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괄하는 재지 지주, 소국의 족장급 후예② 노동력과 군사동원 책임, 전쟁에 참여③ 군상촌주(진촌주) - 중앙의 5두품급④ 차촌주 - 중앙의 4두품급⇒ 나중에 대부분 호족으로 성장5 ... 부터 지녀온 지배기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기영토에 속한 민들을 통치, 촌주층을 사적인 관료로 이용6. 울진봉평비문에 ‘노인’이라 불리는 지방 촌,성의 민들이 나타나는데 이 ‘노인
해하여도 모두가 같은 것은 아니어서 군상촌주 군중촌주 등 몇 개의 등급이나 계층으로 구분되었다. 이 촌주계층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지위를 달리하였는데, 통일신라기인 흥덕왕대(9 ... 세기)의 골품규정에서는 대체로 왕경인의 5~4두품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있었다. 촌주는 군을 단위로 하여 수명이 임명되며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을 보좌하여 촌락 내의 행정 군사 ... 실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들이다. 촌주가 담당하는 촌은 소규모 촌락으로서 자연촌이 아니라 행정상의 편의를 위해 자연촌을 몇 개 아울러 조직된 지역촌 또는 행정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