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모토 미오 ? 미야지마 히로시의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를 읽고이 책은 한국과 중국의 역사에서 마지막 왕조인 조선 왕조와 명 ? 청 왕조 시대를 한권으로 서술한 책 ... 환영할 만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그리고 이 책의 저자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기시모토 미오 ? 미야지마 히로시라는 일본인이 우리나라와 중국 근세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그렇기 때문
‘근세가 가지는 의미’-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일국사를 넘어선 동아시아 읽기)0. 서평을 시작하며기시모토 미오와 미야지마 히로시의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 ... 관계가 항상 중요하지만, 책을 펴낸다는 것은 사실 관계 역술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기시모토 미오의 중국사 서술 부분은 사실 중심이 많은 느낌이 들
건 우연일까, 필연일까.일본 역사학자인 기시모토 미오(도쿄대 교수·중국명청사)와 미야지마 히로시(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한국근세사)가 공동 집필한 역사서 ‘조선과 중국 근세 ... 하는 ‘전통’을 만들어낸 시기이기도 하다.중국 명청사 전문가인 기시모토 교수는 중국 대외관계의 핵심인 조공체계의 완성, 명대말(16세기) 상업·수공업의 발전에 힘입은 근대적 양상
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동림당의 영향과 지방에서의 복사운동은 당시의 농민들을 비롯한 지방민들의 의식 성장을 가져왔고{) 기시모토 미오, 미야지마 히로시, 2003『조선과 중국 ... 은 더욱 높아졌고, 가난한 농민들은 수공업 등의 부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여야 했기 때문에 수공업의 발전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기시모토 미오, 미야지마 히로시, 2003『조선과
건 우연일까, 필연일까.일본 역사학자인 기시모토 미오(도쿄대 교수?중국명청사)와 미야지마 히로시(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교수?한국근세사)가 공동 집필한 역사서 ?조선과 중국 근세 ... 하는 ?전통?을 만들어낸 시기이기도 하다.중국 명청사 전문가인 기시모토 교수는 중국 대외관계의 핵심인 조공체계의 완성, 명대말(16세기) 상업?수공업의 발전에 힘입은 근대적 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