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정통의 관점, 반공주의적 관점, 친미 반북적 관점, 개발독재의 관점 등이다. 이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현행의 근현대사 교과서(교수학습지도안)은 자학사관에 입각 ... 의 복원. 다양한 관점에서 다차원적, 다중주체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나, 그들 스스로가 더 단선적, 단정적이다.② 대한민국 정통성론, 단정합리화론- 반탁운동, 단독정부 수립 지지 ... 와 현실을 바라보는 시공간적 관점, 여러 차원의 시간성과 공간성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사를 해석하는 분석단위도 다차원적이고 다중적이어야 한다. 국민국가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