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노래를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본다면, 국가나 부족단위의 공동제의에서 부르던 본풀이류의 무가, 마을단위 혹은 가정단위의 무속신앙에서 불려지던 소규모의 무가, 개인적 차원 ... 에 불리다가 한역의 힘을 빌어 잔존하게 되었던 것이다.공무도하가 는 뒷시대 이별노래들의 원형이 되는 노래로서, 무속제의에서 행해진 원초적 발화로서의 넋두리로 본다. 황조가 ... 는 고구려 유리왕이 치희(稚戱)를 생각하며 지었다고 하는데, 부족간 갈등을 묘사하고 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며, 유리왕이 왕비 송씨가 죽었을 때 지었다는 설과 민요였을 가능성 등이 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