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정체를 드러낸다.이와 같이 반딧불의 묘와 간장선생에 나타나는 전쟁에 대한 묘사는 확연한 차이를 드러낸다.반딧불의 묘에서는 자신들이 저지른 일들을 언급하지 않은 채 피해의 모습만을 그렸다고 하면 간장선생은 일본의 부조리한 모습을 있는 그대로 그리고 있다. ... 먼저 반딧불의 묘는 1988년 다카하타 이사오감독이 제작한 지브리의 세 번째 작품이다.이 작품은 반전의 메시지를 과거의 전쟁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물질문명으로 소외되어가는 현대 ... 동생이 죽게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오빠도 죽게 되는 내용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전쟁으로 인한 남매의 비극적인 삶과 죽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하지만 이 ‘반딧불의 묘’ 안
저패니메이션으로 본 1945년 日本-火垂るの墓(반딧불의 묘)를 中心으로-{목차Ⅰ. 서론Ⅱ. 본론1. 시공간적 배경2. 일본적 정서3. 반딧불의 존재와 의미4. 토나리구미(隣組)5 ... 의 짐을 벗어 던지고 자연 속에서 즐겁게 노는 것으로 착각 을 한다. 시대적 배경을 배제하고 생각한다면 이들의 행동은 워낙 천진난만해 보였기 때문이다.3. 반딧불의 존재와 의미이 ... 들이 친척집에 얹혀 살면서 간혹 밤늦게까지 시골구경을 할 때에는 어김없이 반딧불을 볼 수 있었다. 이 작품의 도입부에서도 죽은 남매는 반딧불에 둘러싸이면서 재회한다. 그리고 유심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