얻어지는 생식세포가 RY, Ry, rY, ry=1:1:1:1의 비율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잡종 1세대를 자화 수분 시키면 네 종류의 생식세포가 랜덤으로 결합하여 잡종 2세대가 만들어진다. 잡종 2세대에서 형성될 수 있는 유전자의 조합의 경우의 수는 16가지이다. 둥글고 황색: 둥글고 녹색: 주름지고 황색: 주름지고 녹색=9:3:3:1의 비율로 나오게 된다. 교배 결과를 보면 둥근 완두와 주름진 완두의 비율이 12:4이고, 황색 완두와 녹색 완두의 비율도 12:4이다. 이것은 한 가지 형질만을 교배했을 때 잡종 2세대에서 우성과 열성의 비율이 3:1로 나왔던 것과 일치한다. 따라서 완두의 씨 모양 형질이 유전될 때는 색깔 형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씨 색깔 형질이 유전될 때에도 씨 모양의 형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두 쌍 이상의 형질이 유전될 때 이처럼 독립적으로 유전되는 것을 독립의 법칙이라고 한다.4.유전자 상호작용1)대립유전자사람의 체세포에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가 2개씩 붙어있다. 이런 염색체를 상동염색체라고 한다. 상동염색체의 같은 위치에는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가 있다. 한 쌍의 대립유전자 조합에 의해서 표현형이 나타난다.2)비대립유전자비대립유전자는 비상동 염색체에 있거나 상동 염색체에서 서로 다른 자리에 있는 유전자를 말한다. 한 가지 형질에 두 개 이상의 비대립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을 유전자 상호작용이라고 한다.3)유전자 상호작용서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두 가지 유전자들이 같은 표현형을 결정하는데 관여해서 표현형의 분리의 비가 9:3:3:1이 나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유전자끼리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백질(효소)와 같은 것들이 관련되어 있는 것이다.예를 들어서 꽃의 색을 나타내는 색소가 2단계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해보자. 유전자A에 의해서 만들어진 효소A가 전구물질을 갈색인 색소원으로 전환시킨다. 유전자B가 발현되어서 만들어진 효소B는 갈색의 색소를 적색으로 바꾼다. 첫 단계를 수행할 효소A가 없으면 전구물질에서 색소원으로 전환시키지 못하므로 유전자B만 가지고서는 저객이 나올 수 없다.4)비대립 유전자의 상호작용(1)보족유전자비대립관계에 있는 2개 이상의 유전자가 독립적으로 유전되면서 기능적으로 협동하여 원래 없던 새로운 특정 형질을 발현한 것으로 표현형의 분리의 비가 9:7로 나온다.(2)중복유전자한 형질에 대해서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쌍 이상의 유전자를 의미한다. 잡종 2세대의 표현형의 분리의 비는 2쌍의 중복유전자일 경우 15:1이 나오고 3쌍의 중복유전자일 경우 63:1이 나온다.(3)복수유전자두 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동일 형질에 대해 같은 작용을 하여 우성유전자에 누적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표현형의 분리비는 9:6:1로 나온다.(4)억제유전자어떤 형질의 발현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말한다. 표현형의 분리의 비는 3:13이다.
    방송통신대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2.03.04 | 수정일 2022.03.05
  • 1. 환경친화형농업의 정의와 출현배경을 요약하여 설명하시오.
    2020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교과목명:환경친화형농업?학번:******-******?성명:***?연락처:010-****-****?평가유형:혼합형(과제물형, 주관식형, 혼합형(과제물+주관식) 중 해당 유형 표기)?주관식형:※ 주관식일 경우 문제번호 표기 후 답안 작성?과제물유형:공통형?과제명:1. 환경친화형농업의 정의와 출현배경을 요약하여 설명하시오. (10점)2. 유기농업자재를 대별하고 공시 및 품질인증제도를 설명하시오. (10점)3. 환경친화형농업의 기초이론과 적용기술들을 논하시오. (25점)4.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유기식품의 가공 등에 관한 국내외규정을 논하시오. (25점)목차1. 환경친화형농업의 정의와 출현배경2. 유기농업자재의 구분과 공시 및 품질인증제도3. 환경친화형농업의 기초이론과 적용기술가. 작물양분종합관리나. 병해충종합관리다. 정밀농업라. 유기농업4.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유기식품의 가공 등에 관한 국내외 규정가. 국내규정나. 국외규정참고문헌류수노 외 2인, 『환경친화형농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류수노 외 6인, 『친환경 유기농업』,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06곽노성 외 3인, 『소비자 중심의 유기식품 관리체계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1. 환경친화형농업의 정의와 출현배경환경친화형농업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의 생산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농업형태로서, 현대 농법의 부작용을 줄이는 동시에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 환경보전 및 농산물의 안정성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을 의미한다.이 환경친환형농업이 대두되게 된 배경은 국내적으로는 고투입ㆍ집약적 농업을 통해 생산량의 증대는 가져왔으나 환경오염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이 위협을 받게 되자,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오염물질의 정화, 유기성 폐기물(가축분뇨 등)의 재활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환경 친화형 농업의 태동으로 나타났다.국제적으로는 농업환경정책과 생산 및 무역과의 연계논의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제식생산을 위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이러한 국내외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우리나라 농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친화적농업이 해답일 수 밖에 없고 21세기 한국 농업이 나가야 할 방향이 되고 있다.2. 유기농업자재의 구분과 대별하고 공시 및 품질인증제도유기농업자재는 자가 제조형 자재와 공시 및 품질인증 자재로 구분할 수 있다.자가 제조형 자재는 농업인이 스스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자재로, 살균ㆍ살충효과가 있는 식물(살균-마늘, 양파 등/살충-협죽도, 석산 등)을 물 또는 알콜로 추출하여 사용하는 병해충 방지용 자재와 식물유박, 미강 등의 식물성 원료, 골분, 생선 부산물 등의 동물성 원료를 사용한다. 이에 비해 공시 및 품질인증자재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자재로, 인증기관의 공시 및 품질인증을 받은 자재이다.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자재와 병해충관리용 자재로 분류된다.유기농업자재 공시제도는 시중에 유통되는 농업자재에 대해,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에 따른 허용물질을 사용하여 생산된 자재인지를 확인하여 그 자재의 명칭, 주성분명, 함량 및 사용방법 등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는 제도이다. 유기농업자재 품질인증제도는 공시제도를 발전시킨 제도로 원료뿐만 아니라 효과도 인증한 제도이다.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자재는 비료효과가 15 %, 병해충 관리용 자재는 방제효과가 60 % 이상이어야 품질인증이 가능하다. 유기농업자재 공시제도와 품질인증제도는 공시ㆍ인증기관인 농업기술실용화재단, 강원대학교, 순천대학교에서 서류심사와 현장심사를 통해 지정한다.3. 환경친화형농업의 기초이론과 적용기술들을 논하시오. (25점)화학비료, 유기합성농약 및 유전자변형 작물 등의 사용으로 농산물의 획기적인 생산량 증대가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인류의 기아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으나, 독성의 축적과 환경파괴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이에 현재의 농업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게 되었고 환경친화이론으로는 작물양분종합관리, 병해충종합관리, 정밀농업, 유기농업이 있으며 그 적용기술은 아래와 같다가. 작물양분종합관리(INM, Integrated Nutrition Management)작물양분종합관리는 작물의 양분요구, 환경이 공급해줄 수 있는 양분의 양, 비료의 환경영향 등을 감안하여 시비량과, 시비방법을 정함으로써, 비료시용을 통한 농업 생산성의 적절한 제고와 비료시용으로 인한 환경부담의 최소화를 도모하는 작물관리 체계라 할 수 있다.작물양분종합관리에서는 ’투입량(천연공급+비료공급) - 산출량(작물의 흡수+휘산ㆍ탈질ㆍ용탈 등) = 남은 양분‘의 양분수지(nutrient balance)의 개념을 사용하는데, 남은 양이 0에 가까울수록 환경부하가 ’적다‘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토양의 양분상태와 작물의 양분흡수량을 파악하여 이에 최적화된 양분을 비료로 공급하겠다는 것이다.작물양분종합관리의 적용을 위한 토양의 양분 상태를 알기 위해 농촌진흥청에서는 흙토람(http://soil.rda.go.kr)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는 토양에 대한 무료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농업기술 포털인 농사로(http://www.nongsaro.go.kr)를 통해 작물별 양분소요량과 시비량을 안내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업인은 작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시비를 하여 농업생산성을 높이고 ’남은 양분‘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농자재 사용비용 절감 및 환경부하 감소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나. 병해충종합관리(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병해충종합관리는 병해충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그의 개체군 동태를 바탕으로, 모든 유용한 기술과 방법을 가능한 모순이 없는 방향으로 활용하여 그 밀도를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이하로 유지하는 병해충관리체계라 할 수 있다.병해충종합관리에서는 경제적 피해허용 수준(=방제비용/(단위생산물의 가격×피해계수))을 결정하는 것이 핵심인데, 각 항목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화가 심하고, 피해계수산정은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그램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경종적 방제, 물리적/기계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방법으로 병해충을 제어하는 것이 유기합성농약을 통한 방제보다 농업인의 수익향상과 환경보전에 더 합리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는 2019년부터 유기합성농약으로 인한 작물 및 인체의 피해를 최소화를 목적으로 농약허용기준강화(PLS)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농약정보서비스(http://pis.rda.go.kr)를 운영하고 있다.다. 정밀농업정밀농업은 작물의 생육상태나 토양 조건이 한 포장내에서도 위치마다 다르므로(공간변이성) 이러한 변이에 따라 위치별 적합한 농자재 투입과 생육관리(가변적 관리)를 통하여 수확량은 극대화하면서도 불필요한 농자재의 투입을 최소화해서 환경오염을 줄이는 농법이라 할 수 있다.앞에서의 작물양분종합관리나 병해충종합관리는 대상 포장전체를 평균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각 위치별 차이를 반영하기 어렵다. 경제성을 위해 포장을 대형화한 미국에서는 DGPS(세부 지구위치측정시스템)를 장착한 콤바인으로 작물을 수확하면서 위치별 수확량기록시스템을 통해 전자 수확량지도를 만들고 이를 토양변이성지도와 연계하여 위치별 작물관리를 하고 있다.포장자체가 크지 않고 시설원예작물 재배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시설 내의 광투과, CO2의 농도, 온습도 등의 작물재배인자를 관리하기 위해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과 식물공장 등의 형태로 정밀농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촌진흥청에서는 TOP 5 융복합 프로젝트로 차세대 스마트팜 기술을 확보하고 농산물을 넘어 스마트축사 시스템까지 국산화하는 등 우리나라의 농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으로 매진하고 있다.라. 유기농업유기농업은 농약ㆍ비료 등의 화학자재 대시 유기물과 미생물 등 천연자원을 사용하여 농산물은 물론 생태계의 건강까지도 고려하는 친환경농업의 하나이다. 유기농업에 대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는 ’농업생태계의 건강, 생물종 다양성, 생물학적 순환 및 토양생물학적 활동을 촉진ㆍ증진과 퇴구비는 유기경종이나 유기축산의 부산물에서 나온 것을 사용하고, 병해충 및 잡초 방제는 1단계 경종적 방제(종자적관점 : 병해충에 강한 종자ㆍ품종선택 등), 2단계 경종적 방제(생태적 관점 : 윤작, 기주식물 제거 등), 3단계 물리적/기계적 방제(해충ㆍ잡초 손제거, 방충막 설치 등), 4단계 생물학적 방제(천적활용, 생물농약사용 등)의 단계적 접근을 요구한다.환경친화형농업농업인의 경제성 확보가 고려되지 않는다면 단지 구호에 그칠 것이며, 왜곡되고 거짓된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다. 환경친화형농업이 지속가능한 농업의 방안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경제성과 환경성이 균형을 이루는 합리적인 수준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고, 농업외적인 면(유통 등)에서 농업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4. 유기농산물의 생산과 유기식품의 가공 등에 관한 국내외규정을 논하시오. (25점)그동안 우리나라 농업은 다수확과 소득증대에 맞춰져왔다.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농약ㆍ화학비료 드의 과다시용과 축산분뇨의 과다발생으로 농경지, 농업용수 등의 오염 등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친환경농업이 그 대안으로 대두되었다. 친환경농업의 대표적인 형태인 유기농업에 대한 국내외 규정을 살펴봄으로써 목표로 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한다.가. 국내규정 (「친환경농어업법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우리나라에서는 친환경농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대응하게 된 것은 1994년 12월 농림부에 친환경농업과가 신설되면서 부터이다. 1997년 12월 친환경농업육성법이 제정, 1998년 11월 친환경농업원년 선포, 2006년 유기농산물가공품 품질인증이 시작되면서 본격적인 친환경농업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현재 우리나라 「친환경농어업법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ㆍ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 친환경농어업법)」(농식품부 소관사항만)에서는 유기식품등(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가공식품, 비식용유기가공품) 인증, 무농약농산물등(무농약농산물있다.
    방송통신대 | 6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1.06.2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농축산환경학,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 '농약 사용상의 2가지 유익성과 3가지 유해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스마트팜 또는 스마트농업을 활용한 방안들에 대하여 제시하시오.'
    기말시험(과제물)?교과목명:농축산환경학?학번:?성명:?연락처:○ 과제명1.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15점)2. 농약 사용상의 2가지 유익성과 3가지 유해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5점)3.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스마트팜 또는 스마트농업을 활용한 방안들에 대하여 제시하시오.(20점)○ 지시사항- 아래한글, MS word로 작성, ※ PDF는 표절검사 인식 관계로 불가- 글자크기 : 12P, 줄간격 : 180, 작성 분량(A4기준, 표지 포함) 5매 내외- 과제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사항 : 목차 및 참고문헌 표기- 갖춰야 할 기본 형식 제시 : 서술형 ? 서론 본론 결론 형식으로 작성○ 참고문헌농축산환경학, 고한종 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농업기술길잡이 193, 농산물우수관리, 농촌진흥청, 2018.농업기술길잡이 221, 농약 바르게 이해하기, 농촌진흥청, 2019.축산용어사전, 농사로, 농촌진흥청.이현정(2017), 4차 산업혁명과 농업의 미래:스마트팜과 공유경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스마트팜 안내, 스마트팜코리아.축산도 DATA 시대, 축사를 바꾸는 20농가, 농림축산식품부, 2021.시설원예분야 ICT융복합확산사업우수사례집, 농림축산식품부, 2021.1. 농업생태계와 자연생태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1) 서론생태계는 생물 군집과 군집을 둘러싼 자연계의 화학적, 물리적 환경요인이 종합된 물질계이다. 유기물과 무기물 사이에 물질 대사계가 성립되어 있으므로 생태계가 인위적으로 변경되면, 그 생태계 전체의 물질대사 회로가 큰 영향을 받게 된다.생태계의 구성요소는 비생물적 요소,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분류된다. 비생산적 구성요소는 생물의 형에 의해 결정된다. 생물은 교대하면서 서서히 비생물적 환경을 변화시킨다. 생태계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생물 및 비생산 간에 물질교환을 수반한다.2) 본론A) 농업생태계농업생태계란 볍씨를 봄에 뿌리면 여름에는 무성하게 벼가 자라나고, 가을이 되어 추수를 마치고 내년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땅을 갈아엎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인류는 농업생태계에 유리한 작물을 선택하여 재배해 왔으며, 다양한 목적으로 여러 작물의 유전적 특성을 변형시켰다. 그로 인해 재배작물은 야생식물에 비해 생존경쟁력이 떨어졌고, 인위적으로 보호하지 않으면 자연 생태계에서 생존하기 어렵게 되었다.재배작물은 물질 공급이 계속되어야 성장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기본적으로 광합성에 의존한다. 광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유기물로 작물이 자라고 뿌리를 성장시키며 열매를 맺는다. 가축은 농작물을 섭취하여 뼈와 고기를 생산한다.B) 자연생태계자연 생태계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성요소는 다양한 생물과 무생물이며 이들 간의 관계도 복잡하다. 육상생태계에서는 자신에게 필요한 먹이를 스스로 조달하는 것이 육지에서는 초본성 식물이지만 수상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또 초식동물은 육지에서는 초본식물이나 바다에서는 동물성 플랑크톤이 그 역할을 한다.생태계를 구성하는 3대 요소는 군집, 에너지 흐름, 물질의 순환인데 자연 생태계에서는 수직적인 관계만 존재하지는 않고 모든 것이 비일률적, 비직선적이며 복잡하게 얽힌 관계를 갖는다.3) 결론자연 생태계에서는 농경 재배지에 비해 동식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동식물의 밀도가 먹이망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농업생태계는 대단위 면적에서 단일 작물만 재배되므로 특정 작물과 관계가 있는 병충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작물이 단순해지면 병충해를 방어할 생물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2. 농약 사용상의 2가지 유익성과 3가지 유해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 서론농약은 재배기간 중에 농작물을 병해충과 잡초로부터 보호하고 수확한 농작물을 저장할 때 병해충에 의한 손실을 막기 위해 농경 재배지 또는 종자의 소독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약제와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를 말한다.2) 본론A) 유익성질병의 퇴치 : 농약의 보급으로 과거에는 병해충 등으로 인해 재배가 어렵거나 수량 감소가 심했던 다수성 품종을 재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농약을 사용함으로써 병해충의 발생으로 다수확을 위한 다비재배나 농작물 재배시기의 조절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식량의 증산 : 미국에서는 살생물제의 살포에 30억 달러를 투자하여 110억 달러의 수확량 증가를 얻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기존 작물 재배체계에서 농약 사용을 멈춘다면 작물의 종류에 따라 24~37%의 감수가 예상된다고 한다. 독일에서는 무농약으로 사과를 재배하면 감수율이 40%나 되고 상품 불합격률이 80%에 달하였다는 보고도 있다.B) 유해성유전적 내성의 증가 : 살충제의 지속적 과다 사용은 목표 생물의 자연선택에 의한 내성을 갖는 품종이 우점종을 형성하게 되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살충제를 살포해야 한다.천적의 제거 및 새로운 해충의 발현 : 자연생태계 속에서 인간에게 크게 문제 되지 않는 생물이 다른 목표 생물을 죽이기 위해 살포된 살충제에 의해 천적의 수가 크게 제한되면서 역으로 크게 번창하여 결국 인간에게 새로운 해충으로 발현될 수 있다.잔류성 살충제의 이동 및 생물 증폭 : 잔류성이 강한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생태계 내의 다양한 순환 과정을 거치면서 대기, 수질, 토양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과 같은 상위 포식자의 체내에 고농도로 축척되어 해를 끼칠 수 있다.3) 결론농업생산성의 증대와 안정적 생산, 공급은 생산자나 소비자에게 모두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급격한 인구 증가로 식량 자원의 확보가 국가 안보에 직결되고, 질적으로 우수한 농산물을 요구하고 추세이므로 농약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작물 재배 중에 병해충과 잡초의 방제를 위해 사용한 농약의 일부는 농작물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내부로 흡수된다. 그리고 나머지는 직접 토양에 도달하거나 농작물에 묻어 있다가 흘러내리며 빗물, 이슬 등에 씻겨 토양에 떨어지게 됨으로써 직, 간접적으로 인체에 접촉한다.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농약이 우리의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어느 정도까지 사용해야 하는지 늘 고민해야 할 것이다.3.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을 하기 위한 스마트팜 또는 스마트농업을 활용한 방안들에 대하여 제시하시오.1) 서론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등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이나 자동으로 작물 또는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 스마트팜은 작물의 생육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2) 본론A) ICT(정보통신기술) 장비를 도입한 스마트축사두레목장은 젖소 농장의 규모가 커지면서 투입되는 노동력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우유의 안정적인 생산성과 품질을 유지하는 고민도 있었으나 발정 탐지기를 도입하여 젖소의 발정 상태를 조기에 검사, 탐지해 적기 수정을 유도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사료 자동 급유기를 도입하여 사료 급유에 투입되는 시간을 절반 이상으로 줄여 규모화된 농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
    방송통신대 | 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9.30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