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에 적합한 산문의 필요성이 확대되어 ‘대동야승’, ‘열하일기’, 정약용의 논설 등이 쓰였고 17세기 이후 한글 기록문학이 발닿해 ‘조천록’, ‘남해문견록 ... 성을 확인, 유지하는 준거로 기능한다. 특정인물의 창작이기에 임의적 왜곡이 제한되는 것이다. 고려조에는 향가가 쇠퇴하여 한문문학이 지배계층 전반으로 확산된다. 오직 한문 창작과 번역 ... 까지 전해지는 사본, 인본 수효를 어림잡으면 약 6000종이 된다고 하는데 현재는 유효한 수가 아니며 수가 더 많을 정도로 조선조 문인지식층 관심이 높았다. 생존 인물의 작품이 오
, 이듬해에는 다시 정언이 되고 이듬해에는 홍문관수찬, 부수찬에서 삭탈관직을 당하고 서인이 되어 남해섬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이곳에서 6개월을 머물고 돌아와서 『남해문견록 ... , 유현 한몽필과 오룡제 남명학, 후송과 동방급제자인 강유등이 고작인 듯하다.4) 사람됨후송의 사람됨을 그가 지은 『남해문견록』이나 『북관노정록』에서 더듬어 보면, 대략 다음과 같 ... 다.첫째, 淸白剛嚴하다.둘째, 나라를 위하는 충성심이 강하였다.셋째, 예절을 몸소 실천하였다.넷째, 자상한 가장이며 다감한 남자였다.3. 작품 개관1) 국문 작품(1) 남해문견록
노정록 』 유배 기행넷 작가소개 : 후송 유의양 승정원일기 , 조선왕조실록 : 약력 참고 성품 – 청렴 , 위국단성 전주 유씨 무공의 둘째 아들 ◀ 『 남해문견록 』 최초의 국문 ... 의 한글 기행문노정 여행 목적 : 일월출 구경 목적지 : 함흥 귀경대 견문 체험 감상 둘둘 ① 1769 년 8 월 일월출 실패 ② 1771 년 8 월 21 일 일월출 실패 ... 지방에 대한 산문체 기행문으로써 최초의 작품 북관지방의 사투리를 서울말과 비교하여 기록 1. 한글 문학 작품 , 북관지방의 언어연구 자료 북관노정록의 가치 5 가지넷 “경성 이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