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프리츠 그레브너(Fritz Graebner, 1877~1934)와 빌헬름 슈미트(Wilhelm Schmidt, 1868~1954)그레브너와 슈미트는 비엔나 학파라고 ... 에 있는 문화들이 서로 혼합된 결과라고 여겨졌다.(브루스 트리거, 2010)그레브너는 라첼이 강조한 문화의 질과 프로베니우스가 선호한 문화의 양적인 차원을 혼합하여 어느 두 문화 ... 의 역사적 연관성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그레브너는 ‘테즈메니아’, ‘오스트레일리아의 부메랑’ 등으로 문화권을 정의했다. 그레브너는 과학적 근거 위에서 지리적 문화권과 중층적 문화
에 내적 관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유착에 의한 것이라고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런 현상을 더 비교해보면 그 발전방향을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다.반대로 독일에서는 프리츠 그레브너 ... 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문화요소들의 역사적 관계를 발견하는 데는 요소 자체의 형태가 중요한 힌트를 제공해 준다고 생각하였다.이후 그레브너와 동료 베른하르트 앙커만이 각각 ... 이 이집트로 통한다는 스미스 학설의 매력 덕분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리버스의 영향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리버스는 친족관계와 명칭을 분석하였다. 그는 그레브너의 연구가 사회구조,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