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 ”역사에 관한 관심을 크게 두지 않았으므로 생각이 백지장과 같아서 역사가 무엇인가에 대해 고민할 여지가 없었다. 하지만 중세에서 근대로의 국어가 변천을 이루듯 사회 또한 그러하기에 사회의 역사에 대해서 공부할 필요성을 느껴 수강하게 된 것이..
寒碧堂 郭期壽의 漫興한벽당 곽기수(1549∼1616)은 명종 4년에 출생하여 광해군 3년 68세로 생을 마감하였다.31세에 진사(進士), 35세에 별시(別試)로 탁발(擢拔 ... ) 藥 : 약 (약)醉 : 취하다 (취) 鄕 : 고향 (향) 太 : 크다 (태) 古 : 옛 (고)*희황 : 복희씨(태평시대 임금)◈현대어 풀이 : 희황이 간지가 오래이고 시절이 바람직 ... 으로 어계(漁溪) 조여(趙旅)의 현손이다. 기질(氣質)이 순진(純眞)하여 거짓이 없고 말이 적었다고 한다. 임진·정유왜란을 겪으면서 섬천에 옮겨 피난생활을 한 적도 있었고 칠곡군 인동
하다 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히스토리아는 결국 조사된 것, 탐구된 것을 가리키며 주관적인 의미의 역사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 , E. H. Carr, 곽복희 옮김, 청년사즉, 전자 ... 다.{) , E. H. Carr, 金基白 옮김, 文學과 知性社, 1990.이처럼 역사란 무엇인가 에 대한 답은 역사를 바라보는 그 사람의 관점(역사관)에 의해 다양하게 나올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