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충돌2001.9.11일 아메리칸 항공이 세계무역센터 빌딩에 충돌하면서 지구촌의 관심사가 되어버린 테러사건에 이어 사무엘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을 제기하여 센세이션을 일으켰다.그의 저서를 통해 서로 다른 문명간 충돌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는 이론을 쓴 이책을 어..
들에게 자신있게 권해 줄만한 책이 생긴 것 같다.(웃음)노암 초스키라던가, 하워드 진, 그리고 찰머스 존슨등의 진보지식인들이 쓴 이런 류의 책을 읽을 때마다 생각하는 것이지만 제발 이런 ... 게 되면서 그것이 미국이 여태껏 한짓을 생각해 볼때 당연한 댓가가 아닌가 라고 생각을 하게 되며, 미국인들은 참 자기들이 나쁜 짓 한거는 생각하지도 않고, 자기들이 당한 거만 생각 ... .“이글을 보는 순간 미국인도 아니고 한국인이면서 정말 어떻게 이런 관점을 가질 수가 있나 하는 생각과 함께 참 사람이 무서운 존재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특히 “미국의 이라크
등구조를 연결시켜서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현대 세계질서의 탈근대적 변화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모색을 통해 과제 텍스트를 평가해 보겠다.노암 참스키(Noam ... 고 있던 사람들도 어느 정도 미국이 연출해내는 허상을 파악해낼 수 있게 될 것이다.참스키가 보는 냉전은 콜럼버스 시대(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함으로써 현재의 자본주의 체제 ... 가 시작되었기에 참스키는 현시대를 콜럼버스 시대라 규정지음)의 남북갈등이 표출된 외적 현상중의 하나이다. 남북갈등이란 자본주의 국가들인 '북부'와 후진국들인 '남부'사이의 갈등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