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3)
  • 리포트(29)
  • 논문(4)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남당한원진" 검색결과 1-20 / 33건

  • 南塘 韓元震의 (남당원진의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崔錫起
    논문 | 63페이지 | 12,500원 | 등록일 2016.04.02
  • [한국성리학] 인물성동이론-외암이간&남당한원진
    에게 미발의 상태가 순선한 것이 아니냐고 물은 적이 있는데, 처음에 수암은 외암의 설에 수긍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에는 미발 때 선악이 있다고 하는 남당의 주장이 잘못된 것이라고 하 ... 였다. 그러나 나중에 남당이 와서 자기의 의견을 차근차근 설명하자 수암은 이번에는 남당의 설을 인정하였다. 즉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기질지성을 가지게 되니, 이것은 선악의 가능 ... 성을 이미 자기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미발시 항상 악한 마음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자 수암은 이전의 외암의 설이 옳은 것이 아니고 남당의 설이 옳다고 인가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1.11
  • [철학] 외암 이간과 남당한원진의 인물성동이론은 통한 현실 긍정 이론
    의 학자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남당원진(1682~1751)과 외암 이간(1677~1727)이 가장 뛰어나 江門爭論의 장본인이 된다.) 외암이나 남당은 모두 수암 권상하의 문하 ... 었고 이들이 주로 서울, 경기 지방의 낙하에서 살았기 때문에 이들을 낙론(洛學派)이라 하고, 반면에 수암과 남당의 이론을 지지했던 사람들은 병계 윤봉구, 매봉 최징후, 봉암 등 주로 ... 음은 아직 일찍이 그친 적이 있지 아니하다.)2. 南塘 韓元震의 人物性異論남당은 理는 보편적인 道理를 말하는 것이며 性은 人 ? 物이 얻은 것에 나아가 말하는 것이라 하고, 또 理
    리포트 | 1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4.11.25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정조의 이례적 밀찰 국정 운영과 그 정치적 의의
    하고자 했다. 이 논문은 1792년과 1793년 정계에 큰 동심원을 만든 도당록 현안과 남당원진의 추숭 문제 관련하여 각각 박종악과 심환지와 주고 받은 편지들을 그 대상으로 한다
    리포트 | 1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3.11.24
  • 학문방법으로 본 인물성동의논쟁 (Human Nature-Non Human Nature Discussion(人物性同異論爭) through Academic Method(學問方法))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박정환
    논문 | 2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12 | 수정일 2025.05.18
  • 교육과 철학사 연구, "인물성동이론"
    도덕성에는 본질적인 차이를 가진다고 주장을 한다. 즉, 엄밀한 의미로 인의예지는 인간에게만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이는 한원진의 『남당집』에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한다. 무릇 지각 ... 다고 주장함을 시작으로 성리학계의 주요 논쟁이 되었다. 여기서 여러 사상가가 자신의 견해를 주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들 가운데 한원진의 의견을 동조한 학자들이 충청 일대인 호서지방 ... 와 반대로 인물성동이론을 주장한 한원진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한원진은 인간과 사물의 이는 존재하며, 즉 인의예지라는 도덕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인의예지와 같은 고차원적인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07.11
  • 일제강점기 교육자 박문호의 성리학적 사상과 그에 근거한 그의 교육사상을 고찰하여 보자
    론의 종사인 남당원진을 사숙하면서 사람과 금수의 성품이 각 각 다르다는 호론의 인물성상이론에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율곡 이이,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학, 한원진으로 이어 ... 현 하면서 누구를 사숙하길 원하느냐고 묻자 박문호는 웃깃을 여미고 남당원진을 택하여 배우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어당은 박문호가 이이, 송시열, 권상하, 한원진으로 이어지는 학통 ... 된 기에 따라 이가 제한되어 드러나게 되므로 기가 이를 앞선다는 것이다, 박문호의 이기론은 주자, 율곡, 남당으로 이어지는 기호성리학파의 성리학적 입장에 기반한 것이다, 주자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5.11.14
  • 한국철학사 인물성동이 논쟁 이간, 한원진
    성삼층설이다. 남당의 성삼층설은 그가 스승에게 보낸 편지에 처음 나타난다.원진(元震)이 가만히 생각해보니 성에는 삼층(三層)의 다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사람과 물이 모두 같은 성 ... -10주차 발표 자료-한국철학사- 주 제 -인물성동이 논쟁 - 이간, 한원진- 순 서 -1.동론과 이론의 논리구조2.외암 이간의 인물성론(人物性論)3.남당원진의 인물성이론 ... 하였던 것이다.3)남당원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가. 성(性)의 개념 정의남당은 이기(理氣)의 관계를 유행적 측면에서 설명할 때 이기의 본무선후(本無先後)를 주장하였다. 곧 현실
    리포트 | 10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4.06.22 | 수정일 2024.07.23
  • 조선후기 인성물성 논쟁
    (1641∼1721)의 문하에서 제기되어 본격화된다. 그의 문하에는 이른바 로 불리는 8인의 학자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남당원진(1682∼1751)과 외암 이간 ... (1677∼1727)이 가장 뛰어나 강문쟁론(江門爭論)의 장본인이 된다. 한원진은 1715년에 이미 인물성론에 관해 이미 정리된 입장을 밝히고 있었고 이간은 1709년 최성중에게 보내 ... 선악이 있다고 하는 남당의 주장이 잘못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중에 남당이 찾아와서 자기의 의견을 자세히 설명하자 수암은 이번에는 남당의 설을 인정하였다. 즉 사람이 태어나
    리포트 | 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2.05.08 | 수정일 2021.08.25
  • 호락논쟁 연구
    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남당원진(1682~1751)과 외암 이간(1677~1727)이 가장 뛰어나 江門爭論의 장본인이 된다.한원진이 지은 (시동지성)에서 인물성론에 관해 정리된 입장 ... 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미발시 항상 악한 마음만 있는 것은 아닌 것이다. 이렇게 되자 수암은 이전의 외암의 설이 옳은 것이 아니고 한원진의 설이 옳다고 하면서 율곡의 이통기국 ... 의 해설까지 덧붙여 숙종 38년 외암에게 편지를 보내게 되었다. 그러자 외암은 그의 스승 수암 권상하에게 편지를 보내 스승과 남당의 설에 대해서 의의를 제기 하였고 이통기국에 대해서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6.03
  • 한국사상사과제
    (朴基成)의 아들로 7세 때부터 아버지에게 글을 배웠고 11세 때에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학통을 계승한 어당(?堂)이상수(李象秀)를 처음 만난 뒤 20세부터 어당 ... 여 년 간 저술한 것으로 중국의 학설뿐만 아니라 퇴계(退溪)·율곡(栗谷)·사계(沙溪)·우암(尤菴)·농암(農巖)·남당(南塘) 등 한국 학자들의 학설 또한 제시한 경전주석(經傳註釋 ... 성이론을 주장하였다.?특히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한 한원진을 비롯하여 그를 지지한 학자들이 충청도인이었으므로 그들의 주장을 '호론(湖論)'이라 하였고,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12.06
  • 인물성동이론(이간 한원진)
    지방의 낙하(落下)에서 살았고, 호론의 대표적 인물인 수암(遂菴) 권상하(權尙夏),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과 그들을 지지했던 인물들이 충정도 지방에 살았던 데서 연유한다.한 ... 원진과 이간의 본격적인 호락(虎落)논쟁이 일어나기 전에 이미 박세당(朴世堂)과 김창협(金昌協),박세채(朴世采)와 권상유(權尙遊)간에 인성과 물성의 동이에 관한 문제 제기가 있어 왔 ... 적인 호락 논쟁이 전개되는데, 외암 이간과 남당원진이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외암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입장에서, 그리고 남당은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는 입장에서 논쟁이 전개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01
  • 인물성동이논쟁
    에게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未發)의 마음이 순선(純善)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 이를 수긍하면서 미발에 선악이 있다고 하는 남당원진의 주장이 잘못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나중 ... (1641∼1721)의 문하에서 제기되어 본격화된다. 그의 문하에는 이른바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로 불리는 8인의 학자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남당원진(1682∼1751)과 외암 ... 에 한원진이 찾아와서 자기의 의견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즉 사람이 태어나면서 기질지성(氣質之性)을 가지게 되니 이것은 선악(善惡)의 가능성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04.17
  • 남당원진의 율곡학파 계승에 관한 연구
    .남당의 생애와 학문적 토대1. 남당의 생애2. 남당의 학문적 토대Ⅲ.「주자언론동이고」의 검토1. 「주자언론동이고」의 편찬배경2. 「주자언론동이고」의 편정체제2. 「주자언론동이고 ... 」의 내용검토Ⅳ.「주자언론동이고」의 의의Ⅴ.맺음말Ⅰ. 머리말1. 연구의 배경 및 목적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은 호락논쟁으로도 불리는 인물성동이론쟁의 핵심인물로 더 알려진 인물이 ... 음을 이상하게 생각하였다. 이러한 의문은 『주자언론동이고』를 편찬한 남당에 대해서까지 의문이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남당의 학문적 토대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주자언론동이고』가 왜
    리포트 | 16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0.06.16
  • [교양]호락논쟁과 윤리
    이간과 남당원진은 특히 유명한데 이들이 사람과 다른 생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 그리고 마음이 아직 발하지 않았을 때 선한 것인가? 선악이 모두 있는 것인가? 를 두고 논쟁 ... 부터 득세하여 세도정치시기까지 이어졌다. 호론은 한원진의 제자들로 계승되었으나 낙론은 이간 보다는 김창협의 제자로 계승되었다.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 이전에 이미 김창협이 이러한 논을 전개 ... )을 주장하는 호론의 한원진은 맹자 의 ‘생지위성(生之謂性)’에 대한 주희의 주석을 근거로 하여 사람과 다른 생물의 본성이 다르다고 하였다. 그는 인의예지신의 오상은 목화토금수인 오행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1.22
  • 인물성동이론 레포트
    를 짓밟은 오랑캐는 인간 이하의 동물과 같다는 사상에 따라 남당원진 과 외암 이 간 으로 대표되는 논쟁이 시작되었으나 실제로 두 사람의 대면논쟁은 한번이었고, 서신에 의한 토론 ... 기와 정을 윤리의무의 다양으로 구별해서 받아들임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인과 물이 이간에 있어서는 성을 같이하는 것이고 한원진에 있어서는 다르다고 주장되었다.이간이 주장하는 인물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1.10.01
  • [한국철학]인물성 논쟁이란?
    씩 전개되었던 인물성 同異 논쟁을 남당원진과 외암 이간이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이 야기한 인물성 논쟁은 주자학의 가장 핵심인 人性論과 관련된 인성과 물 ... 들의 대립으로 인물성 동이론이라는 명칭과 함께 호락논쟁이라고도 불리게 된 것이다. 호서 지방의 학자들이 인성 과 물성이 다름을 주장하는 남당원진의 의견을 함께 했고, 낙하지방의 학자 ... 성의 同異 문제와 미발시 본연지심과 기질지심 또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관계 문제를 주제로 한 논쟁이었다.2. 인물성 논쟁의 발단당시 남당원진은 人性과 物性이 서로 다르다고 주장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12.12
  • 서계 박세당의 유학사상 연구
    . 西溪의 실천론Ⅴ.맺음말Ⅰ. 머리말필자가 박세당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것은 3학년 때, 남당원진의 『주자언론동이고』를 읽으면서 부터였던 것 같다. 남당원진은 우암 송시열의 제자 ... 인 권상하의 직전으로써, 숙종 년간에서 영조 초반까지 생존한 완벽한 주자학자이자, 노론계 학자이다. 한원진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조선후기는 예송의 시대이며, 서인정권의 정치적 우위
    리포트 | 1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0.06.16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