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1,284)
  • 리포트(1,153)
  • 시험자료(65)
  • 방송통신대(38)
  • 논문(22)
  • 자기소개서(4)
  • 서식(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검색결과 1-20 / 1,284건

  • 1923년 제11회 대한민국임시의정원 회의 연구 (A Study on the 11th Korean Provisional Congress in 1923)
    수선사학회 박유진
    논문 | 3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28 | 수정일 2025.05.07
  • 1940년대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건국 구상 (The National-Building Planning and Discuss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during the early 1940s.)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정병준
    논문 | 4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28 | 수정일 2025.05.07
  • [대한민국임시의정원][대한민국][임시정원][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성립,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연혁,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역할,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군사건의안 분석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성립,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연혁,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역할,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군사건의안 분석Ⅰ. 개요Ⅱ.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성립Ⅲ. 대한민국임시의정원 ... 의 연혁Ⅳ.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역할1. 초기조직과 원(院)구성의 변동2. ‘내각책임제’ 정부의 수립Ⅴ.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군사건의안참고문헌Ⅰ. 개요국민대표회의 결렬 이후 창조파 ... 라 민족해방운동의 이념적 지향을 분명히 하고 앞으로 수립될 민족국가의 체제를 전망하면서 일정한 정강?정책을 마련했다.Ⅱ.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성립임시정원의 성립은 3?1운동 후 상해
    리포트 | 10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3.04.15
  • 대한민국임시정부 중요성,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과정, 대한민국임시정부 초기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군,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정원,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국설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요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정,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기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연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 대한민국임시 ...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통국설치Ⅸ. 결론참고문헌Ⅰ. 서론상해와 남경이 위기에 처한 가운데 중국 국민정부는 1937년 11월 17일 수도를 남경 ... 정부의 교통국설치 분석Ⅰ. 서론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요성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정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기활동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연구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군Ⅶ
    리포트 | 13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13.08.06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요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원방침,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통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 연구 과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요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원방침,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통국,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 향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연구 과제 분석Ⅰ. 서론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중요성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원방침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통국1. 통신활동2. 군자금모집 및 기타 활동3. 해체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Ⅷ. 향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연구 과제Ⅸ. 결론참고문헌Ⅰ. 서론국공합작체제는 1940년 봄을 고비로 현저히 흔들렸고 한인 좌파 세력의 정치적 배경이었던 중국군사위원회 정치부의 성격은 이때 크게 변화하였다. 1938년 10월 말 무한을 함락시킨 일본군이 더 이상 대규모 진공을 하지 않게 되자 중일전쟁은 대치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반면 국공 간의 단결 분위기는 그만큼 약화되었고, 역으로 국공간의 갈등은 점차 표면화되었으며, 국민당 내에서는 반공 분위기가 되살아났다. 그런 가운데 국민정부 내의 “반동적 실력자인 하응흠 등”은 국공합작에 편승하여 성장한 경쟁자 진성을 추락시켜 나갔다. 진성은 그간의 사태에 책임을 지고 1940년 3월 군사위원회 정치부장 직에서 물러났다. 아마도 중공 세력의 성장과 그에 따른 국민당의 상대적 손실에 대한 책임 때문이었을 것이다. 화북 경우 1939년 하반기에 이곳에서는 국민당계 부대와 공산당계 부대간의 충돌이 있었고 공산당계 군대가 승리하였다. 점차 일본군 점령지를 제외한 화북지구에서 공산당이 거의 석권하게 되었다. 일부 국민당 군 간부는 중공군(팔로군)의 유격전에 대해 “유이불격”(유하면서 격하지는 않는다)이라 하여 항일에 소극적이라고 비난하였다.진성이 정치부 부장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정치부의 분위기는 현저히 바뀌어졌다. 국공합작의 상징으로 출발하였던 정치부에서 이후 부부장 주은래 및 제3청장 곽말약을 추방하였으며 정치부는 국민당 일색으로 개조되었다. 이로써 “국공합작의 유일한 교두보가 상실”되었다는 였다.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제 2차 세계대전에 이르는 시기에 국제정치질서를 규제하던 베르사이유 강화체제에 도전하는 노선을 걸었으면서도 끝내는 그를 극복, 민족해방으로 이끌었던 중요한 힘이 되었다. 특히 3?1운동에서 굳어진 민족의 자주독립 의지를 관철시키려는 역사적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건립, 국내외 독립운동의 최고 중추기관으로 삼아 전후 27년에 걸친 강인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던 것이다.그러나 해방과 더불어 내부요인보다는 외세의 作亂으로 밀어닥친 민족분열과 국토분단은 우리민족에게 또 다른 무거운 민족적 과제와 시련을 안겨준 결과가 되었다. 이런 속에서 6?25전쟁과 같은 민족상잔으로 말미암아 우리 민족은 3?1운동에서 표출된 민족의 독립의지와 27년에 걸친 임시정부의 독립투쟁의 역사를 외면하고 강대국 세력경쟁의 제물이 될 뻔하였다. 현재 한민족의 당면한 과제는 다시는 그러한 비극을 겪지 않고 남북통일과 민족번영을 이룩하는 일이다. 이를 위하서는 3?1운동과 그를 이어 전개된 임시정부의 활동에서 성장된 민족의식과 근대의식이 조화를 이룬 한국민족주의를 계승 발전시켜야만 한다고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라면 3?1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의 정치사적 의미가 현재에도 보다 뚜렷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둘째는 문화사적 입장에서도 3?1운동과 임시정부의 활동을 계기로 큰 성장을 본 한국의 근대문화는 어떤 성질의 것이며 현대 한국문화 창달에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물론 전제는 임시정부의 직접 지배가 미치지 못하는 일제식민지지배하의 갖은 악조건 하에서 자란 근대문화가 모든 면에서 견실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왜곡된 측면이 있음을 솔직히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방후에까지도 한동안 자아의식의 상실까지 위협하던 부화된 외래문화의 수렁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모습도 보인 적이 있다.그러나 한시대의 문화를 단순히 외부에 표현된 양상만 갖고 논하는 외형평가론보다는 대국적으로 민족발전을 도모하는 내재적인 민족문화능력이 일본의 비호 아래 한인사회가 경제적으로 성장했다.이와 함께 임시정부의 정부 성격에 대해서는 헌법체제와 정부형태별 성격 규명이 있었다. 전자는 임시헌장의 제정으로부터 5차 개헌까지로 구분하여 시기별 헌법체제별로 정리하였는데, 임시헌장 제정?1차개헌과 대통령제, 2차개헌과 국무령제, 3차개헌과 국무위원제, 4차개헌과 주석제, 5차개헌과 주석?부주석제 등이다. 그리고 후자는 대통령중심제(1919~25), 내각책임제(1925~27), 관리정부제(1927~41), 절충내각제(1941~45) 등으로 구분하여 정부형태를 정리한 것이었다.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원방침1920년 12월 재무총장 이시영이 작성한 ?재무부사업보고?에서 “정부 창건 초에 재정의 도가 의할 바를 연득치 못하고 따라셔 세입 예산을 편성하야 일정한 계획하에셔 세입 징수를 행치 못”했다고 했듯이 1919년 4월 상해에서 임정이 수립될 당시에는 구체적인 재원 방침이나 재정기구를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때문에 정부 수립 초기 임정의 시급한 과제 가운데 하나는 정부 유지를 위한 경상비와 독립사업을 진행할 사업비를 확보하기 위한 재원책과 이를 관리, 운영할 기구를 마련하는 것이었다.임정이 재원방침에 관한 논의를 시작한 것은 1919년 5월 제4회 임시정원에서였다. 5월 2일 의정원에서는 임정의 재원 방침에 대한 각 의원의 의견을 총괄하여 다음 두 가지 방향에서 재원 방침을 의결했다. 하나는 ‘영구유지 방침’으로서 임시정원의 의결을 거친 정부령으로 인구세를 시행하고 내외 공채를 모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당면한 임정의 재정을 보완하려고 상해 재류동포를 대상으로 ‘구급의연금’을 의회 주관으로 모집하는 것이었다. 정부에서도 5월 12일 의정원에서 보고한 시정방침에서 “1인 50전의 인구세와 애국금 모집”이라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이렇게 임정이 수립 직후 정부와 의정원을 중심으로 정부 예산의 기본 재원으로서 조세수입인 인구세와 함께 세외수입인 내외공채?애국금 등을 기본적인 재원으로 확정했다. 그러나 이 판부는 개인별 인구세조정원부와 인구세 수납부를 마련하고 재무부 주세국장의 납액통지서를 받은 후 10일 이내에 개인에게 발부하고(제1조), 독판은 납세액증감표?징수보고서?체납자씨명보고서의 각 월말보고서를 다음달 5일 이내에 주세국장에게 제출하며(제2조) 세금의 현금 출납은 반드시 독판부의 재무사장이 취급하도록 했다(제3조).조세 발달의 과정에서 보면 인구세 즉 인두세는 “가장 최초요 원시적인 세금”으로 “모든 사람에게 일률적으로 일정한 세금을 부과”하다가 점차 “시대의 흐름에 따라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일정한 연령 이상의 남녀에게만 일정액을 부과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었는데 이 세금은 도저히 공평의 원칙에 부합될 수 없는 세금이라고 한다. 임정이 이와 같이 전근대적인 인구세를 국민개납주의에 의해 주요 재원으로 삼은 것은 재산세나 소득세와 같이 국민의 재산과 소득을 실질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현실적인 통치력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민개납주의는 민족해방이라는 국민적 정당성의 명제에서 자연스럽게 제안된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임정에서는 조세수입으로 임시소득세의 납입을 계획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亡國이후 서?북간도를 비롯한 남?북만주와 시베리아 연해주에서는 민족운동가들에 의해 한국의 독립전쟁을 위한 기지건설이 활발히 추진되었다. 3?1운동의 발발을 계기로 만주?연해주지역의 민족운동가들은 운동의 3단계 전략에 따라 일제히 무장독립군단체를 조직, 국내진공작전에 들어갔다. 국내진공작전은 1919년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을 비롯하여, 서?북간도의 각 독립군부대에 의해 빈번히 이루어졌다. 일본군은 거듭된 패전에 대한 보복으로 庚申慘變이란 불리는 만행을 자행하였다. 이후 독립군은 자유시참변으로 장기항전의 꿈이 좌절되기도 하였다.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통국1. 통신활동교통국의 주된 활동은 조직의 각 課와 係의 명칭에서 보이듯 인물소개와 군자금 모집, 그리고 정보의 수집 및 전달을 위주로 하는 통신업무 등이었다. 이는 독립자금을 를 구비하고 무력활동까지 펼칠 근거지로 삼았다. 하지만 이 곳 또한 일제에게 발각되어 1920년 7월 9일 급습을 받고 오학수?池應晋?咸錫殷 등이 체포되었다.이와 같이 임정과 교통국을 위해 활동한 쇼우는 日警의 끈질긴 추적을 받다가 1920년 7월 11일 안동에서 신의주로 향하는 기차 안에서 체포되었다. 7월 31일 경성으로 이송되어 일제로부터 內亂罪人이라는 죄명에 의해 갖은 탄압을 받고, 같은 해 11월 19일 보석으로 풀려났다. 석방 후에도 쇼우는 적어도 1922년 중후반까지 임정의 교통국 업무를 지원하였다.쇼우의 헌신적인 지원에 의해 펼쳐진 활동 외에 다음과 같은 교통국의 활동을 볼 수 있다. 안동교통국의 일부 국원들은 통신이나 군자금 모집 등 그들 본연의 임무외에 국내로 잠입하여 독립운동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그러한 사례는 1919년 10월 30일 평양에 파견된 吳能祚?皇甫德三 등에 의해 11월 4일까지 주도된 시위운동을 들 수 있다. 이들을 포함한 8명의 국원들은 평양시내의 공립보통학교 생도, 崇實?崇義女學生, 평양청년단 및 일반인 등을 예배당 및 보통학교 운동장에 집합시킨 후 임시정부의 포고문 제1, 2호 약 4천 매를 살포하며 시위를 주도하였다. 이 활동이 있고 난 뒤 안동사무국의 평양지국에서는 같은 해 11월 17일 신문을 찍기 위한 한글 활자 7천 3백자를 구입하여 임정에서 운영하는 독립신문사에 보내주기도 하였다. 또 안동사무국의 통신원 장광삼은 1919년 12월 30일 한국지도 519매를 국내에서 구입해 사무국장 홍성익을 통해 임정에 전달하기도 하였다.하지만 교통국의 활동 중에는 성공적인 것이 있었던 반면, 일제의 탄압을 받아 갖은 고초를 겪은 경우도 많았다. 그러한 몇 사례를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1919. 7. 30 安東局員 金相台 활동을 위해 경성에 도착했으나 체포됨.안동국원 林承業 경성 桂洞에서 체포됨.? 1919. 9. 24 안동국원 金軫鉉 路下驛 基豊家에서 체포됨.? 1920. 5. 31 경상북도에 교통기관을 설치하기 위해 파했다.
    리포트 | 17페이지 | 6,500원 | 등록일 2013.04.15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조직,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정기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개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일정책,임시정원 분석
    정부의 임시정원 분석Ⅰ. 서론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조직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정기구1. 재정기구의 편성1) 재무부2 ... ) 재무총장 직속기구2. 재정의 예산회계 및 회계검사제도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개조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일정책1. 강압책2. 회유 이간 책동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1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내조직,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정기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개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일정책, 대한민국임시
    리포트 | 22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13.04.27
  •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 의열투쟁,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열단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제연맹, 대한민국임시정부 홍보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정개조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정원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 의열투쟁,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단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제연맹,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홍보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정개조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회의 분석Ⅰ. 서론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투쟁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단체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제연맹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홍보활동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정개조운동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회의Ⅸ. 결론참고문헌Ⅰ. 서론남한 민족주의자들이 남북회담과 통일운동을 추진한 배경으로 또 하나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좌우?남북 합작의 경험이다. 먼저 1948년 2월 16일 김구?김규식이 남북회담을 제의한 「2월서신」에는 해방직전 임시정부의 좌우합작 시도가 상당히 자세하게 언급되어 있다.一九四四年 十月 十六日 延安서 주신 惠札(a)을 拜讀한 以後 未久에 仁兄은 鴨綠을 건느고 弟는 黃海를 건너서 各各 그립든 故國을 차저오게 되었나이다(b). 그때에 있어서야 누가 한 나라 한 울 밑에서 三 四年의 긴 歲月을 經過하면서도 서로 對面하지 못할 것을 뜻하였으맀가. 아아 이것이 우리에게는 解放이라 함니다…………仁兄이여 이것을 엇지하면 좋겟슴니가. 弟는 가슴이 답답하고 仁兄이 보고 싶은 때마다 때묻은 보따리를 해치고 일즉이 重慶에서 받었든 惠札(a)을 再三 읽고 있읍니다. 그 中에는 나에게 보냈다는 이러한 電文(c)도 記錄되어 있읍니다. ?今年三月先生給學武君的貴函 今十月初才收到(d) 我們今日一切以民族利益爲基準 不應有些毫成見, 我們對先生來延一次的意向無任歡迎(e)?. 또 나와 각 團體로 보냈다는 이러한 電文(f)도 記錄되여 있읍니다. ?我們不問 地域南北 派別異同, 誠心團結, 實事連絡, 如能促進會師鴨綠之實現, 諸位若能同意, 淵可以從中斡旋(g)?. 또 이러한 것이 記錄되여 있읍니다. ?先生今次信中 ‘連絡과 統一을 爲하야 老身이 一次 赴延하면 中韓 兩方面이 歡迎할 可望이 있겠는지?(h)’여긔 對하여 우리가 誠心으로 歡迎할 뿐 아니라, 中方面에서도 勿論 歡迎합니다.(i)가를 위한 수정자본주의를 표방했을 뿐이었다. 그렇게 보면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던 건국강령과 임시정부 헌법은 이념상 일치하지 않았다고 이해할 수밖에 없다.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투쟁임정의 의열투쟁은 1920년에 집중되었으며, 지역적으로 국내는 주로 국경 부근의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국외에서는 상해에서 전개되었다. 1920년에 집중적으로 의열투쟁이 전개된 이유는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임정이 반일세력에 대해 계속적인 경고가 있었다는 것과, 3?1운동 이후 독립운동의 열기가 고조되어 국내에 임정을 지원하는 비밀결사가 생겨 났기 때문이었다. 국내에서 자생적으로 생겨난 비밀결사는 임정이나 만주독립군 등의 국외운동과 깊은 연관 속에서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고, 특히 대한독립애국단, 대한민국청년애국단, 대한민국애국부인회, 대한국민회, 대한애국부인회 등과 같은 전국 규모 단체들 대부분이 직간접으로 임시정부와 연결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 1920년에 결성된 大韓赤十字社靑年團(1920.1~1921.4), 廣濟靑年會(1920.3~1921.6), 義勇團(1920.4~1920.8), 大韓獨立靑年團(1920.5~1921.3), 暗殺團(1920.6~1920.9), 武裝計劃團(1920.9~1920.12) 등과 같은 단체는 만세운동 추진이나 선전물 배포보다는 직접적인 친일배의 처단, 일제 식민기관의 파괴와 같은 의열투쟁적 성격을 띤 단체들이었다.한편 임정은 국내와의 연결을 통해 임정에 대한 선전?통신?연락?독립운동 자금 수집, 친일파 처단, 밀정보고, 근거지 확보 등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정은 경기?충남북?전남북?황해?평남북?함남북?강원도에 연통제 조직을 두고 있었다. 또한 임정은 통신조직을 전국적 규모의 조직체로 1개군에 1개국과 1개면에 1개소의 통신국을 건설하고자 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평안남북도와 황해도에 집중되었다. 교통국도 연통제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의 군자금 모집, 정보수집 및 보고, 정부의 지령 전달, 독립운동 인물소개 및 무기의 수송전달 등을 하였다. 초기 임정은강화하게 되었다.특히 임정은 1920년 미국 의원단이 극동 3개국 시찰할 때 이를 기하여 국제적 승인을 받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도 비밀결사 단체가 미국의원단이 입국하였을 때 한국 민족의 抗日氣槪를 보일 수 있는 의열투쟁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단체가 1920년 4월 평양에서 조직된 義勇團이다. 義勇團은 상해 의용단의 국내지단으로 金錫璜 주도 아래 평안도와 황해도 각 지역에 지단을 조직하였으며, 서울에도 동지를 규합하는 등 거의 전국적 조직을 가진 비밀결사였다. 이 단체는 조직목적을 “국가의 독립에 있어서는 其手段으로서 위선 일본 要路의 高官 및 親日鮮人을 살육하고 일본에 대하여 宣戰을 포고한다”라고 하여 폭력적 수단으로 일본인 관료 및 친일자를 처단하고, 일본과의 독립전쟁이 일어나면 독립군으로 참전하여 순국한다는 것이었다.미국의원단의 입국을 계기로 폭탄투쟁을 전개하기 위하여, 의용단은 1920년 8월 張德震?金昌洙?文賢哲?朴公?安敬信 등이 중심이 되어 미의원단이 평양을 지날 때 폭탄을 던져 의원단으로 하여금 국내의 형편이 매우 불안함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에 이들 5명은 서로 임무를 분담하여 안경신은 8월 3일 평안남도 경찰부에 폭탄을 던져 경찰부 벽과 유리창을 깨뜨리고, 다시 평양경찰서에 던지고자 하였으나 도화선이 비에 젖어서 목적을 달성치 못하였다. 또한 평안남도 제3부 평양경찰서 청사에 폭탄을 투척하였지만 窓硝子 및 외벽 등을 파괴하고 말았다. 이어 8월 6일에는 表永準이 鍊光亭 앞에서 평남경찰부장이 탄 자동차를 습격하여 중상을 입혔고, 8월 9일에는 일경 森木春平을 사살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이처럼 국내에서의 의열투쟁은 1920년 중반에 들어 그 범위가 확대되기 시작하였는데, 1920년 9월 18일 평안남도 강동경찰서 청사에 폭탄을 투척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은 李桓郁 등이 군자금을 모집하여 상해 임정을 원조하기 위해 그해 8월 상순 실행기관으로 農民團이란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는데, 그들은 먼저 강동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고 이기기 못하고 말았다.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단체임정과 연계되어 활동한 의열단체들이 많다. 1920년 4월 황해도 봉산에서 결성된 독립단결사대는 임시정부군의 국내진입시 일본군과 교전하며 길을 안내하고 친일파를 처단한다는 계획으로 조직될 단체이다. 그리고 1920년 5월 평북구성에서 결성된 대한민족자결국민회도 임시정부 및 연통제 평북독판부와 기맥을 통하여 경찰관 습격대 및 암살단의 보호원조, 총기의 소재조사, 인구세의 징수, 친일파를 조사하여 조선의 독립을 용이하게 한다는 목적으로 활동하였다.또한 광복회는 3.1운동으로 회원들이 대거 피체되면서 와해되었지만, 광복회원 韓焄이 조직 재건을 도모하고자 상해에 가서 임시정부의 이동휘?이시영?안창호?신익희 등과 상의하여 권총 40정?폭탄 10개?탄환 3천발을 제공받고 광복단 결사대 대장을 자임하여 1920년 3월 국내로 잠입했다. 이에 김좌진 휘하 북로군정서의 국내공작 특파원인 김동순과 협의를 거쳐 尹益重?申華秀 등와 더불어 ‘암살단’을 조직하여 활동하던 김상옥과 만나 중요기관의 폭파와 요인암살을 계획했다. 불운하게도 1920년 8월 23일 일경의 예비검속에 포착되는 바람에 한훈이 피체되고, 金相玉도 1923년 1월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고 결국 왜경의 포위아래서 순국하고 말았다.한편 평북 의주군 고령삭면 천마산에서 천마산대가 조직되어 1920년부터 22년에 걸쳐 활동하고 있었다. 이들 총대장은 최진동이며 대부분 구한국 군인출신이었다. 활동근거지는 평북 삭주?의주?구성?창성 등으로 주로 광산지역을 중심으로 할동, 군자금모집과 민중공작?일관리 암살 등에 주력하였다. 암살활동으로는 1920년 6월 10일 일제 밀정이었던 창성군 대창면장 강창헌을 암살하였다.임시정부와 연결된 또 하나의 조직으로 무장 계획단이 있었다. 이 조직은 李鐘榮의 법정진술처럼 ‘조선독립을 위하여 피 흘리며 싸우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므로 일변 무기를 구입하여 조선인중 피 있는 청년 십만 명이나 이십만 명을 무장시키기 위해 군자금을 모금하기 위해 조고 민심을 통일하며, 한민족의 상황과 사상은 오직 한민족을 통해서만 알린다는 것이었다. 이는 임정이 안으로 사상과 지연 등의 분열, 밖으로 일본군국주의 침략으로부터 도전을 받으면서 새로운 민족국가 건설을 위한 민족정신의 구축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임정의 존재와 독립운동의 상황을 국내 동포들에게 전달한 첫 번째 방법은 인쇄물을 통한 홍보였다. 임정에서 파견된 특파원이나 우편에 의해 송부된《독립신문》이나 일제가 말하는 소위 불온문서로서,「임시정부후원회취지서」?「남녀학생에게」(포고 제1호)?「상업에 종사하는 동포에게」(포고 제2호)?「적의 관공리인 동포에게」(포고 제3호)?「在내외일반국민에게」(내무총장 포고 제3호) 등의 독립운동 관계 문서가 널리 유포되어 독립의식을 확산시켰다.1919년 9월 23일에는 임정 史料編纂委員會에서『韓日關係史料集』전4권을 편찬 간행하였다. 1919년 5월 12일 제4회 의정원회의에서 국무위원 조완구가 발표한 시정방침, 즉 “3월 1일부터 진행된 역사를 편찬할 일”에 따라 민족의식과 새로운 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전제로서 국사와 신사상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안창호?이광수 등의 발의로 7월 2일에 임시사료편찬회를 설치하고 사료 편찬에 착수, 사료집을 발간하였다. 이 책자를 간행한 것은 국사와 신사상 고취 외에도 외국에 파견되는 특사들에게 한국 독립의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고 일본제국주의 침략의 실상과 한국 역사의 유구성 및 한민족의 우수성을 홍보하려는 목적 때문이기도 하였다.임정이 발행한 각종 인쇄물이 국내 각처에 배포됨으로써 만주, 상해를 비롯한 해외 항일투쟁 상황이 국내에 소개되었고, 그에 따라 국내의 잠재된 항일의식을 각성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임정의 수립과 더불어 국내에서의 반향도 즉각 나타나 임정을 홍보하거나 독립운동자금을 송부하는 등의 후원활동을 전개하는 많은 단체들이 조직되었다. 따라서 홍보활동은 일제로부터 철저한 감시와 탄압을 받았다. 일제가 우려하였던 것은 해외독립운동세력과 국내와의 연계, 독립사상의 다.”
    리포트 | 22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13.08.06
  • 대한민국임시정부 정의, 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부 극동인민대표회의, 카이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정원회의, 남북회의,대한민국임시정부 파리강화회의,대한민국임시정부 국민대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의, 건국강령,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카이로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회의, 남북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민대표회의 분석Ⅰ. 서론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의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1. 극동인민대표회의와 한국 혁명의 과제2. 레닌 테제의 등장과 한인 공산당 조직들의 해체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카이로회의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회의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남북회의1. 6개항 의견서2. 2월서신1) 김일성에게 보낸 것2) 김두봉에게 보낸 것3. 7거두성명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파리강화회의Ⅸ.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민대표회의Ⅹ. 결론참고문헌Ⅰ. 서론제2차 세계대전의 전개과정에서 열린 수차례의 국제회의는 임정에 희망과 기대를 주는 동시에 절망과 우려를 선사했다. 그 중에서도 임정의 정세인식과 진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카이로선언(1943. 12)과 얄타회담(1945. 2)의 결과였다.카이로선언에서 연합국은 한국인들의 노예상태에 주목해 ‘적절한 시기(in due course)’에 한국을 독립시키겠다고 공표했다. 전후 국제질서 재편에 대한 루즈벨트의 다자간 국제 신탁통치 구상이 외교적 수사학으로 포장된 이 문구는 한반도의 장래가 연합국의 신탁통치 하에 놓인다는 의미였다. 1942년말부터 한국독립당과 임정은 이러한 연합국의 구상을 국제공관론?국제공영론으로 지칭하며 격렬하게 반대했다. 임정은 연합국의 전후 한반도문제 처리방식이 ‘위임통치’혹은 국제공관임을 인식했으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가장 최선의 방법이 임정의 승인임을 자각했다.이후 임정은 중국국민당 정부의 승인을 획득하는데 주력했으며, 이승만을 위원장으로 하는 주미외교위원부?주미외교위원회를 통해 미국의 승인을 얻으려 노력했다. 또한 런던의 프랑스망명정부와 연대하고 승인을 획득함으로써 임정의 국제적 승인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임정의 대 연합국 승인외교 활동이 별다른 성 중요했던 것이다.임시정부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중경시기의 활동이었다. 중경에 정착하기 전인 1939년에 군사특파단을 서안에 파견하여 중일전쟁에 대처하고 있었지만 중경에 정착하자 1940년 9월에는 광복군을 창설하여 본격적인 독립전쟁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외교활동도 적극 전개하여 1943년에는 카이로 선언에서 한국의 독립을 국제적으로 약속 받았다. 국제적으로 독립을 약속 받은 것은 어느 식민지 민족의 독립운동에서도 성취하지 못한 한국독립운동 외교의 대승리였다. 그런데도 열국은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았다. 그것은 임시정부 외교의 한계라고 하기보다는 아직도 국제적으로는 제국주의의 벽이 두터웠다는 것을 의미했다.중경시기의 활동으로 가장 괄목할 것은 통일전선의 형성이다. 1942년에 통합의회의 출범과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한데 이어 1944년에는 좌우 연립내각이 구성되었다. 그리고 연안의 독립동맹과도 통일전선 형성에 합의한 단계에 이르렀다. 바로 그때에 1945년 8월 15일을 맞은 것이다.그렇다면 미국과 소련이 남북을 분단하여 점령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통일정부 수립이 낭패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미군과 소련이 점령하지 않았다면 미국에서 돌아온 인사와 소련에서 귀국한 동포가 통일전선을 형성한 중국에서 환국한 동포를 제치고 올라설 하등의 구실도 힘도 생겨날 수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미군과 소련군이 점령한 힘을 빌려 미?소가 요구하는 대로 분단정부 수립을 주도해 갔다. 바로 거기에 임시정부를 이끈 사람과 미국과 소련에서 활동한 사람의 다른 점이 있다고 하겠다. 1948년의 남북협상을 추진한 김구 김규식이 임시정부 주석과 부주석이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대한민국임시정부의 건국강령은 삼균주의의 구현방안이었다. 강령의 총강에 의하면 삼균주의의 사상적 연원은 단군의 弘益人間의 개국정신을 비롯하여 전통시대의 정신사에 있다는 주장이고, 그것이 3.1운동으로 건립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의해서 혁명적으로 발전하여 1931년 삼균주의로삼균제도를 종합해서 볼 때 동양적 또는 한국적 이상주의를 근대 논리로 재구성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런가 하면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규정이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보통의 경우라면 삼균이라고 해도 교육은 수익권의 규정에 포함하고 사회보장체제에 대한 규정을 두어서 정치 경제 사회의 민주화를 구조화했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내재적 역량인 智力을 더 중시하여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구조화하였다. 이것은 삼균주의가 역사적 引古性을 강하게 가진 나머지 한국사의 文治 전통에 집착한 탓이 아니었던가 한다. 그렇게 보면 사회구성체적 이론을 중시하는 사회주의와 거리가 먼 삼균주의의 성격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사회주의의 국가관리 이론을 크게 수용한 점은 부정해서 안될 것이다. 이와 같은 여러 측면을 종합해 보면 삼균주의는 수정자본주의 또는 사회민주주의의 논리라고 할 것이다.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극동인민대표회의1. 극동인민대표회의와 한국 혁명의 과제1922년 1월 21일부터 2월 2일까지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에서 장소를 바꿔가며 극동인민대표회의 1차 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는 극동아시아에서의 공산주의 혁명을 수행하기 위한 과제를 토의하는 대회였는데, 한국?중국?일본?몽골?자바?러시아 등의 지역에서 144명의 대표가 참가했다. 한국 대표단은 23개 단체에서 뽑은 52명으로 구성됐다. 이것은 이 대회의 대표 총수 144명의 3분의 1을 훨씬 넘었다. 상해와 국내의 주요 대표는 이동휘?박진순?여운형?김규식?羅容均?金始顯?장건상?박헌영?林元根?金丹冶?金元慶?權愛羅 등이었다. 한국 대표단에서 대회 의장단의 일원으로 여운형이 선출됐다. 여러 모로 보아 이동휘가 한국 대표단의 대표로 의장단의 일원으로 선출됐을 법했으나, 이동휘는 폐회에 임박해 참석했기에 그렇게 되지 못했던 것 같다.대회는 코민테른 중앙집행위원장 지노비예프에 의해 주재됐다. 그는 1월 21일의 개회사와 23일의 기조연설을 통해 동방혁명의 아시아 제일주의를 전면에 내세웠다. 그는 서방 제국주의와 자본주히려 처음에는 장기간의 광범위한 信託統治안을 표명할 계획이었다가, 중국 대표를 통한 大韓民國 臨時政府의 맹렬하고 완강한 활동의 결과 예정에 없던 ‘韓國의 獨立’ 약속?보증을 ‘카이로宣言’으로 공표하게 된 것이었다.1943년 11월의 ‘카이로 선언’에서 열강의 ‘국제공동관리 신탁통치안’이 사전에 봉쇄되고 유일하게 ‘韓國의 獨立’이 열강 사이에 약속 선언된 것은 중경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치열하고 완강한 국제외교활동이 쟁취한 대성과였다.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원회의1942년 10월 25일에 개회된 제34차 임시정원 회의는 좌익진영의 인사들이 의정원 의원에 선출된 후 처음으로 참석한 의회였다. 이는 1919년 임시정부 수립 이래 최초로 수적으로 성황을 이룬 것과 함께, 주의와 노선의 차이로 대립을 거듭해왔던 것을 극복하여 의정원이라는 기구로 통일을 이룬 점에서 統一議會로 불렸다.성황리에 개회된 제34차 의정원 회의에서는 중요한 안건들이 논의되고 통과되었다. 그동안 광복군 활동에 관한 9個準繩問題와 건국강령 제정반포의 위법성 논의, 개천절 기념식을 10월 3일 양력으로 환산?시행하는 문제, 約憲 修改問題 등이 진지하게 논의되었다. 그 가운데 임시정부 조직과 관련하여 결정된 것은 李始榮 등 22명의 의원들이 제출한 國務委員增選案과 李復源 등 5인이 제출한 政府部署擴充案이다. 통과된 이들 안건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임시정부의 각 부서를 충실히 조직하고 각부 次長制를 채용하여 부장 보좌의 임무를 수행케 할 것.?국무위원 4인을 增選하기로 하고 柳東說 · 黃學秀 · 金奎植 · 張建相을 국무위원에 선임함.?임시정부에 交通 · 宣傳 · 生計 · 學務의 4부를 增設할 것.제34차 의정원 회의의 결정으로 4부가 증설되면서 임시정부는 기존 5부에서 9부로 증설되었다. 또한 국무위원에 좌익진영인 민혁당계(김규식 · 장건상)와 조선민족해방동맹계(유동열)의 인물들이 새로 선임되어 임시정부 조직에 실질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이제 임시정부는 擧國一致의 聯合政府 성격을 갖게 하였다.거가 불가피할 경우에 대한 입장은 정리되지 않았다.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에 들어온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은 이승만?김구?김규식?김성수 등과 선거 문제를 협의하였다. 1948년 1월 말의 면담에서 이승만은 남한만이라도 조속한 선거 실시를 주장하였고, 남조선과도정부의 ‘중간파 지원정책’과 공산주의자들에 의한 테러를 비난하였다. 반면 김구는 먼저 김규식과 ‘남북정치요인의 협상’과 ‘전국 총선거’에 합의하고, 이를 유엔한국임시위원단과 회견에서 주장하였다. 회견을 마친 김구는 자신의 주장을 6개항으로 정리한 ?意見書?를 발표하였다.① 우리는 신속한 총선거에 의한 한국의 통일된 완전 자주적 정부만의 수립을 요구한다.② 총선거는 인민의 절대 자유의사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기를 요구한다.③ 북한에서 소련이 入境을 거부하였다는 구실로 유엔이 그 임무를 태만히 하지 아니할 것을 요구한다.④ 현재 남북한에서 이미 구속되어 있으며 혹은 체포하려는 일체 정치범을 석방하기를 요구한다.⑤ 미소 양군은 한국에서 즉시 철퇴하되 소위 진공 상태로 인한 기간의 치안 책임을 유엔에서 부담하기로 요구한다.⑥ 남북 요인 지도자 회의의 소집을 요구한다.김구의 ?6개항 의견서?는 ‘미소양군 철수후 유엔감시하 남북 지도자들간의 합의에 의한 전국 총선’으로 요약할 수 있다. 미소 양군 철수를 주장하면서도 ‘힘의 진공상태와 혼란’을 우려하여 ‘유엔에 의한 치안 담당’을 강조한 이러한 입장은 매우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것이었다. 그러나 미군정이 논평한 바와 같이 1947년 말 한때 남한 선거 참여를 고려하던 입장에서 ‘명백하게 전환된 것’이었다.김구의 ?6개항 의견서?는 당시 정국의 최대 이슈가 되었으며, 우익진영내 전쟁과 같은 대립을 초래하였다. 한국독립당과 임시정부 요인들, 김규식의 민족자주연맹, 중간좌파의 정당협의회 등은 김구의 의견서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우익 연합단체인 獨立促成國民會에서는 김구를 ‘용서할 수 없다’는 강경론과, ‘진의를 밝혀 포섭하자’는 온건론으로 논의가 분분했으며, 한국민주당이 주도하는다.
    리포트 | 25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13.08.06
  • 宋秉祚의 생애와 독립운동 (Song Byung Jo, His Life and Independence Movement)
    한국근현대사학회 이지은
    논문 | 27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7 | 수정일 2025.06.04
  • 一波 嚴恒燮의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Eom Hang-Seop's Independence Movement and Activ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김윤미
    논문 | 3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8 | 수정일 2025.06.1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이 수립한 임시정부이다. 대한제국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대한 ...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임시정원의 결의에 의하야 이를 통치함.’이라고 명시되어있다. 이는 국민의 의견을 대변하는 의회의 역할과 근대적 입법과 행정기관의 분권을 명시하고 있 ... ’을, 국민의 나라라는 의미에서 ‘민국’을 사용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라고 이름 지었다.3·1운동을 통해서 정부 수립 운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3·1운동은 곧바로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4.12.3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박물관을 다녀와서, 국가와 학교가 나에게 주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소고
    박물관을 다녀와서, 국가와 학교가 나에게 주는 의미와 가치에 대한 소고I. 서론II. 본론III. 결론I. 서론지난 주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 다녀왔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기념하기 위해 개장한 기념관으로, 임시정부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임시정부기념관은 옛서대문형무소가 내려다보이는 옛 서대문구의회 터에 지어졌다. 다음 본론에서는 기념관에서 국가와 학교의 의미에 고찰해 본 것을 서술하였다.II. 본론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은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소개와, 대한민국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인 임시정부의 활동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고 있었다. 2022년 개관한 기념관이라서 그런지 내부에 볼거리가 많았고 설명도 알차게 있어서 유익하게 전시를 즐길 수 있었다.인상깊었던 것 중 하나로는 “군주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라는 키네틱 아트였다. 공중에 매달려 있는 여러 개의 구슬이 어떤 각도에서 보았을 때에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것처럼 보였는데, 일정한 각도에서는 태극 문양으로 보였다. 임시정부 수립 이전에 흩어져 있던 국민들이 임시정부 수립을 통해 효과적으로로서 화합하는 것을 표현했다고 생각했다.그리고 4층에는 임시정부 수립 당시 사회에서 사용되었던 일상용품을 전시하고 있었다. 과거에 사용되었던 국회개원 기념우표와 낡은 종이에 씌인 헌법을 보면서 임시정부 수립을 위해 힘쓴 사람들의 노고가 실재했음을 물리적인 물질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의 한 순간에 걸어 들어온 것 같아서 신기하면서도 국가 수립의 현장에 온 것 같아 전율이 느껴졌다.또한, 3층 상설2관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한 데에 기여한 사람들을 볼 수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정을 도식화해서 그림과 사진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람들이 어떻게 헌법을 개정하고 지도체제를 정비했는지 상세하게 나와 있었다.이를 통해 임시정부는 독립운동 세력과 긴밀하게 협력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세력을 통합해서 의회와 내각을 구성하고 진정으로 나라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인물을 모았다.조소앙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임시정원법 기초위원으로 있었으며 임시 헌장 기초위원으로 역임되기도 했다.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많은 기여를 했을뿐더러 국무총리 선거 방식을 현대민주주의와 가장 가까운 형태인 무기명 투표 방식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그의 제안을 통해 이승만이 국무총리로 선출되며 임시정부를 확립할 수 있었다.특히, 국민대학교는 대한민국 대학의 역사에서 특별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국민대학교는 대한민국 최초의 민립 대학으로 세워졌으며, 임시 정부의 독립운동가들이 건립을 주도한 자주적 교육기관이다. 국민대학교 설립을 위하 설립 기성회가 결성되었을 때 고문에는 백범 김구와 김규식이 있었고, 명예회장은 조소앙, 회상은 신익희가 선임되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70년 역사는 대한민국 대학 역사의 출발로부터 지금까지 명맥을 이어온 것이다.국민대학교 명예회장의 자리를 맡았던 조소앙은 제 5대 임시정원 의장으로 있기도 했다. 또한, 조소앙의 동생이었던 조용제는 한국혁명여성동맹으로서 임시정부 수립에 도움을 주었다. 조용제 애국지사는 독립운동가로서 활동하며 국가에 대한 헌신을 드러냈다. 이처럼 가족이 서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주고받으며 국가를 보전하고 발전시키려고 노력한 점이 대단하다고 느껴졌다.국민대학교가 대한민국 최초의 민립 대학으로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학교에 대한 자긍심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학교의 이름과 역사에 걸맞게 나 또한 대학교육을 열심히 받아 전문지식을 갖춘 지식인이 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그리고 임시 정부의 독립운동가들이 국민대학교 설립을 주도한 정신을 본받아 국가에 공헌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다. 임시정부의 끊임없는 투쟁을 통해 지켜낸 국가가 있었기에 지금의 내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국가를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보답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리포트 | 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3.09.1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대한국민의회
    하기 위하여 임시정원의 결의로 임시헌장을 선포한다.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제2조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임시정원의 결의에 따라 이를 통치함제3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남녀 ... 이동휘와 문창범이 통합을 위해 상하이로 갔습니다.그러나 상해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독자적으로 임시헌법을 제정하자 이에 반발을 하면서 내분이 일어나게 됩니다.이러한 가운데 이동휘만 국무 ... 총리로 남고 문창범은 초대 교통총장 자리를 사임하며 러시아로 돌아갔습니다.이동휘상해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총리고려 공산당 창당이후 이동휘는 1921년 초 임시 정부를 탈퇴하였고요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5.04.02
  • 柳子明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Ryu, Ja-Myeong(柳子明)’s Activ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이재호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4.30 | 수정일 2025.05.1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사검정능력시험_근현대 표 요약
    인 사건독립의군부복벽주의(임병찬)대한광복회박상진,공화정3,1운동고종 안산일, 제암리 학살(화성)중국5.4운동영향,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대한민국 임시정부, 삼권분립,임시정원 ... , 회사령, 관세폐지물산장려운동(평양)조만식민립대학설립운동경문맹퇴치운동조선어연구회,가갸날신채호(민족주의사학)창조파조선사연구초, 조선혁명선언박은식(민족주의사학)2대 대통령(임시)‘혼 ... ’,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나운규아리랑형평운동(진주)백정운동6.10만세운동조선민흥회정우회-->신간회신간회공개단체, 근우회, 광주학생항일운동암태도 소작쟁이원산총파업의열단김원봉
    시험자료 | 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2.06.04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정치론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A++
    보 이승만은 상해임시정부 수립시 초대 국무총리가 된다. 한성정부는 제6조에 규정대로 대한민국 임시정원임시헌번 반포와 함께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흡수된다. 대한민국임시정부 ... 들이 회합하여 임시정원을 구성한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임시정원의 형태로 시작한 것이다. 당시독립지사들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상해 프랑스 조계로 모여들었다. 이들은 서울 ... 대한민국 제1공화국 성립이후로 할 수 있다. ① 대한제국 1987.10.12. - 19.10.8.29 ②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4.11.-1945.8.15. ③ 대한민국공화
    리포트 | 13페이지 | 4,900원 | 등록일 2021.07.1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의 공화정 도입 과정과 평가
    주제: 한국의 공화정 도입 과정과 평가내용: 한국이 군주제 국가에서 공화제 국가로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 정리, 평가 -> 9주차 수업시간에 시청한 다큐멘터리, 에서 한국에서의 ‘공화제 논의 전개’와 10주차 수업 앞 부분 내용인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까지의 과정’을 정리하는 형태로 작성목차I. 서론II. 본론1. 왕정을 타파하려는 사람들,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2. 상하이에 최초로 세워진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3. 해방과 대한민국의 수립III. 결론IV. 참고문헌I. 서론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단기간 안에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뤘을 뿐 아니라 민주공화국의 정치 체제도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성공적으로 정착시킨 나라이다. 유럽의 국가들이 수백 년에 걸쳐 이룩한 민주공화정의 체제를 우리나라는 불과 수십 년만에 정착시켰다. 제국주의 시대에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피지배 국가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안정적으로 민주공화제가 정착되어 국민들이 헌법이 보장하는 자유와 기본권, 선거에서의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고, 합헌적인 절차에 따른 정권 교체가 이루어져서 장기 집권이나 독재가 어려운 나라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까지의 과정이 순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우리는 그것을 이루었다.민주공화제의 정착을 위한 노력은 현대에 이르러서만 존재한 것은 아니다. 조선 말부터 공화정의 도입을 위한 움직임들이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제 치하에서도 민주공화제를 가진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던 조상들의 강한 의지의 산물이다.본 보고서는 KBS에서는 2008년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 60주년을 맞아 방영한 다큐멘터리와 수업의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공화정 도입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II. 본론2. 왕정을 타파하려는 사람들,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민주공화제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역사적 사건은 1789년의 프랑스 대혁명이다. 프랑스 역사에서만 의미있는 사건이 아니라 인류사적으로 보아도 중세와 근대를 가르는 분기점이 된 사건이다. 프랑스 대혁명으로 루이 16세와 그의 아내 마리 앙투아네트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이 말은 곧 민주공화정 체제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왕정을 타파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우리나라에서는 프랑스 대혁명과 같은 급진적인 혁명까지는 아니어도 왕정 시대, 그러니까 조선 시대에 이미 왕정을 타파하고 정치 체제를 개혁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시도가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그리고 관민공동회였다. 독립협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결성될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해야 한다. 일본뿐 아니라 러시아, 청 등 강대국들이 조선의 이권과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호시탐탐 노리던 상황이었다. 조선은 이런 강대국들의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힘이 없었지만, 내부 개혁을 통해서 현실을 타파하려는 노력은 존재했으니 그 중 하나가 대한제국의 선포였고, 다른 하나가 독립협회의 활동이었다.,독립협회가 결성된 것은 1896년이 일이었다. 조선 후기, 조선 말의 일이었다. 독립협회는 한국에서 최초로 활동한 정치 단체이다. 이들은 자강을 통한 자주 독립을 추구했고, 그러기 위해서는 왕권을 강화해서 내부적으로 점진적인 개혁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기 때문에 독립협회가 추구한 정치 체제는 입헌군주제였다. 그래서 독립협회는 고종과 연합해 고종을 왕에서 황제로 격상시키고 1897년 10월 12일에는 고종의 황제즉위식을 거행해 대한제국을 선포하게 한다. 이로서 조선은 황제국이 되었으니 독립협회는 ‘입헌군주제’의 시행을 주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독립협회 주도로 1898년 3월에 서울 시내에서 ‘만민공동회’라는 이름의 일종의 정치 집회가 열린다. 이 집회는 처음에는 수백 명이 참여하는 국지적인 집회였지만, 나중에는 만 여 명이 운집하는 대규모 집회로 발전한다. 만민공동회에서는 누구나 자유롭게 연단에 올라 자기가 생각하는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 사회 개혁이 방향 따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었고, 그 자리에서 즉시 토론이 열리기도 했다.만민공동회는 시가이 지날수록 단순히 대중이 주도하는 집회를 벗어나 정부 관리들까지 모여서 대한제국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관민공동회’로 발전하게 된다. 만민공동회와 관민공동회를 주관한 단체인 독립협회에서는 대한제국이 중추원을 의회에 준하는 기구로 격상시켜서 황제의 입법권한을 축소해 제한적 입한군주제를 실시하자고 제안한다. 독립협회의 입헌군주제 제안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공화제를 논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고종이 독립협회의 간부들을 체포하고 만민공동회를 해산하면서 독립협회의 주장은 물거품이 되고 만다. 만민공동회나 관민공동회 같은 대중이 자기의 의견을 대중에게 말하거나 대중이 서로 정치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회가 사라지면서 공화국은 고사하고 입헌군주제에 대한 논의조차 점차 사그러지게 된다. 그러다가 1910년 8월 22일에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면서 대한제국마저 허울에 불과해졌다. 일제는 대한제국을 존치시키되 이것을 일본제국의 하나의 지역으로 편입시켰다. 국호도 다시 ‘조선’으로 바꾸었다. 황제국의 지위를 부정하고 격하시킨 것이다.2. 상하이에 최초로 세워진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1910년에 일본이 한일병합조약으로 대한제국을 강제로 편입시킨 후로 약 10년이 흐른 1919년에 한반도 전역에서 3.1 만세운동이 전개된다. 이를 계기로 독립운동 인사들이 상하이에 모여 임시정원을 창설하기로 결의한다. 여기서 국호를 ‘대한민국’이라고 하기로 정하고, 헌법도 제정하였다. 1919년 4월 11일에 발표된 은 오늘날로 치면 대한민국 헌법인 셈이다. 헌장 제1조에서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왕정 체제가 아니고, 그렇다고 입헌군주제도 아닌 민주공화국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다만, 이 당시는 일제 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국내적으로나 대외적으로나 대한민국이 공식적인 국가로 승인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 당시의 정부는 ‘임시’정부라고 부른다.3. 해방과 대한민국의 수립마침내 1945년에 고대하던 조국 해방을 이루었지만, 해방 직후에 한반도는 냉전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38선으로 나뉘게 된다. 1948년 5월 10일에 최초로 국민투표에 의한 총선거로 제헌국회가 수립되었는데, 이 선거는 한반도 전역에서 실시된 것이 아니라 남한에서만 치러진 반쪽자리 선거였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 선출된 의원들이 1948년 5월 31일에 제헌국회를 개원했고, 1948년 7월 17일에는 제헌헌법을 제정, 공포했다. 제헌헌법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그대로 계승해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했고,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밝혔다(제헌헌법 제1조).한편, 제헌헌법에서는 대한민국의 기틀을 잡기 위한 여러 가지 내용을 규정헀는데,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내각책임제가 아닌 대통령제를 선택한 것이다. 최초의 헌법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내각책임제와 대통령제 가운데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를 놓고 의견의 대립이 있었는데, 이승만이 내각책임제에 강력하게 반발하여 의원들을 회유, 설득, 협박해 결국 내각책임제가 아닌 대통령제를 채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승만은 1948년 7월 20일에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다. 부통령에는 이시영이 선출되었다.III. 결론제헌국회의 이승만 정권에게는 산재해 있는 문제들이 많았다. 대표적인 것이 친일 민족 반역자들에 대한 처벌의 문제와 이들의 재산, 특히 토지 배분에 관한 것이었다. 좌우 이데올로기의 갈등도 해결해야 했다. 그런데 이승만 정권은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친일 민족 반역자에 대한 처벌과 이들의 재산 몰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것은 2020년대까지도 우리나라의 부패와 부조리의 뿌리가 되었다. 좌우 이데올로기 갈등을 적절하게 해결하지 못한 결과로 1950년에는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국토는 폐허가 되었으며 최소한 15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500만 명 이상의 사상자가 나왔다.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4.02.2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 근현대사 관련 인물 보고서
    를 하 간도 방면을 순회하며 각처 독립운동 지도자들에게 파리강화회의에 조선대표를 파견했다는 사실을 알렸다. 이런 신한청년당의 활동은 3.1운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대한민국 임시 ... 었다. 하지만 찬성하는 입장이 다수였고, 4월 11일 발표된 대한민국 임시헌장에 이 구절이 들어간다. 그 뒤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 제7조가 되었다.-제국호텔 연설1919년 11월 ... 상하이에서 임시정부 구성을 위해 임시정원이 창설되었다. 이때 여운형은 동생 여운홍과 같이 임시정원 의원에 선출되었다. 의정회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이라 정하고 상하이 임시정부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5.03.02
  •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의 제정과 계승
    ’으로 세운 것이 바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였다. 이를 위해 29명의 대표가 상해에 모여 임시정원을 조직하고, 제1회 임시정원 회의를 통해 국호, 관제, 국무원 선출, 헌법 제정을 논의 ... 을 계승하여 건립되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으며, 현행 헌법의 일부와 그 표현이 상당히 유사함을 볼 수 있다. 이 대한민국임시헌장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한국독립당과 민족 ...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의 제정과 계승목 차Ⅰ. 서 론Ⅱ.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헌법의 제정Ⅲ.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의 변천과 계승Ⅳ. 맺음말참고 문헌Ⅰ. 서 론대한민국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1.04.24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