았던 신들이라 무척이나 신기했고, 생활 곳곳에 신이 있다고 생각한 그 발상이 정말 신선했으며 문득 집 곳곳을 다시 한 번 살펴보게 되었다. 만약 민간신앙의 신들이 정말 존재 ... 한다면 내가 살고있는 이 집 어디에도 신들이 있다고 생각을 하니 소름이 돋음과 동시에 신들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이 더 커졌습니다. ‘당신’은 민간신앙의 성소인 당에 좌정한 신을 말 ... 의 다른 신들은 사탄이고 악마라고만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저에게 민간신앙의 신들은 뭔가 사람들에게 해로울 게 없는 존재라고 생각이 조금은 바뀐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는 ‘당
를 비롯한 민간신앙의 전승이 많이 단절되거나 그 형태가 변형된 사례가 많다. 지역 토박이들의 노력으로 완전히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에서도 제의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 ... 에서도 제의 일시는 10월이 32%를 차지한다. 산신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기도의 민간신앙 양태를 볼 때, 이 수치는 산신제의 제의 일시 및 횟수에 대한 수치에도 적용될 수 있 ... 에서는 산신제를 지내며 도당굿을 겸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비의 문제로 상시적으로는 산신제만 행하다 격년, 혹은 3년에 한 번씩 도당굿을 지내는 마을이 많다. 전체적인 민간신앙
는 데 효과적이다.) 중국의 해시계는 평면에 수직으로 세운 영침을 사용하는 것이 전통이었기 때문에 앙부일구는 이러한 전통과 궤를 달리 하는 것이다.) 비록 에는 곽수경의 앙의를 본땄 ... 하다.조선의 시간체계앙부일구의 시각 눈금은 오늘날과 다른 체계의 시법을 따르고 있다. 하루를 12등분한 시(時)로 나누어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2지신 이름 ... 는 역법이나 천문학에서 쓰이는 개념으로 일반 백성들은 알 방도가 없었고 필요도 없었다. 그래서 12진까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보통 하루의 시작을 자시로 보긴 했으나, 민간에서는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