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공자통기(孔子通紀)』3책(1803),『효경대의(孝敬大義)』2책(1803),『상설고문진보대전』전집(前集) 3책(1803),『공자가어(孔子家語)』3책(1804), 『농가 ... . 이러한 관계가 존재하는 방각본은 전라도 태인에서 간행된 방각본들이다. 이 방각본은 주로 전이채, 박치유가 간행한 것인데, 확인되는 목록은 다음과 같다.『상설고문지보대전9詳說古文眞寶
은 逆於耳而利於行이라 (공자가어)충언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에는 이롭다.玉不琢이면 不成器요 人不學이면 不知道니라 (예기)옥은 쪼지 않으면 그릇을 만들 수 없고 사람은 배우지 않 ... 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少年易老學難成이요 一寸光陰不可輕이라未覺池塘春草夢이요 階前梧葉已秋聲이라 (고문진보)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짧은 시간일지라도 가벼이 여겨서는 안 ... 을 낮추고 양보하는 데서 생긴다.苟非吾之所有면 雖一毫莫取하라 (동파전집)진실로 나의 소유가 아니면 비록 터럭하나라도 취하지 마라.盛年不重來 一日難再晨 及時當勉勵 歲月不待人이라 (고문진보
(장홍) : 周나라 大夫로써 음악에 精通하므로 공자가 음악의 일을 물은 일이 있다고 한다.(예기) 및 (공자가어)師襄 : 노나라의 樂官으로 거문고에 능통하므로 공자가 일찍이 이 ... 를 배웠다고 한다(공자가어)老聃(노담) : 도가의 시조 老子, 일찍이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물었다고 한다.(예기 및 공자가어)三人行必有我師 세사람이 함께 길을 간다면 반드시 나 ... 을 공적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첫째, 산문의 문체개혁(文體改革)을 들 수 있다. 종래의 대구(對句)를 중심으로 짓는 병문(騈文)에 반대하고 자유로운 형의 고문(古文)을 친구 유종원
)」편에는 완전히 불필요한 번문(煩文)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예문들이 『공자가어(孔子家語)』, 『사기』, 『한서』 등에서 인용되어 있으며, 특히 「잡설(雜說)」편에는 『춘추 ... 는 역사가라니. 수업시간에 배운 『춘추』를 쓴 공자나 『한서』를 쓴 반고, 『좌전』과 『국어』를 집필한 좌구명 등 몇몇 인물들이 있었지만 다들 별로 내 마음에 들지 않았다. 공자는 너무 ... 에 대한편찬하기도 하였다.유지기는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그리 평탄한 삶을 살지 못했다. 개원 7년(719년)에 『고문효경(고문효경)』에서의 「공안국전(孔安國傳)」과 『금문효경(今文孝經