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교토대과학수업우에스기 모토나리 저. 김문정 역. 리오북스 2016년 3월 6일 발행1. 과학일본은 과학분야 노벨상을 많이 탄다.그 이유가 뭘까? 섬 나라 특유의 '개성 ... 이 최우선이다. 사상을 수입해다 팔아먹는 식으로는 독자성이 없다. 그러니 과학 분야의 ‘노벨 프라이즈 위너’가 없는 것이다.저자의 주장은 단순하다.. '연구'는 아직 모르는 사실 ... 다.우리가 흔히 알 듯 과학자만 과학을 하는 게 아니다. 자연이든 인간이든 대상으로 과학을 구분하는 게 아니다. 믿음이 아닌 논리로 이해시킬 수 있다면 그게 과학이다. 54쪽이
의 레벨을 올리려는 시도가 책읽기다. 반복에 의한 비약적인 증폭효과를 노려야 한다. '교토대과학수업'을 쓴 저자는 살아있는 공부란 체험과 연결되어야 한다 했다. 글로 끝내지 말 ... [서평] 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김영란 저. 창비. 2016년 7월 15일 발행1. 텍스트독서를 하는 이유는 둘이다.. 첫째로 일 때문이다. 직업적 성공을 위해 책을 읽 ... 防衛), 긴급피난(緊急避難), 자구행위(自救行爲), 피해자의 승낙(被害者의 承諾) 등을 말한다. 칸트의 정언명령(살인하지 말라, 인간을 도구로 대하지 말라)을 대한민국 형법이 어기
교수님, 기후변화가 뭔가요?서평이 책을 읽기 전에이 책의 표지를 봤을 때 맨 처음 들어온 문구가 ‘작은 행동 큰 변화 줄이기’ 였다. 바롬 수업 시간에 봤었던 동영상에 있는 항상 ... 가 엄청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기후변화 대책 논의 과정과 논의 기구지구온난화는 최근에 대두되는 이슈이지만, 옛날부터 과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해 연구 ... 하였다. 또한,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과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경제·사회·정치 그리고 개인 생활에까지 영향을 주는 문제다. 따라서 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협력하여 같이 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