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2000년 4·13 총선을 앞두고 총선연대 지도부는 [낙천·낙선리스트]를 발표했고, 후보자 86명을 대상으로 낙천·낙선운동을 벌였다. 하지만 이들이 벌인 낙천·낙선운동 ... . 8. 30. 2000헌마121, 202(병합))이 판결은 두 개의 사건을 병합하여 내린 것이다. 앞으로 다룰 내용은 낙천·낙선운동에 관한 것이므 로 2000헌마202 사건 ... 는 분명히 선거법 자체에 모순점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물론 시민단체의 낙 천·낙선운동이 특정인에게 집중되어 일어났기 때문에 그것은 자칫 형평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있
는 '시민운동의 의미'를 각각 강조했다. 한국 언론에 멍에처럼 붙어다니던 획일화의 잔재가 낙천.낙선운동 보도에서 희석됐다는 점에서 일단은 긍정적인 현상으로 보여진다.그러나 낙천.낙 ... 선운모두 기사의 방향과 칼럼이나 사설, 그리고 독자투고란까지 관점과 태도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한 신문을 통해 낙천.낙선운동에 대한 다양한 각도와 현실을 파악하는 것은 불 ... . 26보도비평『한국언론의 낙천.낙선운동 보도 』발간한국언론재단(이사장 金容述)은 중요 이슈에 대한 언론보도를 심층 분석하고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대안을 제시하는 제 3회 보도비평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